<게임하는 인간 호모루두스>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 존 내시의 게임이론으로 살펴본 인간 본성의 비밀
톰 지그프리드 지음, 이정국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존 내시, 노벨 경제학상을 타낸 정말이지 천재적인 재능의 소유자로 영화 <뷰티풀 마인드>에 등장했던 수학자다. 수학이 곧 괴로움이었던 순수 문과계 인간인 나는 내시의 이론 같은 것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얼마 전 읽은 이 책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에서는 내시의 게임이론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수많은 학문 분야에 대해 다루고 있다. 게임이론은 경제학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제는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인간의 본성과 행동에 대한 연구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론 이 책 한권으로 게임이론에 대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렵게 느껴지는 게임이론에 전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었던 점은 꽤 높이 살만 하다. 

인간은 오래 전부터 게임을 해 왔고,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왔다. 하지만 현대의 게임이론은 20세기에 들어와서 폰 노이만의 논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는 체스 게임에 대한 이론을 경제학에 적용시켜서, 모든 상황을 커버해주는 최적의 전략이 항상 존재하는가에 대해 연구했다. 이는 수학적으로 꽤 복잡하고 힘든 과정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각종 예시들이 어려운 이론을 약간이나마 이해하게 도와준다. 유명한 '죄수의 딜레마'와 변절자를 응징하는 '공공재 게임' 등의 예는 다자간 게임에서의 내시 균형을 연구하는데 초석이 되고 있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서 나왔던 개념인 '매-비둘기 게임'과 인간의 상호 협력과 이타성에 대한 이야기 역시 등장하고 있다. 먹이를 더 많이 먹으려면 매가 되어야 할까, 비둘기가 되어야 할까? 내가 저 사람을 도와주면 나에게 유리할까?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방식은 현명한가? 이러한 문제들이 모두 게임이론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사실이 꽤 흥미로웠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생소한 학문 분야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이 눈길을 끌었다. 신경경제학, 진화심리학, 심리역사학, 사회물리학 등의 여러 학문의 조합으로 생겨난 새로운 학문들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하고 있다. 학문 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것이 요즘의 추세이기 때문일까. 이 책 한권에 참으로 다양한 학문과 주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광범위하고 당황스러운 느낌도 들지만, 이 주제들은 서로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과연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을 것인가?" 이 한 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후반부에서는 오래 전 이야기가 아닌, 불과 몇년 전에 등장한 논문이나 개념 등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최신 연구 트렌드를 알 수 있는 점이 좋다. 하지만 점점 페이지가 뒤로 갈수록 전문적인 이야기가 많이 등장하여 읽는데 약간은 애를 먹었다. 부록에 있는 '내시 균형 계산하기' 같은 공식들은 나같은 문과계는 보는 것만으로 현기증이 났다. 이건 좀 과감히 생략하고 싶다. 평소에 자연과학 서적을 자주 읽는 편인데도 읽기가 그다지 수월한 편은 아니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자유의지와 결정론 사이의 화해
    from 101번째 글쓰기 2010-08-28 03:24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 톰 지그프리드 지음, 이정국 옮김/자음과모음(이룸) 이 책을 읽고 있는 도중에 재미있는 경험을 하나 했다. 중학생 아들을 둔 어느 어머니께서 트위터를 통해 내게 물으셨다. "아들이 이 책을 읽고 싶어하는데 읽어도 될까요?" 그 중학생은 아마도 이 책의 부제에 매혹되었을지도 모른다. '게임하는 인간'. '존 내시의 게임이론으로 살펴본 인간본성의 비밀'. 게임이론을 알게 되면 또래들 중에서 게임을 가장 잘 하게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