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이 학교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마을이 학교다 - 함께 돌보고 배우는 교육공동체 박원순의 희망 찾기 2
박원순 지음 / 검둥소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있어서 교육 하면 떠오르는 것은 경쟁, 시험, 체벌 등의 부정적인 것들이다. 실제로 중학교 시절에 지독한 단체기합(반에서 어떤 사건이 벌어지면 그 반 전체를 다음날 걸음도 제대로 못걸을 정도로 두들겨패고 오리걸음 따위를 시킴), 싸대기를 때리고 발로 차는 교사, 교도소보다도 빡빡했던 규정 등을 경험하면서 결코 교육에 대해 좋은 생각을 가질 수 없었다. 공부 강요도 아주 심해서 초등학교 때는 다른 반과의 경쟁에서 이기게 하기 위해서 담임이 무슨 시험이 있으면 그 시험 보기까지 매일 모의문제를 풀게 해서 틀린 갯수대로 때렸고(아무리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라도 맞을 수밖에 없다. 어떻게 하루 종일 하나도 안 틀리겠는가?), 중학교 때 역시 매일이 조마조마한 날들이었다. 고등학교에 가서야 그러한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성인이 되고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그 트라우마는 남아있다. 아마 지금도 학교의 현실은 별로 바뀌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 책 <마을이 학교다>를 보며, 이런 학교들도 있구나 하고 꽤 놀랐다. 제도권 교육 안에서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여기 등장하는 풀무학교, 성장학교 '별', 성미산학교, 이우학교, 아힘나평화학교 등의 대안학교들과 일반 학교들 중에도 신나게 공부하고 배울 수 있는 몇몇 학교들의 예를 보며 부럽기도, 씁쓸하기도 하였다. 부러웠던 것은 떠먹여 주는 것이 아닌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을 키우고 창의력을 기르며 마을 공동체와 어울려 배우면서 지역과 학교가 하나되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씁쓸했던 것은 대안학교 같은, 뭔가 '표준'과 다른 학교들은 문제아들이나 공부하기 싫은 학생들이 가는 것이라는 일종의 낙인이 찍혀 있고, 또 그 수가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선택의 여지 없이 극심한 경쟁과 체벌 따위를 오늘도 내일도 겪으며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항상 대안(alternative)이라는 것에는 이상적인 면이 있지만, 실제에 적용되기란 너무 힘든거 같아서 안타깝다.

또한 이 책은 어린 학생들의 교육에 대해서만 다룬 책이 아니다. 청소년들이 공부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부방이나 문화공동체, 도서관 등의 사례도 나와 있고, 마지막 챕터에서는 코뮤넷 수유너머, 풀뿌리학교 등의 평생교육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이 코뮤넷 수유너머에 대한 것인데 공부와 삶이 일치하는 공동체를 표방하는, 같이 밥해먹으며 공부하는 곳이라고 한다. 다양한 배움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져 20대와 60대가 같이 공부하고, 직장인들을 위한 과정도 개설되어 있다. 사회운동가는 항상 가난하지만, 안정이 되면 수련하는 밀도가 저하되어 좋지 않다는 말이 꽤 인상깊었다. 너무 편해지면 마음이 풀어진다는, 그 뜻을 나도 마음 속에 새기고 살아갈 것이다.

확실히 무엇인가를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다. 기존 권위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을 이해시켜야 되고, 때로는 욕도 먹을 것이다. 시간도 돈도 많이 들고, 그렇다고 해서 눈에 확 보이게 한번에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조금씩 조금씩 교육을, 그리고 세상을 변화시켜 나가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너무 낙관주의적이라는 감은 있지만, 이 책을 쓴 '소셜 디자이너' 박원순도 그 중 하나일 것이다.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그들이 바로 세상의 빛과 소금이다. 앞으로 이런 움직임이 더 확산되어,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