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살인 심리
The Murderer Next Door
"살인보다 매혹적인 범죄는 없다. 카인이 아벨을 살해한 이래 우리는 계속 살인에 매혹되어 왔다."
-에드워드 L. 그린스펀, 『격정의 범죄』 서문에서¹
"원래 살인죄는 입이 없어도 스스로 그 죄를 실토한다고 하지 않던가?"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 P11
1장 살인 심리
1. H. Engle, 『격정의 범죄(Crimes of Passion)』 (Buffalo, NY: Firefly Books, 2001). - P367
어느 밤, 칵테일파티에서 절친한 친구가 살의(殺意)를 느낄 만큼 격노하는 모습을 본 후, 나는 살인 연구에 본격적으로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 P13
(전략). 순간 이상한 감정이 나를 엄습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그날 밤을 회상할 때마다, 그때 느꼈던 본능적인 공포는 아직까지도 나를 깜짝놀라게 한다. - P14
그리고 잠시 후, 나는 여전히 동요된 상태로 그곳을 떠났다. 어쩌면 그곳에 좀 더 머물면서 그 일에 대해 더 진지하게 걱정을 했어야만 했는지도 모른다. - P14
그날 밤 그의 아내는 내가 살인에 대해 연구하면서 깨닫게 된 한 가지 사실을 분명히 인지했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 심지어 우리가 사랑하고 또 우리를 사랑해 주는 사람들에게조차 살인을 저지를 수 있는 잠재력이뿌리 깊게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 P15
치명적인 위험에 대한 사람들의 직감은 대개 잘 들어맞는다. 또 평소살인같이 극악한 행위는 결코 저지르지 않을 거라 생각되는 사람들도 특정한 상황에서는 당연한 듯 그렇게 행동하기도 한다. - P17
그날 밤 파티에서 보았던 친구의 분노는 그래서 더욱 인상 깊은 것이었다. 왜 그때 그에게 자신의 아내를 죽이고 싶단 생각이 그토록 강하게 들었는지 나는 정말이지 알 수 없었다. - P17
제정신이 아니거나 절박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만이 살의를 품는다고 믿었다. 폭력적인 문화에서 자라다 보면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일에 점점 무뎌져서 살인까지도 저지르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 P17
냉혹한 살인 청부업자들이나 다른 범죄를 저지르다가 사람을 죽인 경우는 별반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이들은 돈을 얻기 위해 또는 범죄 행위의 목격자를 제거하기 위해 살인을 저지른다. - P18
(전략). 그러나 다른 많은 종류의살인 행위는 이해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사람들은 학교 댄스파티 중 화장실에서 낳은 아이를 쓰레기통에 버리고 다시 파티장으로 돌아와 데이트를 즐기는 어린 임산부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P18
사람들은 살인에 매료된다. 인간의 행위 중 그만큼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것도 없다. - P18
살인 성향은 깊고 무의식적인 심리 기계로부터 흘러나온다. - P18
폭력 행동을 연구하는 전문가들, 특히 아동의 폭력 행동을 연구하는사람들은 텔레비전과 영화 속에 만연한 폭력들이 사람들을 더욱 폭력적으로 만들며, 때로는 살인을 저지를 정도로 극한 상태로 몰아간다고 주장한다. - P18
또 다른 사람들은 가난과 마약, 폭력적인 문화의 역할을 강조한다. 나는 이러한주장들 중 어느 것도 대다수 살인자들의 진정한 살해 동기를 설명하는 데에는 불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P19
나는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이와 같은 믿음들이 모두 잘못되었으며, 잘못되었어도 한참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P19
그들은 대부분 중산층 가정에서태어난 반듯하고 지적인 사람들이었다. (중략). 그런데도 그들 중 대부분은 적어도 한번쯤 다른 사람을 살해하는 강렬한 판타지에 사로잡힌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 P20
이 조사 후, 우리는 살인 판타지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면서 사람들이 살인 판타지를 품는 이유와 계기, 구체적인 상황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 P20
이 연구에서, 남성의 91퍼센트, 여성의 84퍼센트가 적어도 한 번은 누군가를 살해하는 판타지를 선명하게 품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 P23
가난, 정신병, 부모, 매체 폭력 등 살인을 설명하기 위해 빈번히 인용되는 단순한 해석들은 어둠의 본질, 즉 살인 심리의 밑바닥에 놓인 근원적인 구조에 도달하는 데 철저하게 실패했다. - P23
. 이 설명들이 실패한 데에는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분명한 것은 살인이 단 한 가지 동인에 의해 발생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 P23
게다가 동일한 감정이 서로 상이한 여러 유형의 살인을 유발하기도 한다. - P24
살인이 발생한 환경과 동기는 외관상 매우 다양해 보이나 그 이면에는 단편적인 동기들과 다양한 수단, 각종 기회들을 포괄하는 숨겨진 연결 고리가 존재한다. - P24
내가 구축한 이론에 따르면, 순간적인 감정에 의해 우발적으로 저질러지는 살인이건, 철저히 계획된 살인이건, 모든 유형의 살인들은 가혹한 진화적 논리의 우여곡절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 P25
선조들의 살인 충동에 관한 최근의 발견들은 인간이 진화의 아주 초기단계에서부터 타인들을 살해해 왔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 P25
그는 등 뒤에서 쏜 화살에 맞아 죽은 것이다. 화살은 몸을 뚫고 들어와, 견갑골을 산산조각낸 후, 왼쪽 어깨에 박혔다. 그는 내부 출혈로고통 받다가 몇 시간 후 사망했다. - P25
이외에도 여러 고고학적 증거들이 살인이 얼마나 오래전부터 인류의 삶에 존재해 왔는지를 재평가하게 해 준다. - P26
비록 단편적이고 불완전할지라도 이 새로운 고생물학(지질 시대의 동식물(고생물)의 체제 · 발생·생리·생태 등의 연구를 통하여 생물 진화의 양식이나 메커니즘의 해명을 지향하는 학문 분야. 고생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구체적 증거인 화석(化石)이 주요 연구 대상이 됨. 옮긴이)과 생물 고고학의 증거들은 살인의 긴 역사에 대한 매혹적인 통찰을 제공해 주었으며, 내가 발전시킨 살인 이론에도 많은 정보들을 제공해 주었다. - P28
그러다 진화의 냉정한 계산법에 따르면, 살인, 특히 가장 만연하게 나타났던 종류의 살인이 우리 선조들에게 생존과 번식의 경쟁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했으리라는 깨달음을 얻었다. - P28
살인 심리는 일종의 군비 확장 경쟁처럼 진화했다. 살인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인간은 잘 연마된 일련의 방어 기제들을 발달시켰으며, 이 방어 기제들은 살인에 대해 강력한 제어물로 작용했다. - P28
동종의 구성원들이 끼치는 치명적인 위험이 오랜 시간 존재해 왔기 때문에 인간은 살해당하지 않도록 정교하게 조율된 방어 기제들을 발달시켰다. - P29
동종의 구성원들이 끼치는 치명적인 위험이 오랜 시간 존재해 왔기 때문에 인간은 살해당하지 않도록 정교하게 조율된 방어 기제들을 발달시켰다. - P29
놀라운 과학적 발견들 덕에, 이제 우리는 이러한 방어 기제들이 삶의초기 단계부터 작동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방어 기제들은 심지어 태어나기도 전에, 아늑한 엄마의 자궁 속에 있을 때부터 작동하기 시작한다. - P29
하버드 대학교의 생물학자 데이비드 헤이그가 발견했듯, 심지어 자궁 안에서도 살해당할 위험은 존재한다. (중략). 놀랍게도, 헤이그는 모체를 제어하고 태아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제들 역시 진화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태아에서 생산되는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이 바로 그것이다. - P29
출생 후 작동하는 살해 방어 기제는 바로 ‘울기‘다. - P30
영아의 공포 반응은 낯선 사람 누구에게나 무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주로 남성에게 집중해서 나타난다. - P30
우리가 발달시킨 살해 방어 수단들에는 밤늦게 어두운 거리를 홀로 걸을 때 느끼는 경계심도 포함되어 있다. (중략). 뿐만 아니라 우리는 살의를 가진 사람들의 마음을 읽어 내는 놀라운 능력마저 진화시켰다. - P30
피에 대한 매료, 수백 명의 군중들 속에서 화난 얼굴을 골라내는 놀라운 능력, 그리고 살인자의 세부 사항들을 궁금해 하는 것 모두가 살해 방어 수단의 특징이다. - P31
잠재적인 살인자들은 방어 기제와 억제책들을 예민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살인에 대한 생각이 실제 행동으로 옮겨지는 것을예방한다. - P31
그렇다면 이것이 대부분의 살인이 이성을 잃거나, 살인으로 인해 닥쳐올 위험들(자기 방어 기제에 의한 위험과 처벌의 위험)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 P31
이 논리에 따르면, 살인 행위는 단지 비이성적인 행동일 뿐이다. 『격정의 범죄』라는 저명한 책에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시각이 매우 잘 드러나 있다. - P32
대규모로 실시된 한 연구에서, 여성이 저지르는 살인 중 56퍼센트는 계획 살인(일급 살인. 미국에서는 살인의 고의성과 계획성, 악의 등을 기준으로 살인의 등급을 매기는데 일급 살인은 고의적으로 악의를 가지고 사전에 계획한 불법적인 살인을 말한다. 또 고의적이지는 않더라도 중범죄 (방화, 주거 침입, 납치, 강간, 강도) 도중 실수로 사람을 죽인 경우도 일급 살인에 해당한다.)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살인을 계획하고 반추하며 숙고하는 행위는 종종 며칠, 몇 주, 몇 달, 그리고 가끔은 몇 년 동안이나 계속된다.⁷ - P32
7. Mann, 1993, 1996. - P367
둘째, 때로 살인이 분노, 질투, 시기와 같은 강렬한 감정들에 의해 유발되기는 하나, 그렇다고 감정이 분별력을 흐려 놓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사실, 내가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싶은 핵심은 ‘격정은 다분히 이성적‘이라는 것이다. - P33
사건 기록들은 사람들이 종종 극심한 분노에 사로잡혀 살인을 저지르며, 자신의 행위가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것을 보여 준다. - P33
놀랍게도, 내가 연구했던 375건의 살인 사건 중 96퍼센트 이상이 제정신이고 재판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이며, 어떤 정신 질환도 앓고 있지 않은 가해자에 의해 저질러진 것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행동이 불법이며, 잘못된 것이라는 걸 완벽히 인지하고 있었다. - P34
간단히 말해, 대부분의 살인자들은 미치지 않았다. - P34
(전략). 연구에 참가한 사람들은 1,000여 명으로 5개 문화권으로부터 모집되었으며, 연령대가 다양하였다. 연구는 우선 피험자들에게 아래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했다.
누군가 자신을 죽이고 싶어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놀랍게도 시험에 참가한 남성의 91퍼센트와 여성의 83퍼센트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 P35
▶ FBI 살해 데이터베이스
우리는 이전에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FBI 살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했다. 이 자료에는 총 42만 9729건의 살인 사건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중 남편이 아내를 살해한 사건이 1만 3670건이었다. 놀랍게도 아내가 살해되는 주요 정황은 ‘삼각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경우, 아내는 대개 남편보다 나이가 많이 어렸다. - P35
▶무엇이 살인을 저지르게 만드는가?
우리는 ‘무엇이 살인을 저지를 정도로 사람들을 자극하는가‘에 대해 최초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략).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살인자로부터 자기 자신과 자식들을 보호해야 할 경우, 살인을 저지를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 P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