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와 나 - 한없이 다정한 야생에 관하여
캐서린 레이븐 지음, 노승영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에 사는 이웃들

 


오두막으로 이사한 첫해 겨울, 눈이 내리는 새벽이었다. 어디선가 시끄럽게 싸우는 소리가 들렸다. ‘이 밤중에 누가 저렇게 큰 소리로 싸우지?’ 산 쪽으로 난 창문을 여니 소리는 더욱 크게 들렸다. 대나무숲에서 나는 소리였다. ‘저쪽에도 집이 있었나?’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는데, 다시 큰 소리로 악을 쓰는 소리가 났다. 내 귀에는 그 소리가 죽여, 죽여라고 들렸다. 앙칼진 여자의 목소리였다. 갑자기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부부싸움을 하는 모양인데, 좀 심각한가보다 싶었다. ‘나가봐야 하나, 어쩌지?’ 걱정하다가 부부싸움에 내가 도울 일이 뭐가 있겠어. 그나저나 동네 시끄럽게 너무 큰 소리로 싸우네하고 그냥 잤다. 아침에 만난 친절한 이웃에게 대나무숲 쪽 집인 것 같은데, 새벽에 엄청 싸워서 놀라서 깼어요.” 하고 말하자, “그쪽에는 집이 없는데?” 하셨다. 나중에 알고 보니 고라니 소리라고 하신다. (내 얘기 듣고 동네 어르신들 많이 웃으셨다.)

 

봄이 와서 나른하고 따듯한 햇살을 따라 마을 길을 걷고 있는데, 저만치 어린 벼를 막 심어놓은 논에서 몸이 날씬하고 다리가 긴 개 한 마리가 폴짝폴짝 뛰어다니며 노는 것이 보였다. ‘저 개는 품종이 뭔데 저렇게 다리가 길지?’ 궁금해서 밭일하고 계신 어르신께 여쭈어보니, 폭소를 터트리며 말씀하셨다. “고라니 새끼여, 고라니 새끼.”

 

읍내에서 장을 보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동네까지 1km가량 이어지는 산길에 들어서니, 차 앞으로 다람쥐 한 마리가 쪼르르 달려오다가 내 쪽을 바라보고 잠시 멈추었다가 지나갔다. 눈망울이 크고 또렷했다. 한번은 인근 도시에 다녀오는데, 저물 무렵 산길에서 고라니 가족을 만났다. 큰 고라니 두 마리와 어린 고라니 세 마리였다. 애들이 놀라면 어쩌나, 경적을 울리지 못하고 비상등을 켜고 기다렸다. 큰 고라니 한 마리가 나를 한참 쳐다봤다. 왠지 너 때문에 우리가 불편해.’라는 표정이었다. , 가족 소풍 중인데 방해가 되었나 보군. 미안해.

 

그 후 작은 정원에서 꿩을 만나거나 언덕으로 달려가는 족제비를 보기도 했다. 먹을 것이 없는 이른 봄에 고라니는 사철나무로 심어진 내 울타리를 뜯어 먹고 갔다. 시도 때도 없이 들리는 고라니 소리는 이제 익숙해졌다. 다만 서툰 농부인 내가 어렵게 기른 쌈채소를 한 잎도 남기지 않고 먹고 간 날은 화가 났다. , 좀 나누어 먹고 살자!

 

내 작은 언덕을 예쁘게 치장하기 위해 구절초 씨앗을 뿌리고 제법 비용을 들여 꽃모종을 여기저기 심었다. 결과는 환삼덩굴과 개망초의 완벽한 승리였다. 잡초에 강하다는 구절초는 몇 포기 나오다 죽고 꽃모종들은 환삼덩굴과 찔레나무가 다 잡아먹었다. 사실 잡초가 어릴 때 제거해주었으면 사고를 막을 수도 있었을 텐데, 결국은 내 게으름이 꽃모종을 다 죽인 것이다. 데이지와 수국에게 정말 미안하다.

 

여우와 나는 동물학과 식물학을 공부하고 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캐서린 레이븐이 황무지에 오두막을 짓고 살며 여우를 만나 나눈 교감에 대해 쓴 글이다. 작가는 레인저(국립공원 산림감시인)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작가 소개를 그냥 생물학자로 쓸 수도 있지만, 굳이 그녀의 이력에 대해 늘어놓은 이유는 끝없이 촘촘하고 한없이 다정한 그녀의 식물과 동물에 대한 애정에 대해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작가 캐서린 레이븐은 오두막 근처에 사는 나무와 풀들, 동물의 이름을 하나하나 다정하게 불러준다. 책을 읽다 보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물의 이름을 알고 불러주는 그녀의 관심에 압도된다. 그녀가 생물을 대하는 자세는, 공부해서 쌓은 지식이 아니라 마음이 낳은 자식에게 품은 사랑으로 여겨진다. 자연의 어머니가 되어 품고 돌보는 그녀의 태도에 감탄하면서, 내 오두막에 찾아오는 동물을 불편해하고 이름있는 식물을 잡초라고 부르며, 꽃을 죽인 범인으로 몰아간 내가 부끄럽다. (그래도 환삼덩굴은 반드시 어릴 때 뽑아야 하고 찔레나무와의 전쟁은 계속된다.)

 

작가는 오두막을 방문(?)한 여우에게 셍텍쥐베리어린 왕자를 읽어 준다. 가까운 도시에 강의를 가는 동안에도 여우가 보고 싶어 매일 저녁 오두막으로 돌아온다. 어떤 이들은 사람과 야생동물 사이에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고 믿으며 동물과 인간을 가르는 협곡을 건너는 일은 무모하다고 주장한다. 작가도 처음에는 그 규칙에 대해 고민한다. 그리고 협곡을 건너기를 주저한다. 시간이 흐르고 여우와 작가는, 야생동물과 인간의 미묘한 간격을 무너트린다. 작가는 달빛과 어린 여우 네 마리가 함께 춤추는 것을 본 날, 자신이 최종 선택해야 하는 가치에 대해 생각한다. 심장에 꽂히는 떨림을 얻기 위해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 알게 되는 것이다.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다르다. , 명예, 권력, 그리고 이상을 가치로 두는 경우, 제각기 삶의 방식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누군가는 자신과 다른 기준을 가진 사람을 낯설게 보기도 하고 가엽게 생각하기도 한다. 현대 사회는 재력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것 같다. 돈이 많은 사람이 힘을 가지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심지어 명예나 권력도 자본으로 살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 가족에게 내 자발적 퇴직에 대해 얘기했을 때, 가족들은 입을 모아 나에게 잘못하는 거라고 말했다. 그들은 내가 오랜 시간 노력하여 경력자가 되었으며 그 덕분에 안정적인 수입을 얻고 있는데, 퇴직은 아깝고 어리석은 일이라고 말했다. 때로는 경제력이 사람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그 당시 나는 이대로 계속 달리면 죽을 것 같다는 위기감을 느꼈고 살고 싶어내 인생에 브레이크를 걸었다.

 

그리고 지금 나는 오두막에서 산다. 캐서린 레이븐처럼 넓고 황량한 황무지는 아니지만, 외진 산자락에서 산에 사는 이웃들을 만나고 온갖 풀들과 싸우고 있다. 내가 길들이거나 나를 길들인 동물은 없다. 매일 오후 415분에 찾아오는 여우도 아직 만나지 못했다. 가끔 길고양이들이 찾아와 작은 정원에서 뒹굴다 간다. 어느 날, 너무 어려 겁을 상실한 새끼고양이가 단풍나무 아래 벤치에서 책을 읽고 있는 내 무릎에 올라오려고 작업복 바지에 매달렸다.

 

진과 토닉, 테니스공과 찢긴 꼬리, 작가가 불러주는 수많은 식물과 동물의 이름들, 그녀의 오두막에서 바라보는 하늘과 구름과 노을, 달빛과 바위, 뜨거운 햇볕과 소나기를 사랑한다. 그리고 우리 여우가 산길을 내려와 대나무숲을 지나 내 정원의 자주달개비 옆에서 기지개를 켜고 앉아 나를 기다리기를 소망한다. 나는 여우에게 어떤 책을 읽어 줄까, 고민한다. ‘권정생작가의 강아지 똥을 읽어 줄까? 그러면 우리 여우는 꽈아~’하고 소리를 내며 웃는 것도 우는 것도 아닌 표정으로 나를 바라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