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훔친 위험한 冊들 - 조선시대 책에 목숨을 건 13가지 이야기
이민희 지음 / 글항아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리학의 나라 조선


조선에서는 성리학에 어긋나는 사상을 담고 있다는 사유를 들어 책과 책의 저자를 사문난적으로 몰았다. 이 책은 그러한 조선의 사회상을 더 심도 있게 해석하려고 한 듯 하다. 즉 저자는 금서가 되어버린 책의 내용을 이야기 하는게 아닌, 그 책이 금서가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이야기 한다. 그리고 당시의 사회가 어땠었는지를 보여준다.


조선시대 중반이 되면 사회적으로 앎의 욕구기 높아지면서 그에 맞춰서 책을 읽고자, 혹은 사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가 계속된다. 하지만 당시의 기득권 층은 그 요구를 끝까지 묵살했다. 당시 사회에서 무언가를 안다는 것, 지식을 습득한다는 것은 바로 권력이기 때문에. 


이 책에는 당시 백성들에게 앎을 허락하지 않았던 기득권층에 대한 비판도 곳곳에 담겨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서울 내의 풍부한 서적을 보유한 개인 소유의 도서관을 여럿 알고 있다.

그러나 한 번 보는 것만도 완전히 불가능하다.

그 주인은 책을 빌려주지도 않고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손님에게 절대로 책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들로서는 빌려주고 싶지 않으면 그만이겠지만, 왜 그 책을 그렇게 보여주지 않으려는 것인지

그러한 조선인의 관습을 설명하기 힘들다.

-선교사 호머 B 헐버트



만일 만 권의 책을 저쟁해놓고도 빌려주지도 않고 읽지도 않고 햇볕을 쏘이지도 않는 사람이 있다면

빌려주지 않는 것은 인(仁)하지 못함이요, 읽지 않는 것은 지혜롭지 못함이요,

햇빛을 쏘이지 않는 것은 부지런하지 못함이다.

사군자가 글을 읽자면 남에게 책을 빌려서도 읽는 법인데

책을 꽁꽁 묶어놓기만 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이덕무


수 많은 이야기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내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위의 두 문구이다.


이 책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는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다. 즉 고도의 기술인 인쇄술이 서양의 인쇄술보다 최소 2백년이 앞섰던 것이다. (개성에서 발견된 금속활자 '복' - 국립중앙박물관)

하지만 우리의 조상들은 이런 고도의 기술을 권력의 도구로만 사용했다. 조선으로 넘어와서도 역시나 책은 기득권층의 소유물이었다. 무언가를 안다는 것 자체가 권력이던 시대였으며 그 권력을 일개 백성들에게 나눠줄 수 없었던 시대였기 때문에..


반면 서양의 금속활자를 제작한 구텐베르크는 성경을 제작하여 널리널리 보급하였다. 서양의 인쇄술은 이때를 기점으로 기하학적으로 발전하였고 백년도 안되는 시간동안 수 만권의 책들이 발간되었다.

많은 일반 민중이 읽었고 그렇게 그들은 많은 지식을 습득하였다. 그리고 서양은 엄청난 발전과 더불어 빠르게 근대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조선에서는 기득권층이 책을 꽁꽁 숨기고 심지어는 죽어서 무덤까지 가지고 가는 기현상까지 일어났다. 양반들끼리도 이럴진데 일반 백성들이 책을 보는 건 택도 없는 일이다. 우여곡절 끝에 책을 구했더라도 책이 전부 한자로 되어있다면 ? 정말 택도 없는 일이다.


앎의 권리가 없었던 백성들은 그렇게 오랫동안 모른 체로 살아왔고 비합리적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다. 그리고 국가에 위험이 있었을 때 마다 제일 먼저 희생을 당했다. 지금 껏 아는 것이 없었고 알 수 있는 기회조차 없었던 그저 하라는 대로만 해왔던 힘 없는 백성이었기에..


지금은 클릭 한 번으로 수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물론 정보의 양이 너무 많아져서 진위여부 판단이 필요한 경우도 많지만.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안다는 것 자체가 힘이 된다는 건 지금도 유효한 전제이다. 우리의 힘 없는 조상들은 못했던 기득권 세력에 대한 감시가 지금은 가능하다. 


그렇기에 무언가를 안다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이 책으로 하여금 다시 한번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