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사냥꾼을 위한 안내서 - 제2회 중앙 장편문학상 수상작
오수완 지음 / 뿔(웅진)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책사냥꾼이라는 의미가 주는 느낌은 뭐랄까?...책을 좋아하고 살앙하는 수많은 독자들에게 익숙한 느낌이다. 사실상 책을 사냥하러 다니는 분들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지만 책을 좋아하는 분치고 헌책이나 중고책을 찾아보지 않은 분들도 드물 것이다. 희귀본이라는 희소가치를 굳이 따져보지 않더라도 나만이 소장한 작품 하나가 얼마나 그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 보는것도 나름 재미있는 관찰중의 하나가 될테니까..물론 난 책에 대한 심한 욕심은 없는 관계로다가 딱히 소장 의욕이 넘치는 뭐 그런 작품을 찾지는 못하고 있지만 무엇인가 나만이 간직할  수 있는 필이 딱 꽃힌 작품이 있다면 책사냥꾼을 고용해서라도 비싼 값에 살 수도 있을 듯하다. 물론 책으로 장사를 할 목적으로 책 사냥을 의뢰하는 분들도 음지에서 많이 활동하시고 있을 수도 있겠다...물론 내 관심밖이기는 하지만...정말 있기는 있나?..

 

책을 읽다보면 특히나 장르소설류를 읽다보면 고서적에 대한 미스터리나 죽음과 연관된 뭐 그런 희귀 초판본의 의미를 보여주는 팩션류나 음모설이 난무하는 작품의 배경을 많이 접하게 된다..하루에도 수십만권의 책이 출간되어지고 인쇄되어지는 현대의 세상에서 하늘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별들보다 더 많은 책들이 존재한다는 사실...그중에서도 사람의 목숨값보다 더 비싸고 의미가 있는 한 권의 책이 존재한다는 뭐 이런 내용으로  책사냥꾼들이 설치고 댕긴다는 그런 내용인데...일반적인 시도는 아닌 듯하다.. 흔한 직종에 종사하는 흔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뭔가 음습하면서도 뭔가 퀴퀴한 냄새가 풍기는 헌책방 구석탱이의 습함이 느껴지는 뭐 그런 느낌의 작품이다...아무래도 헌 책과 관련된 내용이라서 그런갑따..줄거리는 이렇다...한 남자가 있어~ 책을 너무 사랑한...한 남자가 있어...착을 사냥하고 다니는 이름난 사냥꾼이...그가 반디이다..그런 그에게 윤선생이라는 미도당을 운영하는 책 브로커가 의뢰를 한다. 이렇게 이야기는 시작되고 자신이 사냥을 하는 책과 함께 주위 인물들과 엮이고 배신과 믿음을 생각하게 된다는 뭐 그런 이야기 되시겠다...어떻게 보면 아주 단순하다..."책을 찾아달라..알았다..내가 찾아주께..돈주라..."그리고 그는 책을 찾는다..그 와중에 여러가지 어려움과 고통의 과정을 겪게 되고 결국 진실은 아주 가까운곳에 있더라....이렇게 결말 지어지는 뭐 그런 내용인 만큼 단순해 보이는 줄거리가 되시는데 그 중간중간에 드러나는 책과 연관된 관념적 의미들이 상당히 혼란스럽다....

 

그러니까 고서적들과 관념적 내용이 많은 희귀본의 내용도 많이 나오고 배경 자체도 현대의 사회이지만 책이라는 주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아주 피폐해진 형태의 공간적 배경이 나온다..그리고 주인공은 일반적이지 않은 책사냥꾼이다..잘 모르는 세계이니 만큼 궁금증이 증폭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뭔가 어드벤쳐적인 느낌이 많이 들어있으니 독자들을 사로잡을만한 기본적인 구성은 딱 이루어졌다고 보는데...실상 펼쳐보면 어지럽기만 하다. 작가가 의도한 서론이고 시작점이었겠지만 대중소설에 대한 입맛을 들인 독자의 입장에서 시작까지 도달하기가 짜증스러웠고 이에 대한 내용 또한 말장난도 아닌것이 문장의 오묘한 조화도 아닌것이 괜히 얘가 날 놀리나?..하는 어처구니 없는 생각마저 들 정도로  문장속의 어휘적 반복을 남발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었을 정도다..물론 이런 의도 자체가 나쁘다는것은 아니지만 굳이 작가가  문장의 내용을, 어휘의 내용을 이렇게 돌려가며 말을 만들어낼 재능이 뛰어나다라고 밖에 생각이 안들었다. 그리고 사건의 진행과정에 있어서도 분명 상황에 걸맞는 내용이 이루어지고 결말까지 제대로 달려간 것은 맞는데 그 내용을 쉽게 머리속에 인지해 넣기가 무쟈게 어려웠다는거쥐...어떤 의미에서 장편문학상을 받으셨는지는 모르겠고 일반적인 대중문학의 구성상의 가독성에 있어서는 아주 불쾌할 정도의 사건진행과 결말적 내용이 아니었나 싶다...개인적으로 내가 회고록의 형식으로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중심으로 책샤냥꾼을 위한 안내서를 만든다고 하면 이런 식의 안내서는 말 그대로 책사냥꾼만 봐야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일반인을 위한 안내서는 아니었다.,..그중에서도 대중소설을 편안하게 읽어내려가는 독자의 편리를 봐주는 그런 내용은 아니었다..라꼬 할 수 있겠다. 상당히 창의적인 주제인것은 맞다..하지만 사건의 진행과정이나 흐름과 결말은 어디선가 본 듯한 줄거리형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역시 잘 짜여진 주위의 인물과의 연관성 또한 제대로 끼워맞춘 것은 맞는데...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연관성이 아니라 뜬금없이 화장실 문을 열어제끼면 놀라면서도 황당스럽듯 소설속 연관성의 반전들도 그러했다...

 

괜히 상받은 작품에 대한 험담만 늘어놓은 것 같지만 어쩔 수 없다. 내가 느끼는 재미는 어디까지나 대중적 키차에 국할 될 수밖에 없고 그 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면 재미없는거 아닌가?..그래서 개인적으로 이 책은 재미없었다..하지만 오수완 작가의(이름가지고 장난치면 안되는데..죄송스러운 말씀이지만 난 자꾸 오비완 케노비가 생각난다..좋은 의미입니다요..ㅋ) 능력과 향후 보여줄 역량이 더 크다는 점에 한 표를 걸어보고 싶다라꼬 마무리를 하면 좋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어중간한 작품보다는 보다 대중적이든 보다 관념적인 순문학이든 잘 선택을 해주셨으면 하는 바램이다...뭐 작가가 글을 쓰는 이유가 많이 있겠지만 어떤 이유에서건 독자에게 선택되어져야만 작품의 생명력에 활기를 불러 일으키지 않을까 싶다..이거 뭐 나혼자 선택 안하는거 아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