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마지막 장미
온다 리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침스럽고 고풍스러운 퇴폐적 아름다움을 보여주는듯한 이미지가 아닌가?...  어두운 배경속에 만개한 장미 한송이의 느낌이 아주 그럴 듯 하다..이 느낌 그대로 이 소설속의 끈적거림까지 이어진다면 참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텐데..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펴들었다.. 온다 리쿠작가의 특색이 잘 스며든 작품임을 짐작하고 펼쳤지만..어라 이건 본격추리스타일인데?...이거 온다 여사 작품인데?... 그러니까 구성 자체가 기존의 온다 여사의 작품들에서 보아온 내용보다 조금은 업그레이드 된 느낌이다...

 

작품의 내용을 말하려면 이 작품의 구성을 먼저 파악해야할 것 같다..어떤 구성이냐하믄 하나의 배경을 두고 각 챕터별로 시점과 피해자가 달라지는 그런 내용이다..그러니까 챕터별 주제가 변주라는 거다..내가 음악을 잘 모르지만 변주라 하믄 하나의 기본선율을 중심으로 다르게 연주한다는 뭐 그런거 아니겠는가?...총 6개의 변주를 펼쳐놓았다. 구심점은 이렇다...산속의 고풍스러운 호텔에 매년 열리는 가족모임 비스므리한 행사가 있다..세자매인 이치코, 니카코, 미즈코가 손님들을 모셔서 자신들의 행사를 진행하는 뭐 그런 배경인데 이 모임에 초대된 사람들의 입장에서 펼쳐지는 소설인것이쥐...그러니까 폐쇄된 공간이 나오고 계속 이어지는 죽음이 나온다..그러니까 본격 미스터리의 클로즈드 서클을 기본으로한 소설을 표방하고 있다는 거쥐...일단은 재미로 시작했다..하지만 온다 리쿠식 색채감은??..혼합식으로 먹기가 쉽지않은 감성인데??..잘 어울릴 수 있을까??.하믄서 꾸준히 추리적 내용으로 파고든다..자, 폐쇄적 공간과 순차적으로 늘어가는 죽음들 하지만 다음 챕터에서는 앞 챕터에서 죽은 사람이 버젓이 살아있고 또다른 죽음이 이루어진다는 내용이다..헷갈리쥐?..자세히 살펴보자..그러니까 줄거리는 뭐 이렇게 챕터별로 사람들이 죽어나가는데..결국 진실은 허상이고 허구이고 거짓말이더라..뭐 이런 내용이다.응?..장난치냐?..더 헷갈리구만..ㅋ

 

색다른 구성이라서 더 흥미가 있었던 것 같다.. 그동안 몇 몇의 온다여사의 작품에서 느꼈던 작품적 감성은 이 작품에서 추리적 요소의 의도와 맞물리면서 상당히 색다른 작품적 느낌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특히나 미스터리적 판타지 감성이 아주 강하게 묻어나는 내용들이 뭐랄까?...헷갈리는 프랑스 영화 한편 본 듯한느낌이 든다..그러니까 나름 똑똑한척하는 고전 프랑스 영화들 있잖은가?..무척이나 지루하지만(참고로 이 소설은 절대로 지루하지는 않다..오해는 말자!!) 뭔가 야릇한 뒷끝을 안겨주는 ..물론 이 소설속에서도 그런 프랑스 영화와 관련된 인용이 나오긴 하지만...하여튼  책장을 덮고 나면 찝찝한 뭔가가 있는데 말로 표현하고 설명하기가 까다로운 느낌이랄까?...온다식 감성에 기댄 멍한 결말이 아닐까 싶다..

 

온다 리쿠의 특유의 여성적 섬세한 상상력과 허구적 필력이 넘치고 그녀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인간적 관계의 꼼꼼한 묘사와 심리적 터치가 아주 두드러진 작품이 아닌가 싶다. 각 챕터별로 변주된 등장인물들의 미묘한 감성선과 대립적 의도와 근친적 본능과 동성애까지 줄타기하는 긴장감을 잘 살려내는 묘사가 아주 돋보이는 작품이고 시선의 변화로 인해 독자의 호기심과 감성을 잘 끌어내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자꾸만 변죽만 울리는 평이 되어버리는데-이 작품의 의도는 이렇게 정리하면 어떨까 싶다.." 같은 장소, 같은 시간, 다른 기억들"..더 어려울 수 있겠으나 동일한 장소에 모인 사람들의 각각의 시점으로 이루어진 다른 기억의 편린들을 마지막에 하나로 뭉쳐내는 기억을 중심으로 펼쳐낸 본격추리소설이라고 보면 어떨까 싶다....

 

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랑스 영화 한 편이 중요하단다..물론 소설속에 계속적으로 인용되는 작품인데.."지난해 마리앙바드에서"라는 영화로서 상도 받았단다...아주 지루하고 반복적이고 기억에 대한 편린적 허구성을 추상적 카메라 워킹등과 함께 지적 판타지(?)를 선호하는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은 영화란다..물론 난 절대로 보지 않을 뭐 그런 부류의 영화가 되겠다..그래서 깊게 알아보지도 않았다.하여튼 그 영화때문에 이 작품 "여름의 마지막 장미"의 모티브를 얻었다고 하니..관심있는 분들은 연관해서 살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듯하다.. 원작은 알랭 로브그리예라는 작가의 작품을 알랭 레네감독이 영상화했단다..물론 원작이 영화적 기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거쥐.. 자꾸 말하면 더 어려워진다...궁금하신분들은 살펴보시고...인터넷에 다 나온다..하지만 개인적으로 이 영화의 인용과 내용의 연속성에 끼워넣은 구성으로 난 더 독서의 이해력을 떨어뜨리는 결과가 되었던 것 같다..솔직히 "지난해 마리앙바드에서"의 인용부분은 상당부분 건너뛰어버리는 결과가 되어버린 상황이 되어버렸으니 나에게는 좋은 구성은 아니었던 것 같다.

 

평을 하려고 하면 상당히 어려운 내용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 이야기다...인간의 심리적 기억과 개인적 환상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작품인 관계로 있는 그대로 보여지는 그대로 내용을 말하고 입장을 전달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었다...하지만 온다리쿠를 사랑하는 많은 분들에게는 아주 즐거운 작품으로 보여지게 되지 않을까싶고 온다 리쿠를 잘 모르는 독자분에게는 이후 온다 리쿠의 작품으로 들어서기에 이 작품으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