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잉 아이 - Dying Ey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이미지가 강렬하다. 책의 내용을 둘째치고라도 이 책 표지와 제목을 보게된다면 읽고싶어지는 매력이 들 수밖에 없겠다.. 제목과 어울리게 눈하나로 모든걸 담은듯한 느낌...도대체 무슨 내용이길래 이토록 강렬한 표지이미지를 만들어낸것일까?.하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펼칠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 작가가 누구신가?..국내작가분보다 더 국내에서 히트작을 많이 만들어내신(?) 게이고쎈세이가 아니시던가?..일단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이름 하나만으로 50%는 잡수시고 들어가시는 분이시다.. 과연 내용은 표지의 강렬함만큼의 즐거움을 줄만한가?..


 

제목부터 살펴본다면 "다잉아이"라는 의미가 주는 느낌은 상당히 임팩트가 강하다..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의 눈이라는 뭐 그런 의미가 되시겠는데... 시작에 그 의도가 분명히 나타난다..한 여인이 자전거를 타고 늦은 시간 귀가를 하다가 사고를 당해 처참하게 죽음에 이르게 된다.. 그 죽음에 이르는 순간 자신의 눈과 마주친 가해자의 눈에는 죽어가는 여인의 강렬한 복수와 체념과 고통과 배신과 집착이 담긴 원혼의 눈을 보게 된다는거쥐...이렇게만 보면 상당히 공포스러운 내용으로 흘러가야되는게 맞는데 이 다음부터 벌어지는 일들은 일반적인 추리형식을 그대로 따와서 진행해 나간다..신스케라는 주인공이 있다..이 친구가 사고를 낸 사람이다. 그리고 신스케는 죽은 여인의 남편에게 뒷통수를 후려맞고 죽다 살아난다..그리고는 신스케는 교통사고가 일어날 당시의 기억을 잃어버리는 부분기억상실이 생긴다..그리고 그 죽은 여자의 남편은 자살을 한다...그래서 호기심이 생기게 되고 교통사고와 관련된 잃어버린 기억을 찾고자하는 집착이 생겨나고 이때부터 자신의 주위에서 그 사건과 관련하여 이상야릇한 일들이 벌어지면서 소설의 진행은 야리빠꿈쌉싸리불라얄라리얄라쏭으로 휘몰아쳐간다는거쥐...

 

게이고쎈세이이시기 때문에 가능한 즐독현상이 아닌가 싶다. 뭐 한마디로 술술~~이라고밖에는 할말이 없다..재미가 있든 없든 상관없이 문장을 이어나감에 있어서 거침이 없다.. 특히나 뒷내용을 궁금하게 만드는 재주하나는 기기차게 구성해내신다는거쥐...대단하신 양반이시다. 하여튼 특이한 주제를 중심으로 추리적 형태를 띄고 극을 이끌어나가는 구성이 그렇게 구태의연하게 허접하지만은 않다. 나름 늘 고민하고 생각하는 작가임에는 틀림없다는 생각을 해보면서 가을을 맞이하여(이제 겨울이라해야되나?)이 작품에 대해서 감놔라 대추놔라함 해보자. 그러니까 참 재미있는 소설이다..읽는 즐거움이 있고 게이고썬세이이기에 가능한 자동책장넘김기능(?)이 있다... 구성에 있어서 말이지....이 사건이 시작되는 내용중에서 가장 중요한 신스케가 머리를 맞는다 말이쥐...죽은 여자의 남편이 성이 많이 났다..그리고 남편은 자살한다...왜?..이게 추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이게 정리가 어중간하다는거쥐...그리고 추리를 해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독자를 바보로 아는것도 아니고 인조인간 337(?)은 좀 무리수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도 해보고 신스케가 자신의 기억을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뭐랄까?..재미는 있는데..궁금증도 유발시켜주는데 마무리를 제대로 못하고 끝내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보고 추리를 해나가는과정에 등장하는 주위 인물들의 구성 자체에 의문부호를 수십만개를 달 수 밖에 없는 내용이기도 하다. 다른 소설같으면 이런 허술한 내용이라면 아주 머리에 별을 수천만개 달아주어야할 판이지만 우째 게이고쎈세이이기에 읽는 재미는 있었다는거쥐. 왜일까?..난 일단 내용의 허술함을 중요시하기는 하지만 재미를 먼저 따지고 보는 사람이다...여러 장르를 번갈아 보는 사람이 아니라 재미를 찾아 어슬렁거리는 킬리만자로서점의 하이에나처럼 펄프픽션류에 맛을 들인 사람이라서 그렇다고 볼 수 있겠다.

 

표지의 강렬함만큼의 매력적인 내용은 아니었으나 읽는 동안 책에 몰두하게 만드는 집필능력을 늘 선보여주시는 게이고쎈세이이시기때문에 그럭저럭 즐거운 독서시간이었다고 생각해보며 이 책은 읽는 분에 따라서 평가가 상당히 많이 달라질 경향이 엿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우와..이거 넘 전문적이지 않아??..참고로 표지커버는 흰색바탕이어도 빤딱빤딱한 재질이어서 때가 별로 안타더라...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