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연대기 샘터 외국소설선 5
레이 브래드버리 지음, 김영선 옮김 / 샘터사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머리속에 각인되어 있는 화성의 이미지는 토탈리콜이라는 조금은 잔인하고 파괴적이고 엽기적이었던 영화의 황량한 화성의 이미지와 공기가 희박한 공간속의 화성에서 인간이 아무런 장비도 없이 노출되면 눈알이 튀어나오고 몸이 부풀러 올라 터져버리던 이미지가 가득했다..물론 그 이후로 상당히 많은 화성과 관련된 영화들을 보아오면서 대부분의 화성의 이미지는 붉고 황량한 진흙같은 메마른 토지의 느낌이었다...물론 이 작품 "화성 연대기"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하지만 이 작품의 연대를 보고 깜짝 놀랐다...내가 알던 화성의 이미지를 창출해냈다고 생각했던 시대 이전의 작품이니 말이다..솔직히 SF과학소설이라는 개념이 장착된 부류의 작품들을 읽어보질 못하다보니 이런 무지가 생겨날 수도 있겠다..브래드버리 작가 이전에도 화성을 이런식의 이미지로 만들어 놓은 작품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작품속에 등장하는 배경속의 화성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아마도 이 작품후에 화성을 주제로 삼은 대중적 매스미디어들은 이 작품속의 화성의 이미지를 많이 빌려쓰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해본다...아닌가?....아님 말라고 늘 말했쥐??.


 

고전이다... 수많은 대중적 장르소설속에서 언급되기도 한 전설적인 작가이시라는데.. 물론 몇몇 작품속에서 래이 브래드버리의 작품을 칭송하는 경향을 엿보기도 했다...그러려니 했다..뭐가 다르길래..이 작가를 그렇게나 전설적으로다가 칭송을 해대는지 알수가 없었다. 에스에푸작가라는데 시적 감성과 철학적 의도가 뚜렷한 과학적 상상력이 빚어낸 블라블라~~뭐 이런 이야기를 수도 없이 들었다...그러다가 이번에 딱 걸렸다...ㅋ..이 작품의 서문에서도 변함없이 칭송하고 또한 얼매나 대단한 작가면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의 이름에 브래드버리가 들어간단다...가문의 영광이 아니겠는가?...왜 이처럼 대단타!!~대단타!!~하는지 난 이 책을 읽어보고 알았다. 이 작품은 한번에 장편으로 집필된 작품이 아니라 아서클라크나 뭐 이런 SF작가들처럼 잡지에 연재한 화성관련 이야기들을 모아서 연대기형식의 시간적 배경으로 정리한 작품인거다.. 늘 과학소설을 칭할때 등장하는 삼대 작가들이 있다.. 클라크와 아시모프와 하인라인이라는 거장들인데...동시대를 관통하는 작가군에서 브래드버리는 이들과 경향을 달리하는 문장력을 보여주는 작가라고 서문에서 말하고 있는데??..왜?..

 

화성에도 생명이 있다..그리고 화성인이 살고 있다...평화롭다고 하기에는 조금은 황량한 곳이지만 이곳에 로켓을 탄 지구인이 찾아온다...두려움을 겪는 화성인들은 지구인을 죽인다..그러나 변함없이 지구인은 들이닥치고 화성인은 그런 지구인에게 자신의 자리를 내어준다..사라져버린 화성인들...그리고 찾아드는 지구인들...마지막 생존한 화성인들은 지구인들의 거울과 같은 존재가 되어 그들속에 포함된다.. 그리곤 지구에 대전쟁이 일어나고 다시 지구인들은 자신의 지구로 돌아간다..이제는 아무것도 남지않은 화성의 모습속에 진정한 화성은 사라져버린건 아닐까??..

 

상당히 무서운 작품이다...이 작품을 읽어면서 공포스러운 외로움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었다... 황량한 배경과 파괴적 본성이 만들어낸 과도한 죽음과 혼자남는다는 고통의 맛이 아주 색다른 감성으로 다가왔다..특히나 인간의 모습속에 감춰진 고통의 일부분을 화성인이 재창조하여 고통을 행복으로 바꿔줄때 즐거워야함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라져버릴것이라는 예상이 더욱더 공포스러웠다... 난 그렇게 봤다..전반적으로 화성인의 관점에서 또는 화성의 관점에서 보여지는 지구인의 본성과 야성과 파괴적 본능등을 표현하고 있어서 그 느낌이 더욱더 바삭바삭하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어떻게 보면 상당히 지루한 내용일 수도 있는 고전적 취향이 그대로 담겨져 있지만 몇권되진 않지만 봐왔던 여타 과학소설에서 느껴보지 못한 인간적(?)이고 감성적이고 편안한(?) 철학적 개념을 머리속에 주입시켜주는 작품이었던것 같다. 

보다 과학적 의도에서 창조적이고 독창적이며 근거와 증거와 발견적 의도에서 인류의 미래를 예상하는 작품적 형태가 아니라 딱딱하지 않고 인간적 관점에서 출발한 미래적 소설이 아닌가 싶어서 난 좋게 봤다. 또한 문장속에 감춰진 수많은 감성들이 어렵지 않게 가슴속에 스며드는 따스므리한 과학소설이라는 점이 더욱더 좋았다. 그리고 오늘날짜에 코리안타임즈인가 하는 신문에서 이렇게 나오더라..."3000년대에는 화성정착 가능"이라고...뭐야 이거??..우연인거야?..ㅋㅋ. 이 신문에서도 화성 연대기에서처럼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화성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기사를 실었다..과연 화성에서 지구인들이 정착을 하게되면 어떻게 될까?....

(코리아타임즈에서 빌려옴 - 화성의 이미지)

 

화성이라는 행성의 존재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지 않은가?..신비롭기도 하고... 물이 있니?..빙하가 있었니?.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하니?..위성으로 찍은 화면속에 인간의 얼굴모습이 있니?.. 산소가 희박하지만 인간이 살 수 없지는 않다느니??.....이 작품이 쓰여졌던 40년대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화성의 신비로움은 참 맛깔스러운 대중적 재료임에는 틀림없나보다...근데 참 궁금한게 40년대에는 화성사진이나 이미지가 상상만으로 만들어졌을텐데 어떻게 지금 우리가 보는 화성의 이미지와 그렇게 비슷한걸까?...하여튼 대단한 상상력이라니까??..안그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