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9 : 별과 우주 -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9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지음, 김인하 외 그림, 맹승호 감수, 이우일 캐릭터 / 사회평론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KakaoTalk_20210828_230358058.jpg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1.jpg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9. 별과 우주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북두칠성 국자 모양으로 생긴 별자리로 큰곰자리의 일부분 

 북극성 지구의 북극 위에 떠 있는 별

 태양 태양계에서 유일한 별로 스스로 빛을 냄

 수소 별에 많은 물질로 별이 빛을 내는 데 쓰임

 우리은하 우리 태양계가 속한 은하로 막대 나선은하

 관측 가능한 우주 우리에게 도달한 빛으로 파악한 우주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2.jpg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3.jpg



1교시 별자리

밤하늘의 길잡이는 누구?


 지구에서 보이는 별들을 몇 개씩 묶어 여러 가지 동물이나 사람 물건에 이름을 붙인 것을 바로 별자리라고 해요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 별자리 80여덟개를 정했고 지구에서 별자리를 이루는 별들까지의 실제 거리는 각각 달라요


그렇다면 이러한 별자리는 어디에 쓰일까요 별자리는 동서남북 방향을 찾을 때 이용할 수 있어요 북두칠성이 있는 곳이 바로 북쪽 이거든요 천체의 위치를 찾거나 나타낼 때도 이용할 수 있어요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이아 자리를 이용해서 북극성의 위치를 찾고 별자리를 이용해 유성우의 위치도 나타낼 수 있어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존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데요  지구의 북극 위에 떠 있는 북극성과 그 주변에 위치한 큰곰자리 그리고 작은곰자리 또 카시오페이아 자리 등은 일 년 내내 볼 수 있기도 해요



2교시 별

별은 영원히 똑같을까?


 스스로 빛을 낼 수 있고 둥근 모양인 전체를 별이라고 해요 중심부에서 수소 수소 여러 개가 합쳐져 헬륨으로 변하면서 빚을 낼 수 있게 돼요 항성이라고 도 한답니다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일생을 보자면 성간물질이 뭉쳐져 둥근 모양이 되고 수소가 합쳐지면서 빚을 내는 별이 되요 수소가 모두 바닥나면 헬륨이 합쳐지면서 크기가 커지고 헬륨이 바닥나면 중심 부분은 작은 천체로 남고 바깥 부분은 다시 성간물질이 되요 별의 질량에 따라 그 일생은 다를 수 있는데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은 블랙홀이 되기도 해요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4.jpg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5.jpg




3교시 별의 거리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자가 있을까?


 관측하는 사람이 움직일 때 관측이 이루어진 두 위치와 물체가 이루는 각도를 시찰하고는 각도를 시 차라고 해요 시차와 거리의 관계를 보자면 물체가 가까이 있으면 시차가 크고 물체가 멀리 있으면 시차가 작아져요


 천체간에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미터나 킬로미터 보다 훨씬 큰 단위를 써서 우주 상에 거리를 나타낼 수 있어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1로 잡은 거리 단위가 바로에 AU인데요 주로 태양계에서 사용하고 1에 AU는 약 1억 5000만 킬로미터 정도가 된대요  시차를 이용해 잰 별까지의 거리를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만든 거리 단위로 파섹을 써요 1파섹은 약 20만AU 그러니까 약 3.26 광년이 돼요  (빛이 1년 동안 나아간 거리를 일로 잡은 거리의 단위가 광년이에요)



4교시 빛의 밝기

별의 밝기를 정확히 나타내려면?


 별의 밝기란 별이 내뿜는 빛의 양과 지구에서 별 까지의 거리의 영향을 받으며 거리에 따른 별의 밝기 변화를 보면 별이 멀리 있을수록 밝기는 빠르게 줄어들고 거리가 두 배가 되면 밝기는 4분의 1로 줄어들고 거리가 세 배가 되면 밝기는 9분의 1로 줄어들어요


 별의 밝기를 숫자로 표현한 것을 별의 등급이라고 하는데요 등급을 나타내는 숫자는 밝은 별일수록 작아지고 어두운 별일수록 커져요 일등 성은 육 등 성보다 100 백배 정도 밝아요


 맨눈이나 망원경 등으로 보았을 때의 등급은 실제 밝기를 알 수는 없기 때문에 겉보기 등급이라고 표현하고 별들을 모두 지구에서 10파섹의 거리에 있다고 생각했을 때의 등급이 바로 절대등급으로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돼요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6.jpg


KakaoTalk_20210828_230358058_07.jpg



5교시 우리은하

은하수의 정체는?


 수많은 천체가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을 바로 은하라고 하는데요 우리 태양계가 속한 은하를 우리은하라고 해요 옆에서 보면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모양이고 위에서 보면 막대 모양의 중심부를 나선팔이 감고 있는 모양이에요  성단, 성간 물질, 성운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구에서 우리은하의 일부분이 보이는 것을 은하수라고 해요


 별들이 모여 있는 집단을 성단이라고 해요 우리은하 중심 쪽에서 별들이 공 모양으로 모여 있는 것으로 주로 생긴 지 오래되어 온도가 낮은 별들을 말하는 구성 성단이 있고 우리은아 나선팔 부분에 별들이 듬성듬성 흩어져 있는 것으로 주로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온도가 높은 별들을 산개 성단이라고 해요




6교시 우주

우주는 얼마사 클까?


 우리은하 밖에 있는 또 다른 은하들을 외부 은하라고 해요  모든 외부 문화는 우리은하에서 멀어지고 있어요 우주는 팽창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우주의 팽창이론을 설명하는 것은 대폭발 설대폭발 설 즉 빅뱅 이론이라고 하는데요 137억년 전에 대폭발이 일어나면서 우주가 생겨났다는 이론이에요




사실 아직 우주에 대한 디테일한 개념과 정보가 있는 책들은 많이 만나보지 못했어요 그래서 이번에 릴리가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에 우주 관련된 책들을 고를 때 조금 걱정하기도 했었답니다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이 너무 많으면 그 책에 대한 호감도나 흥미도가 떨어지지않을까해서요 그런데 4컷만화 그리고 핵심 정리 부분과 개념 노트 부분들을 잘 이용해서 독서를 하다 보니 모르는 내용이 많았지만 그래도 그 안에서 재미있다는 것을 많이 느끼면서 책을 읽었던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