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르만 헤세의 사랑 - 순수함을 열망한 문학적 천재의 이면
베르벨 레츠 지음, 김이섭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8월
평점 :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사랑이다. 사랑으로 세상이 따뜻해지고, 삶이 아름다워진다. 이렇게 중요한 사랑의 결실로 이루어진 것이 결혼이다. 하지만 사랑의 결실인 결혼이 마지막 순간까지 아름답지 못하다면 그것은 누구의 잘못일까? 어느 일방의 문제일까? 아니면 두 사람 모두의 잘못일까? 아니면 애초에 첫 만남이 잘못된 것일까?
헤르만 헤세, 우리의 삶에 수많은 영향을 끼친 위대한 작가이다. 학창 시절에 헤세의 작품 <데미안>, <수레바퀴 아래서> 등을 읽고 얼마나 감동했는지, 지금도 가슴 한견이 아려온다. 그만큼 헤세는 수많은 독자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대단한 인물이다. 이런 헤세는 어떤 사랑을 했을까? 헤세의 결혼 생활은 어떠했을까?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 헤세의 사랑이나 결혼에 대한 이야기를 전혀 들어보지 못했다. 헤세의 전기나 자서전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너무나 궁금했다. 문학사에 길이 남을 천재의 사랑은 어떠했을까? 왠지 모르게 가슴 시린 너무나 예쁜 사랑을 했을 것이라는 상상을 하며 책을 읽기 시작했다.
헤세는 마리아 베르누이, 루트 벵거, 니논 돌빈이라는 세 명의 여성과 사랑을 나누고 결혼을 했다. 아니, 헤세가 사랑한 여성은 이들 외에도 많았다. 결혼이라는 결실을 맺은 이들이 세 명일 뿐이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세 번의 결혼이 문제가 될까? 종교적 신념 상 이혼에 반대하는 입장이기는 하지만 오늘날의 시선으로 본다면 그게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사랑과 결혼에 대한 헤세의 입장은 보통의 사람들은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극단적인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 책을 보면 헤세에게 중요한 것은 다른 이와의 사랑, 결혼보다 자신의 삶, 내면, 창작이 훨씬 중요했다. 헤세는 무언가 혹은 누군가에 얽매이기보다는 자유로운 삶을 살면서 자신을 내보이고 싶어 했다. 하지만 헤세의 생각과 그를 사랑하는 여인들의 생각이 같을 수만은 없었다. 헤세의 생각을 이해하고, 그를 방해하지 않으려 하고, 그를 포용하려고 하다가도 헤세의 180도 돌변하는 모습에 결국 사랑을, 결혼생활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헤세를 사랑한 여성에게 결혼은 오랫동안 꿈꾸어온 이상이었지만 헤세에게는 막다른 골목에서 이루어진 체념일 뿐이었다. 엘리자베트 루프의 글을 보면 헤세의 사랑이 어떤 것인지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당신은 사랑할 줄 모릅니다. 아니, 사랑을 할 수 없습니다. 에오바르(헤세의 분신)! 당신은 타오르기만 할 뿐, 나를 따뜻하게 해주지 못하니까요.”(p.240)
헤세는 분명히 활활 타오르는 불꽃이다. 하지만 다른 이를 따뜻하게 해주는 장작불은 아니다. 그저 자신만 태우는 호롱불이었을 뿐이다. 그렇다고 헤세가 자신의 말처럼 인간을 사랑할 수 없는 존재였을까? 글쎄라는 의문이 든다. 헤세는 세 명의 부인을 사랑했다. 단지 자기가 사랑할 수 있는 만큼만 사랑했을 뿐이다. 자신의 본질적 자아가 구속받지 않는, 진실하고 아름답지만 자유스러운, 그런 사랑을 했을 뿐이다. 그 사랑의 정도가, 방법이 다르다고 인간을 사랑할 수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 책은 헤세가 사랑한 세 명의 여성에게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헤세 자신의 생각과 심리상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 주변 인물들의 생각을 객관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면서 헤세의 각 작품들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그 속에 투영된 헤세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 책은 헤세의 작품 해설집이기도 하다. 헤세라는 위대한 작가의 인간적인 모습이 어떠했는지, 또한 그런 인간적인 모습이 어떻게 작품에 실렸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