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량
김호경 지음, 전철홍.김한민 각본 / 21세기북스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명량, 감동에서 오는 암울함이라는 아이러니
아직 영화 <명량>을 보지 않았다. 봐야지 하면서도 어쩌다 보니 1700만에 들지 못했다. 그래서 너무 궁금했다. 도대체 <명량>에 무엇을 그려 놓았기에 그렇게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휘어잡을 수 있었을까? 호기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다 영화보다 먼저 책을 접하게 되었고, 결국 그 감동에 함께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이순신 장군은 위대하다. 2014년에 들어서 이순신 장군이 갑작스럽게 위대한 인물로 선정된 것이 아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이순신 장군에 대한 이야기가 요즘 들어 봇물 터지듯이 쏟아져 나오는 것일까? 혹자는 명량 신드롬을 얘기하면서 수많은 사건, 사고들이 끝없이 터져 나오는 시대적 상황에서 도저히 찾을 길 없는 참된 리더의 모습을 보이는 이가 바로 이순신이기에 사람들이 그처럼 열광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 이 책을 읽고 그렇게 감동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이순신 장군이 보여준 솔선수범하는 리더의 모습을 오늘날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너무나 갖고 싶지만, 아니 가져야 하지만 결코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한 목마름이 이순신 장군이라는 하나의 샘에 자꾸만 빠져들게 한다.
이 책을 보면 일본군과의 전투를 앞두고 두려움을 용기로 바꾼다는 전략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하는 이순신 장군의 고뇌 어린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출정을 앞둔 새벽녘에 어머니의 위패 앞에서 하늘로 피어 오른 연기에 한 방울의 눈물을 흘리는 이순신. 승리 아니면 돌아올 수 없는 길을 준비하는 그이기에, 아니 기꺼이 죽음을 맞이하려는 그이다 보니 어찌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을 수 있었으랴?
전투에서 승리했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감동하는 것이 아니다. 모두가 하나가 되는 모습 그 자체가 너무나 감동이었다. 이순신이라는 참된 한 명의 리더가 이렇게 제각각의 생각과 삶을 찾으려는 이들을, 두려움에 자포자기한 이들을 하나 되게 하였다. 두려움을 이기게 하였다. 자신과 지아비의 죽음마저 이기게 하였다. 하나됨을 이끄는 것, 그것이 바로 리더의 위대함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모두를 하나로 뭉치게 하는 위대한 리더가 없는 우리 시대는? 답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여하튼 영화에서 표현한 <명량>은 어떨지? 아무리 바빠도 빠른 시일 내에 보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