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다 - 김영하와 함께하는 여섯 날의 문학 탐사, 개정판 ㅣ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문체_경어체?(~입니다)
🌊한줄평) 고전 안티를 돌려세우는 책
“김영하 산문 삼부작의 완결편 <읽다>는 그가 오랫동안 읽어온 작품들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문학이라는 '제2의 자연'을 맹렬히 탐험해온 작가 김영하의 독서 경험을 담은 책이다. ”
ㅡ알라딘 책소개 중에서ㅡ
이 책은 인터넷 서점에 ‘김영하 산문’이라고 검색하면
2014년 9월 ‘보다’
2015년 3월 ‘말하다’
2015년 11월 ‘읽다’
이 세 권이 나오며 현재는 이 세 권 모두 절판이고, 개정판이 있다.
지금 읽은 책은 2015년 버전(절판)이다.
고전을 출간하는 출판사들이 많지만, 어디서는 고전이나, 어디서는 고전이 아닌 경우도 있고,
특히 민음사의 ‘세계문학전집’은 고전만 있는게 아니라 1997년 작품도 있어서, 과연 고전이라는 기준이 뭘까에 대해 늘 의심했었다. 책의 출간연도, 특히 외국책을 번역한 경우 원서를 자꾸 검색하고 연도를 알려고 하는 이유도, 지적욕구도 있지만, 의심도 없지 않아 있다. 20C 책을 21C에 펴내면서 신간처럼 각색하여, 광고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에 들어 왜 원제를 표시하지 않는지, 제목도, 출간연도도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해서, 뭔가 속이려 드는게 아닌가 생각도 든다. 쓸데없는 의심병이기도 하지만, 최근엔 아니라는 경우도 종종 봐서, 이 작업을 빠뜨릴 수 없다.
(중략)
김영하 산문의 마지막 책인 읽다는 서술어부터 강연을 듣는 듯하게 ‘~입니다’이다. 오디오북으로 나오면, 특히 김영하 작가가 직접 읽어준다면, 너무 좋지 않을까^^
책을 보면서 그 책을 보고 싶게 만들기가 참 쉽지 않은데, 김영하 작가는 진짜 작가인가보다.
고전에 대한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전개시켜 고전안티인 나도 고전을 다시봐야겠다 싶게 만들었다.
특히 고전의 순서에
첫 번째가 1️⃣일리아스
두 번째가 2️⃣오디세이아
라고 설명하면서, 왜 이책이 고전의 선두에 있어야 되는지 설명은 서슬퍼런 의심의 눈초리로 보고있는 나도 미소를 띠게 했다.
이정도 합당한 설명은 해야지.😆
권위에 눌려 책을 그저 눈썹위로 떠받들어 모시고 싶진 않다.
그 권위는 기득권들이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성을 지키는 보초병같기 때문에 일단 반감이 생긴다.(누군가는 없이 자라 그렇다고 하더라고🤣)
이 책을 통해 고전에 반감이 지~인짜 조금 누그러졌다.😁
또 소설을 읽은 이유, 또 소설이 보고싶을 때가 있는데,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어려운 과학책이나 인문학책을 볼때보다 소설을 읽으면 사실 더 많이 피곤하다.
그래도 소설을 읽은 이유, 나도 몰랐던 소설을 읽은 이유를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피드참조)
또 안나 카레니나.
이 단순한 소설이 왜 3권짜리인지도 알게되었다. 🤣
이걸 그 동안 아무도 설명해 주지 않았는데, 역시 김영하.
고전을 알고 싶은 분은... 사실 비추다.
김영하 작가의 해석이 너무 설득적으로 다가와, 읽지 않은 책이라면 김영하의 의견의 고스란히 독자에게 넘어갈 것 같다. 그 정도로 설득력이 있다. ^^;;
단어의 선정이 고급지기에 온통 밑줄과 온통 인덱스다.
시르즈로 나온 나머지 책들도 보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