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선택으로 언어는 변화합니다. 없던 의미가 새로이 생기기도 하고, 기존의 부정적인 의미가 완화되거나 심지어는 미화되어 쓰이기도 하며, 의미가 추가되기도 합니다.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사람들 사이에 잘 쓰이지 않게 되면서 한때의 유행어로 남기도 하고 일상적으로 쓰이게 되어 안착하기도 하지요. 기존에 알던 단어가 새로운 의미로 쓰일 때, 그리고 그 단어를 자신도 쓰게 될 때 왜 이런 의미로 쓰이는 걸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걸까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많은 단어를 무심코 써왔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는 작은 궁금증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사소하다 여겨지는 것들에 궁금증을 품을 줄 알면 더 많은 것들이 궁금해지고 더 알고 싶어집니다. 흔히 듣고 보던 말과 물건을 달리 생각해보고, 습관처럼 하던 행동에 의문을 품어보고 질문해보는 것에서 남다름은 탄생하는 것일 테지요. 지금 고개를 들어 주변을 한번 찬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익숙하다 여겨지는 것을 달리 볼 줄 아는 사소한 궁금증이 위대할 수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일한 차이점은 오늘 그가 본 변질자들은 누구에게서도 도망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바로 그들이 죽음과 파괴의 씨를 뿌리고 다녔다. - <브로츠와프의 쥐들: 카오스>, 로베르트 J. 슈미트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42a18aae0fb41e5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겨웠다. 내 몸은 흙이요, 명성은 수증기이며, 종말은 잿더미로다. - <콘클라베>,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dfdc0c5fcd84b3b - P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 9행의 의미를 들여다보자면, ‘혼잡하게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 동사 ‘בָּלַל(발랄)’과 바빌론의 다른 이름인 ‘바벨’의 소리가 비슷한 까닭에 이곳이 바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말이다. 그래서 바벨은 고유명사면서 1차적으로혼란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알라딘 eBook <흰 고래의 흼에 대하여> (홍한별 지음) 중에서 - P20

그리하여 바벨은분열, 소통 불가능성,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상징하게 된다. 그리고 그로 인한 필연적인 결과인번역도 바벨의 이미지와 밀접하게 겹쳐진다. 바벨이 번역과 언어의 메타포로 쓰인 사례를 열거하자면 끝이 없다.

-알라딘 eBook <흰 고래의 흼에 대하여> (홍한별 지음) 중에서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