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장면들은 사라질 것이다.
전쟁 후 이브토, 폐가 부근의 커피를 파는 막사 뒤에서 대낮에 몸을 웅크리고 오줌을 싸다가 일어나 팬티를 입고 치마를 올리고 카페로 돌아간 여자 - <세월>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318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1인당 GDP(국내총생산, 2022년 기준 약 3만 5천 달러) 이하의 금액으로 매년 ‘장기 여행’을 떠나는 유목 생활. 여기서 말하는 장기長期란 4개월 이상이다. - <나는 미니멀 유목민입니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9564 - P5

나는 ‘미니멀리즘’을 삶 전체에 접목한 ‘미니멀 라이프Minimal Life’를 실천하고 있다. 물건도 인간관계도 경제 활동도 필요 이상으로 욕심내지 않는다. 그 덕에 ‘생에 한 번 찾아올까?’ 싶었던 이상적인 삶(일거리와 커피가 있고, 자유가 보장된 주도적인 삶)이 제 발로 찾아왔다. - <나는 미니멀 유목민입니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9564 - P6

미니멀리즘은 이러한 마비를 푸는 해독 역할을 한다. 즉, 태어날 때처럼 순수한 ‘나’로 돌아오는 여정이다. 이 여정에는 학력이나 재력, 명예도 영향력이 없다. 주식처럼 놓쳐버린 전성기 또한 없다. 미니멀리즘은 시작부터가 눈부신 전성기다. - <나는 미니멀 유목민입니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9564 - P9

책과 이별한다고 그 책이 세상에서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 책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추억이 담긴 물건을 버리는 것과 비교하면 언제든 되돌릴 수 있다는 마음으로 이별해도 된다는 뜻이다. 이것이 책을 쓰는 사람이 완곡하게 말하는 진심이다. - <나는 미니멀 유목민입니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9564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생활을 파고든 ‘리워드 플랫폼’들이 소비자의 시간에 보상을 주고 있다. 소비자의 역할은 단순하다. 걷는 시간, 운동 시간, 운전 시간, 수면 시간, 게임 시간 등의 일상을 보내면서 스마트폰의 해당 앱을 켜 놓는 것이다. 그러면 소비자의 활동을 인식해 일정한 보상(리워드)이 지급된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60

소비자가 움직일 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M2EMove to Earn’라고 하는데, 캐시워크, 지오디비GeoDB, 스테픈STEPN 등이 대표적인 예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60

전술한 M2E를 결합한 이색 적금도 소비자의 눈길을 끌었다. KB국민은행의 ‘KB반려행복적금’은 반려동물의 애정 활동인 산책과 양치, 몸무게 체크 등을 한 뒤 인증샷을 남기면 금리를 올려주고, BNK부산은행의 ‘펫적금’은 펫 다이어리를 작성하면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농협은행과 하나은행도 소비자의 걸음 수에 따라 금리가 올라가는 상품을 판매해 인기를 모았다. 금융사들이 이런 방식으로 포인트를 지급하는 이유는 MZ세대 고객을 잡기 위해서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61

문화 콘텐츠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술품도 2022년 재테크 시장을 뜨겁게 달구었다. 특히 미술품 시장이 디지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자신의 취향에 적극적인 MZ세대가 경제인구로 성장하면서 디지털 세대 컬렉터들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NFT 예술이 주목받았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66

덕테크는 수고를 더 들이더라도 자신의 안목과 취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자본주의 키즈의 새로운 소비법을 보여준다. 이들만의 어법으로 대상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수단인 것이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67

득템력
『트렌드 코리아 2022』에서 명명·제안한 키워드로, 지불 능력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상품을 얻어내는 소비자의 능력을 일컫는다. 사치의 대중화로 높은 가격보다 획득의 어려움이 차별화의 기호가 됐다.
『트렌드 코리아 2022』, pp.220~245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68

‘배달 음식 끊기, 물 마시기, 침구 정리하기, 반려견과 산책하기, 멍 때리기.’ 익숙하고 사소한 일들이지만, 이들은 모두 코로나19 확산 이후 등장한 ‘갓생(신을 의미하는 ‘God’과 인생을 뜻하는 ‘생生’의 합성어로 부지런하고 타의 모범이 되는 삶을 뜻하는 신조어)’ 라이프의 ‘소소하지만 확실한 성취’ 요건으로 주목받은 것들이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73

바른생활 루틴이
외부적 통제가 사라진 상황에서 루틴을 통해 스스로의 일상을 지키고자 노력하는 요즘 사람들을 일컫는 트렌드 용어로, 『트렌드 코리아 2022』의 키워드였다. 이들은 자진해서 목표를 만들어 자신을 묶고, 함께 ‘습관 공동체’를 만들어 타인의 도장을 받고, 매일매일을 되돌아보며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작은 성취를 확인해나간다.
『트렌드 코리아 2022』, pp.326~353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75

더불어 고물가·고유가·고금리로 대변되는 3고高 불황의 경제 상황에서 ‘무無지출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생활비 달력’의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77% 늘었다. 달력에 달린 주머니에 매일 사용할 일정 금액을 넣어놓고 쓰는 것으로, 요즘 세대에게는 계획적이면서 알뜰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으로 꼽힌다.4 손으로 직접 만지고, 변화 과정을 실제로 체감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습관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잘 아는 바른생활 루틴이들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80

헬시플레저
건강관리가 즐거워진다는 의미로, 『트렌드 코리아 2022』에서 키워드로 제안한 신조어다. 요즘 소비자들은 더 이상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해 고통을 감수하거나 절제하려 하지 않는다. 젊은 세대가 건강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면서 과정과 결과가 모두 즐겁고 지속가능한 건강관리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건강관리 영역에서도 ‘힙’함이 중요한 선진국형 라이프스타일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렌드 코리아 2022』, pp.274~299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82

이른바 ‘소식좌’들이다. 소식小食에 일인자를 뜻하는 유행어 ‘좌座’를 붙여 불리는 이들은 대식가들과 정반대의 먹방을 선보인다. 과자 한 입을 오물거린 뒤 "배부르다"라고 하며, 아이스 바닐라 라테 한 잔으로 아침 겸 점심을 해결하고, 저녁에는 따뜻한 바닐라 라테로 공복을 달랜다. 소식좌들이 극단적으로 적게 먹는 과정 그 자체가 새로움과 즐거움을 낳고 있는 것이다.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83

이처럼 타인이 나를 지켜볼 때 더 열심히 일하는 경향을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이라고 한다. 엔데믹 시대, 소비자들은 혼자가 아닌 힘을 모아 가치를 만드는 루틴이가 되기를 자처했다.14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88

큰 성공이 어려워진 저성장기 시대에는 반복되는 일상에서 자아의 의미를 찾는다. 평범한 인생일지라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자기 다짐적 삶을 살아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바른생활과 일상력을 추구했던 루틴이 트렌드는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 <트렌드 코리아 2023>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80688 - P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있는 틀에다 자기를 맞추어 넣는 것만은 못했다. 중학교에 다닐 때 언젠가 그 애네 학교를 소개하는 EBS 방송은 "오늘도 세건이는 잡니다"라는 멘트와 더불어 교탁 앞 맨 앞자리에 앉아 천연덕스럽게 자고 있는 아들을 조명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다행히 다음 멘트는 "그러나 세건이는 책도 많이 읽고, 공부도 잘합니다"였다. 아들이 공부를 잘했는지는 모르지만, 뭔가 따로 배우러 다니는 게 전혀 없어 일찍 집에 와서 워낙 심심하다 보니 책은 많이 읽었다. 특히 만화책은 세상에 있는 것을 다 읽은 것 같고 컴퓨터 오락도 다 한 것 같다. 그러면서 오후와 저녁과 밤을 보내니 낮에 학교에서는 잘 수밖에 없었다. - <인생을 배우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1285 - P64

공부하느라 고생이 막심한 어미를 일찍부터 보아온 탓에 어려서부터 공부는 절대로 열심히 하면 안 되는 것이라는 생각을 거의 좌우명 삼고 산 것 같다. 그러나 자기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든 한도 끝도 없이 했다. 그러고 보면 어떤 점에서는 어미로부터 그리 멀리 가지도 않은 것 같다. 온 식구가 그렇다. 다들 가끔씩 만나면 매우 반가워하는 그런 사이가 일찍부터 되어버렸다. - <인생을 배우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1285 - P64

장손으로 홀로 공부하실 수 있었던 탓에, 머릿수를 정확히 헤아리기도 어려운 대가족의 짐을 혼자 도맡아 지셨다. 어렸을 때는 당신만 없으신 게 아니라 당신 가족조차도 뒷전인 아버지의 삶의 방식이 도무지 수긍이 안 갔었다. 아버지처럼 바보같이 살지는 않겠노라고 다짐하면서 다 큰 것 같기도 하다. - <인생을 배우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1285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나, 버지니아 울프 - 한 사람의 인생이 모두의 이야기가 되기까지
수사네 쿠렌달 지음, 이상희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다니엘 블레이크’ 라는 켄 로치 영화가 떠오르는 제목이군요. 버지니아 울프의 방으로 한 번 들어가 그녀의 이야기 처음으로 들어보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