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문명탐구 - 한자로 들여다보는 고조선 문화
최상용 지음 / 덕주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대한민국을 사랑해서 그 밑받침이 되는 나라들도 잘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잊히고 잃어버린 고조선 문명을 밝혀내는 일은 K –컬쳐의 원류를 찾아가는 일이자 한국인들의 미래를 밝혀주는 방향키다. 고조선은 너무 옛날같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 최상용은 철학박사이자 명예이학박사이다. 동양학의 논제인 기학(氣學)을 인문학적인 관계에서 해석하고 연구하고 있다.

저자는 고전(古典) 해석 등 학문 활동을 해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양학의 핵심 주제인 ‘기’를 형이상학적 접근으로만 그치지 않고 인체 적용에 관한 체험 연구 등을 통해 수련적인 측면으로 밝혀내는 직업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월빙well-being 월다잉 well-dying을 추구하는 인문기학 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기업이나 단체, 대학 등 양사상, 한문 및 한자 해독, 생활건강과 명상 등 다양한 주제로 강의를 해오고 있다.

번역본으로 『도덕경-하상장구』 『장자-내편, 외편, 잡편』 『대학 중용』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역경. 주역』등이 있고, 저서로는 『브레인 한자』 『브레인 급수한자app』 『한자실력이 국어, 수학, 과학, 사회 실력이다.( 총4종) 『무극도 수면 명상법』『운명독법』 『인문고사성어집1,2 app 』『하루 3분수면 혁명』등이 있다.

우리의 고조선 문명은 반드시 알아야 할 자랑스러운 한국인의 문화유산이다. 난 대한민국을 너무너무 사랑한다. 그래서 고조선도 궁금한 것이다. 이렇게나 유구하면서도 찬란한 우리의 역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오늘과 내일을 살아갈 대한민국의 국민 모두가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요즘은 한류와 함께 한글 역시 세계적인 많은 젊은이들이 배우고자 한다. 이런 고대 문명을 살피는 데 있어서는 한자 (漢子)를 활용하지 않을 수 없다.

한자는 고조선 문명을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자가 우리 민족의 조상인 동이족 (東夷族)에 의해 창안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은 맹목적인 국수주의적 시각이 아니라 중국이나 대만학자들이 주장한 것이기도 하다. 저자가 저술하게 된 동기는 갈수록 심해지는 중국 역사 왜국책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고조선을 아예 존재하지도 않은 역사로 취급하려고 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다. 오늘을 사는 한국인들이 잊혀지고 잃어버린 고조선 문명을 찾고 밝히려 하려 하는 이유이다.

역사에 기록된 한반도로 기록된 최초의 국가는 단군왕검이 세운 조선(朝鮮)이다. 이성계가 창건한 이씨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옛’이란 의미의 ‘옛古’를 덧붙여 고조선(‘古朝鮮’) 이라 붙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군과 조선에 관환 기록은 13세기 말 고려시대 일연 스님이 저술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와 있다. 『삼국유사』의 원문에는 단군의 ‘단’ 이 한자어 단(‘壇’)으로 돼 있으나 후대로 오면서 ‘박달나무壇’자로 바꾸어 쓰고 있다.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현재 남아 있는 단군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외에도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단군세기』등 여러 판본들이 있다.

근대에 들어와서 단재 신채호가 대표적으로 단군을 신앙의 대상이자 집권군주로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나철은 민족종교로 대종교를 조직화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는 고조선을 개창한 음력 10월 3일 (開天節)로 하였으나 음력은 양력으로 바꿔 활용하기가 쉽지 않아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양력 10월 3일을 국경일로 하였다. 21세기 최첨단 문명시대를 사는 우리가 고조선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와 단군왕검을 내세우는 이유는 여기에 인간이 중심이 되는 인본주의적 정신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박달나무 壇(단)의 구성은 신령한 나무(木)와 믿음 (壇)으로 이루어져 있다. 壇 (단)은 곳집 름과 아침 단으로 (旦)구성되었다. 름은 수확한 곡식을 넣어두는 창고의 모양을 상형한 것으로 곳간이나 창고의 뜻으로 지닌 ‘곳집廩(름)’의 옛글자다. 旦(단)은 동쪽 땅(一)위로 해(日)가 솟아오르는 모양을 그려내 ‘아침’이란 뜻을 담고 있다. 곧 亶(단)은 일용할 양식이 가득 들어차 있는 곳간에 찬란한 햇살이 비추는 것이니 주인 된 입장에서는 보는 것만으로도 ‘미덥고’ ‘도탑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단이라는 글자는 천지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장방형으로 된 창고처럼 믿음의 대상이 된 터에 서 있는 신단수라는 뜻이 담겨 있다. 또는 신단수와 관련한 믿음의 대상이 된 나무라는 뜻이다.

임금君(군)의 구성은 다스릴 윤(尹)과 사람의 입모양을 본뜬 입 구 (口)로 이루어졌다. 윤은 지휘봉 역할을 하는 지팡이를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 모양을 그려 낸 것으로, 권위의 상징인 지팡이를 쥐고 있기에 ‘다스리다’라는 뜻을 부여하였다. 따라서 군에는 통치의 상징인 지팡이를 오른손에 쥐고서 입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이 곧 ‘임금’ 이나 ‘주권자’ 라는 뜻이 담겨 있다. 임금 王(왕)에 대해 허신은 『설문』에서 “王은 천하가 돌아가는 곳”이라며, 가로의 심 획이 의미하는 하늘 땅 사람을 관통하는 것이 왕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제일 상부의 ㅡ은 하늘 (天), 가운데ㅡ은 땅(地),제일 아래 ㅡ은 사람 (人)을 미리하는데, 이 셋은 아울러(l) 할 수 있는 사람이 곧 왕(王) 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천지인을 관통한 왕은 하늘의 천신 (天神)을 향해서 천제 (天祭)를, 곡식을 관장하는 지신(地神)을 위해 지제(地祭)를 지내며, 왕실을 있게 한 인신(人神)에 해당하는 조상신을 위해 종묘(宗廟)에서 제사를 주관하게 된다. 검소할 검 (檢)의 구성을 인(人)과 첨(僉)으로 이루졌다. 인(人)은 서 있는 사람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人(인)의 변형자이며, 다른 부수의 좌변에 주로 놓인다.

僉(첨)은 모일 집과 사람의 입을 뜻하는 두 개 입 구와 두 개의 사람 인으로 짜여 있는데, 여러 사람이 한데 모여 이구동성으로 말한다하여 ‘모두’ 혹은 ‘다’라는 뜻을 지나게 되었다. 따라서 검은 많은 사람들이 누구 보니 ‘검소하다’ ‘넉넉하지 못하다’ 등의 의미를 담게 되었다. 단군왕검檀君王儉이란 기원전 2333년 고조선을 건국한 제사상으로서 단군과 정치적인 일을 이끄는지도자로서의 왕검을 뜻하는 우리민족을 나타내는 성어다.



오늘날 한글은 우리 대한민국 사람들뿐만 아니라 한류의 물결에 따라 전 세계인의 소통수단이 되고 있다. 이렇게 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백성을 일깨우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담고 있는 훈민정음을 창제한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이 오늘에서야 그 빛을 빌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한글의 창제원리가 담긴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이 1940년에서야 발견되고 난 이후부터다. 다행히도 이 해례본은 세계기록유산임과 동시에 국보 제 70호로 지정되었다.

훈민정음에 관한 논란이 끓이지 않았지만 이 해례본이 발견됨으로써 한글 자음은 인체의 발음기관을 본뜬것이고, 배치해 만들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당시 유학자들의 엄청난 반대가 있었다. 최만리를 비롯해 당대 유학자들은 훈민정음 사용의 반대명분을 중화시대주의에서 찾았다. 중화문화권에 속한 나라 중에 별도의 문자를 사용한 사례가 없고, 몽골, 서하, 여진, 일본 등 별도의 문자를 사용한다는 나라는 오랑캐에 불과하니 훈민정음을 만든 것은 스스로 오랑캐로 전락함을 의미한다.

유학자들이 이러한 명분을 내세운 이면에는 양반이 중심이 된 지배질서의 유지가 있었다. 한자와 성리학을 바탕으로 견고하게 구축된 자신들만의 통치영역에 상놈인 일반 백성들이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다분했다. 중화사상의 존중을 명분으로 내세우며 유학자들이 지키고자 했던 것은 양반 중심의 지배질서였다. 그러나 훈민정음 반포 초기에 속된 글이라는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半切, 암클, 아햇글 등으로 양반들에 의해 천대를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에 따라 문맹률을 현저하게 낮추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한류 물결과 함께 세계인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언어가 되었다.

가르칠 訓(훈)의 구성은 말씀 언(言) 과 내 천(川) 으로 짜여 있다. 언에 대해 허신은 『설문』에서 “직접 말하는 것을 언이라고 여러 사람이 토론하는 것을 어라고 한다. 천은 사람의 손길이 닿는 인공적인 하천을 말한다. 사람 민은 상형글자로 갑골문을 살펴보면 뾰족한 바늘과 같은 꼬챙이로 한쪽 눈을 찔린 사람을 뜻하는데, 고대는 주로 죄수나 포로를 지칭하는 글자였다. 바를 정은 한 일과 발지로 구성되었다. 갑골문에 새겨진 정자는 흙이나 나무로 만든 목책을 둘러친 성을 뜻하는 ‘口’모양과 止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소전에 이르러서 단순하게‘ㅡ’모양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적인 지식을 더해 한자를 해석한 한나라의 허신은 正 (정)에 대해 『설문』에서 “正은 옳다는 뜻이며ㅡ (일)로 구성되었는데, 한 곳에 멈추어 서서 살피는 게 ‘바른 일’리하고 해석하고 있지만, 오히려 한 길을 따라 가도록 하는 것이 ‘바른 일’이라는 점으로 해석하는 것이 좀 더 나을 것 같다. 훈민정음 訓民正音이란 백성들을 일깨워 이끌기 위해 새롭게 정립한 바른 소리의 글자이다. 이 책을 보면 고조선에 대한 문화를 사진으로 보여줘서 이해를 더할 수 있다.

이 책을 보고 우리 민족이 정말 뛰어난 민족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꾸 중국이 우리나라가 속국인 것처럼 얘기를 하는데 우리는 독자적이고 창의력이 뛰어난 민족이라는 걸 고조선 시대부터 알 수 있었다. 한자도 우리민족의 뿌리인 동이족이 만들었을 수 있다는 얘기가 자부심이 생기게 한다. 지금은 한자보다 훨씬 완전 만배 억배 조배 해배로 뛰어나 한글이 있기 때문에 한자에 대한 욕심은 별로 안 든다.

이 책은 한자에 대한 공부도 할 수 있는 책이라서 무게감을 더하는 것 같다. 난 대한민국을 사랑하지만 대한민국의 뿌리인 고조선도 사랑하게 되었다. 고조선 조상들도 이 책을 통해서 정말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난 책을 읽고 공부를 해서 대한민국이 세계 제일의 나라가 되는데 이바지를 너무너무 하고 싶다. 이 책은 애국심과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