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신춘문예에 도전을 해서 엄마랑 같이 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엄마주변의 사람들이 글쓰기 위해서 학원이나 단체에 들어가서 글쓰기를 공부하면 돈이 정말 많이 들었다.엄마랑 나는 오로지 책을 파서 공부해야 하는 것 같다.
저자 손소영은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 학사, 동대학원 언론학 석사, SBS, ebs, Kmtv, mbn 등 여러 방송에서 TV와 라디오를 넘나들며 예능부터 다큐까지 다양한 장르의 방송작가로 활동했다. 그 다양한 경력 덕분에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서 방송작가 지망생들을 가르치게 됐고, 방송을 만들면서 느꼈던 짜릿함과는 또 다른 보람을 느끼며 후배이자 제자를 양성 해내는 기쁨을 알게 됐다.
한겨레 교육의 글쓰기 강의를 시작으로, 외교부 국립외교원 직무연수, 서울시 육아 종합지원센터 실무자 대상 글쓰기 교육을 진행했다. 짧은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계속 줄이고 쳐내고, 다듬는 연습이 필요하다.
주어와 서술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문장이 바로 서게 된다. 너무 줄이는 것에만 급급하다 보면 ‘짧게’ 에만 집중하면 ‘쉽게’를 놓칠 수 있다. 문장과 문단에 가장 정확한 표현이나 어휘하나를 찾아내는 과정이 필수다.
‘짧게’를 지향하지만 ‘쉽게’ 에도 집중해야 한다. 독자가 읽기 편하려면 쉬운 어휘를 써야 한다. 작가는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을 생각하며 자막을 쓴다고 했다. 책을 쓸 때도 중학생 대상이 읽으면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글을 써야 한다고 본 적이 있다.
저자의 글이 일관성을 유지하고, 한 방향으로 잘 나아가는지 알아보는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방법이 있다. 바로 접속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저자의 글에는 그러나, 그런데 와 같은 접속어를 자주 쓰는 것은 아주 잘못된 글쓰기 중 하나였다.
대화중에 ‘근데’ 라는 말은 상대의 내용에 동의하지 않거나, 지루해서 화제 전환 시 사용하는 접속어다. 글쓰기에서 스스로 쓴 글에 동의하지 않거나 글의 방향을 자주 바꾼다는 애기였다. 작가는 ‘긍정의 화법’을 써야 해서 그러나, 그런데가 아닌 그리고, 그래서로 연결되는 문장 이어가기로 표현해야 한다고 했다.
세계적인 명사와 인터뷰 섭외 이메일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메일을 처음 보냈을 때에는 아무 반응이 없다가 같은 내용이지만 순서를 바꿨더니 연락이 왔다고 했다. 앞부분에 금액과 인터뷰방향에 관한 이야기부터 섰다는 것이다. 모든 글에는 쓰임이 있는데 그에 맞게 배치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저자는 자기소개, 자서전, 일기 등 다양한 글쓰기에 대해서 조언을 하고 있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글의 힘이다. 글을 잘쓰고 싶은 욕구는 누구나 가지고 있다.
우리 모두는 혼자만의 뭔가를 원하면서도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기를 바란다. 그 누구의 간섭과 영향도 받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면서도 고립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글로 쓰다보면 누군가와 대화하는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