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이럴 때 이런 한자 1 - 나만의 생각과 감정표현을 위한, 한자 어휘의 발견 지적 대화를 위한 이럴 때 이런 한자 1
김한수 지음 / 하늘아래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는데 문해력이 가장 중요한데 문해력은 한자어를 잘 알아야지 올라가는 것 같다. 한자어를 잘 알면 책을 읽고 공부하는데 이해력이나 독해력이 더 좋아지는 것 같다. 이 책을 보면 그런 면에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저자 김한수는 출판사에 근무하면서 책을 쓰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으로 서로 소통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 소통의 핵심은 대화이다. 대화는 말을 주고받는 것을 넘어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나누고 이해하며 공감하는 과정이다. 이런 대화에서는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은 중요하다.

대화를 잘하는 사람의 특징은 다양한 어휘를 자유롭고 적절하게 활용하여 표현한다. 대화를 잘하는 사람은 많은 어휘를 습득하고 학습하여 실생활에서 능수능란하고 적절하게 표현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어휘는 한자어가 많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어휘의 70%이상이 한자어이다. 한자어가 우리말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우리 문화가 한자를 사용하여 글을 쓰고 소통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자어가 우리말에 영향을 미쳤고 오늘날까지도 우리말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외래어라고 생각하기 쉬운 단어들도 한자의 흔적을 볼 수 있다. 한자어는 말을 채우는 단어가 아닌 한자 하나하나의 고유한 의미와 음과 운이 있어서 다양한 어휘를 만들어 낸다. 각 한자의 어원과 뜻과 의미를 알게 되면 우리말에 대한 이해와 대화를 이끌어 가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차례를 보면 첫째 마당 시작, 둘째마당 용기, 섯째 마당 위기, 넛째 마당 노력, 다섯째 마당 친구, 여섯째 마당 인간관계일곱째 마당 웃음, 여덟째 마당 의지와 결단, 아홉째 마당 마음, 열 번째 마당 사랑이다.



작시성반은 시작하면 반을 이룬다는 뜻으로 처음에 시작하기가 어렵지만 시작하면 반은 이룬 것이라는 뜻이다. 이발지시는 이왕에 시작한 일이라도 중도에 그만두기 어려운 형편임을 말한다. 대기가사는 집을 굉장히 크게 짓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초심불망은 처음 가졌던 마음을 잊지 않는다는 뜻이다. 자금위시는 지금부터 시작한다는 뜻으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거나 새로운 시작을 하기 위해 지금 바로 행동하는 것이다. 기호지세는 말은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로 어떤 상황에서도 그만둘 수 없고 끝까지 나아가야 하는 상황이다.

명목장담은 눈을 밝게 하고 담을 넓힌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할 때 분명한 태도로 대담하고 용기 있게 행동할 때 표현하는 성어이다. 전패비휴는 엎어지고 자빠져도 이지러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겪어도 쓰러지지 말고 용기를 잃지 말라는 의미다.

용와매진은 용감하게 앞으로 멀리 매진한다는 뜻으로 두려워하지 않고 용감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표현하는 성어이다. 겸인지용은 여러 사람을 겸할 수 있는 용기로 한 사람의 용기가 여러 사람의 용기보다 뛰어남을 표현한다. 권토중래는 다시 일어남을 뜻한다. 누란지위는 알을 여러 개 포개 놓은 듯한 위태로움, 조금만 건드려도 무너질 것 같은 위태롭고 아슬아슬한 위기의 상황이다.

백척간두는 백 척이나 되는 장대 위에 올라섰다,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위험이 닥쳤을 때, 노력한 위에 한층 더 노력하는 마음가짐이다. 마부위침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끊임없이 노력하면 어려운 일도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수적천석은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아무리 작고 미약한 힘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은 엄청난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십벌지목은 열 번 찍어 베는 나무, 어떤 일이든 끈기를 가지고 계속 노력하면 결국에는 이루어낼 수 있다는 의미다. 자강불식은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않는다는 뜻이다.



단금지교는 쇠를 끓을 수 있는 교분, 매우 굳고 끊어지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 우정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백아절현은 친구의 죽음을 슬퍼할 때 표현하는 말이다. 백두여신은 오랜 시간 알고 지내지만 여전히 친밀하지 않고 서로에 대해 잘 모르는 관계를 말한다.

오월동주는 서로 원수지간이거나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같은 여러운 상황에 있을 때 협력해야 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근묵자흑은 환경이나 주변 사람의 영향을 받아 사람이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생지신은 어려움이나 위험에 처해도 약속을 지키는 사람의 신의를 표현할 떄 사용한다.

양봉음위는 겉으로는 복종하고 속으로는 배신한다는 뜻으로 사람의 이중적인 태도나 행동을 보이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순망치한은 두 존재 중 하나가 없어지면 다른 하나도 위험에 처하게 되는 상황을 표현한다.

앙천대소는 하늘을 우러러보며 크게 웃는다는 뜻이다. 일도양단은 머뭇거리지 않고 과감하게 행동하거나 명확하고 신속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사용한다. 연모지정은 누군가를 사랑하여 간절히 그리워하는 마음이라는 뜻이다.

일일천추는 하루가 천년 같다는 뜻으로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으로 인해 시간이 아주 더디게 가는 것 같이 느껴질 때 표현한 성어이다. 지독지애는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부모가 자식에 향한 깊고 지극한 사랑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이 책에 아는 성어도 많지만 모르는 성어도 많아서 한 번에 정리를 하니까 좋은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