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즐겁게 하려는 학생들을 위한 심리 수업 - 신나는 공부의 확신을 주는 따뜻한 심리 이야기
김종환 지음 / 북루덴스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공부를 열심히 해서 빨리 성공하고 싶었다. 하지만 아프면서 오랜 시간 투병을 하고 건강을 찾으면서 생각이 많이 달라졌다. 친한 언니한테 빨리 성공한 친구들이 몇 명이 죽었다는 얘기를 들으면서 빨리 성공하기 위해 몸을 엄청 혹사하는 애들만 죽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빨리 성공하려고 아둥바둥하지 않고 하나님뜻을 구하면서 천천히 공부하고 성공하려고 한다. 저자 김종환은 메가스터디 온라인 심리 강사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온라인 심리 수업을 시작했다. 공부를 잘하는데는 심리적인 게 정말 중요한 것 같다. 차례를 보면 몰입 수업, 좋은 감정의 습관화부터 집중력 유지 자신감을 주는 수업 긍정의 힘 슬럼프 탈출 방법 즐겁게 공부하는 수업 현재의 나를 인정하는 수업 공부를 즐겁게 할 수 있는 비결 기분이 좋아야 집중이 잘 된다 어디로 집중할 것인가

좋은 기억으로, 마음먹은 즉시 습관 만들기, 긍정적 암시가 필요한 시간 , 행복한 공부, 수능 긍정 심리, 수험생의 기도이다. 무조건 공부만 열심히 한다고 잘되는 건 아니다. 힘들 때는 쉼이 필요하다. 가능한 일보다 쉬운 일부터 한다.

초심을 유지하라고 하는데 과거에만 집중하면 후회라는 감정에 사로잡히고 미래에만 집중하면 불안이라는 감정에 사로잡히고 현재에 집중하며 사는 사람이 행복이라는 감정으로 살아간다. 중심을 잡고 현재 본인의 컨디션을 인정하고 유지하다 보면 어느 순간 점점 더 상황에 적응하기 시작하여 집중 상태로 된다. 초심보다는 중심이 중요하다.

하루하루 좋은 감정으로 공부하다 보면 작은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지만 나쁜 감정으로 공부한다면 작은 스트레스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좋은 감정이 가장 우선이다. 공부는 계획을 세우고 하루하루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공부에 불태웠다고 판단되었을 때 높은 자만심이 생긴다.

잡생각을 벗어나려면 다른 생각을 하거나 상황을 벗어난다. 공포는 예측하고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면 공포가 되지 않는다. 이미지트레이닝을 하고 시험을 치는 상황을 계속 연습을 해주면 불안과 같이 갈 수 있다.



슬럼프가 오면 무조건 쉬어야 한다. 웃으면서 공부를 하고 자신을 꾸밀 줄도 알아야 한다. 시험은 긴장되는 것이 당연하다. 불안과 긴장의 상태에서 시험 치는 훈련을 계속해야 한다. 특별한 방법이 없다. 자신의 모습에 더 집중해야 한다. 자신의 환경, 자신의 상황을 그대로 인정하고 바라본다.

우리는 오늘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더 큰 행복을 미래에 주기 위해 현실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하다. 무엇을 하든 아직 늦지 않았다. 자신을 바꾸려는 시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리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내 계획을 다시 찬찬히 꼼꼼하게 보고 조금씩 바꾸어 가는 것이다.

집중이 안되고 지쳤을 때는 할 수 있는 것부터 한다. 잡생각이 나면 필기를 한다. 소리내 가면서 적는다. 쓰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쓰는 행위에 집중하게 된다. 잡생각이 사라진다. 쉬운 목표부터 실천하고 특별함이 우월성이 아니라는 건 알아둔다. 언제든지 긍정적으로 의미부여를 한다.

공부를 즐겁게 할 수 있는 비결은 상상이다. 공부에 긍정적 감정을 연결하고 그 감정과 관련된 상상을 발휘한다. 공부는 즐겁다, 기대된다, 해낸다 등의 좋은 감정을 연결하고 상상을 하는데 자신의 즐거운 미래를 잇는 연습을 한다.

이 반응의 연결을 학습하다 보면 어느새 공부가 나에게 저항감을 주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과 기쁨의 화수분이 된다. 공부에 긍정적 감정을 연결한다. 기분이 좋아야 집중도 잘 되고 기분이 좋아야 인내심도 길러진다.

좋은 말을 써야 감정도 좋아진다. 성적에 대한 기대치를 너무 높이지 않는다. 과욕과 욕심의 차이는 스스로 자기 위치를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느냐 인정하지 않느냐에 달려있다.



불안이라는 신호가 감지되면 불안을 나쁜 감정으로만 해석하지 않는다. 불안은 나에게 지금 즉시 행동하라고 보내는 신호이다. 그에 맞는 구체적 행동을 한다.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는 열심히 공부하는 것과 시험 당일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게 노력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에 집중하면 자연스레 성적이 올라갈 가능성이 큰 것인데 집중을 다른 방향으로 돌려 나에게 권리가 없는 쪽으로 간다면 성적을 올릴 좋은 기회들을 스스로 놓치는 것이다.

어디로 집중하느냐에 따라 그에 따른 노력은 달라진다. 과정에 집중한다.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내가 부족함을 느끼고 그 부족함을 채워가면서 쌓아가는 것이 가장 행복하다. 공부하기 위해 의자에 앉을 때 좋은 감정으로 감탄사를 표현하다 보면 공부는 자신에게 좋은 감정으로 행동을 실천하도록 도움을 준다. 자신을 위해 공부를 하면서도 좋은 감정보다는 나쁜 감정으로 해석하다 보니 점점 더 공부라는 환경에서 벗어나려 하고 머물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만든다.

학습에도 시험에도 수험생에게 주어진 환경 하루하루의 메모리에 좋은 감정을 개입시키는 것이 좋다. 좋은 감정으로 공부해야 한다. 좋은 습관은 즉시 만들고 잘할 수 있다고 암시를 한다. 행복한 공부는 행복감을 느끼며 하는 공부이고 내가 원하는 성적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내가 행복한 공부가 제대로 된 공부이다.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미래를 결정한다.



반성보다는 용서 그리고 나쁜 기억을 편집한다. 나 자신을 위해서 존종한다. 존중이라는 마음의 시작은 타인을 위해서 존종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 존중한다. 인간은 이기적이다. 남보다는 자신을 위한 동기 부여를 한다.

그들을 존중하는 내 모습이 멋지므로 존중하는 것이다. 행동을 바꾸면 언어도 바뀐다. 언어를 바꾸면 행동도 바뀐다. 언어를 바꾸기보다 행동이 더 빠르고 손쉬운 방법이다. 인간은 시간의 흐름을 보았을 때 과거가 아닌 미래를 향해서 간다. 지나간 것은 우리에게 미래를 위한 하나의 밑거름이다.

주어진 우선 순위는 미래를 위한 오늘의 나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치열한 마음으로 공부하고 진정한 자존심과 자신을 아끼는 자존감으로 하루하루를 사랑하고 아낀다. 목표를 향해 가다보면 지친다. 지친다는 것은 문제가 아니라 당연한 것이다. 지치지 않도록 무언가 노력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당연함을 당연하게 바라보지 않는 해석과 당연함에 대한 노력이 당연함이다.

공부를 위해서는 전체 루틴, 시간 루틴,습관 루틴을 만든다. 12시에는 무조건 점심을 먹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다. 부분 루틴은 시험을 절대로 틀리면 안 된다는 강박관념을 가지면 안되고 초콜릿을 먹고 시험을 본다는 그런 것이 부분 루틴이다. 기분이 바로 감정이다.

초콜릿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과장 연기도 한다. 시험보는 날 어떤 옷을 입을지 미리 정하고 시험을 보는 일기도 써본다. 가끔 즐거운 상상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미소가 지어진다.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다. 시험을 잘보는 일기를 미리 써봐도 좋을 것 같다. 기분이 좋게 공부를 계속 해야 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