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유발점(트리거 포인트) 찾기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사이토 아키히코 지음, 이영란 옮김, 이명훈 외 / 성안당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머리, 눈통증, 목, 어깨 손통증이 있어서 치료 지점을 알고 싶었다. 저자 사이토 아키히코는 일본 국립요양소 도쿄병원 부속재활학원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했다. 일본대학 통신교육부 문리학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도로쿠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장애과학 전공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도쿄 가세이대학 교수를 하고 있다.

목차를 보면 0장이 한눈에 보는 통증 유발점, 1장은 통증 유발점의 기본, 2장은 머리, 얼굴, 목의 근육, 3장은 견갑골 주위의 근육, 4장은 상완, 전완의 근육, 5장은 몸통, 골반 주위의 근육, 6장은 대퇴의 근육, 7장은 하퇴의 근육이다.

통증 유발점은 사람 몸에서는 근육과 근막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 근육의 수축으로 유발되는 동맥과 정맥 장애가 주원인이다. 근육이 수축되고 정맥 울혈 대사 폐기물이 조직에 남는다.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 유발점 치료의 장점은 자신이 직접 시술하므로 조기 발견을 할 수 있다. 통증 유발점을 찾는 법은 근육의 멍울을 찾는다. 손끝으로 압력을 가해 심하게 아픈 부위를 찾는다. 만질 때는 근섬유를 가로지르듯이 쓸어내린다.

손으로 시술할 때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사용한다. 한 번에 누르는 시간은 3~4초이다. 허혈 상태를 만든 후 단숨에 혈류를 방출한다. 여러 통증 유발점 중에서 가장 통증이 심한 부위나 관련통을 일으키는 부위를 찾는다.

치료 시 주의해야 할 점은 근육을 충분히 따뜻하게 한 후에 시술한다.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 후 색상경결을 찾는다. 안륜근은 눈 주위를 둘러싸 눈을 닫는 근육이다. 근육의 급성, 만성적인 혹사가 주요 원인이다. 눈을 가늘게 뜨는 버릇이 있거나 눈썹을 모으는 동작 등이 이에 해당한다. 흉쇄유돌근의 흉골두 TP로 인해 유발된다.

근육의 위치와 특징은 눈 주위에 있으며 눈꺼풀을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거나 눈을 가늘게 뜨게 하는 근육이다. 통증 유발점은 상안검 중앙이고 시술 방법은 안와를 둘러씬 부분의 압통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안구를 압박하면 혈압이 저하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저작근 중 하나로 하악골을 움직인다. 과도한 근육 사용이나 부정교합이 TP의 원인이다. 다른 원인으로 인한 두통이나 치과 질환으로 오진할 수 있다. 통증 유발점은 관자놀이이니 두개골 방향으로 3초 정도 수직으로 힘주어 누른다.

TP는 통증 유발점이자 근육에 생긴 색상경결 위에 있는 아픈 부분이다. 색상경결은 수축한 근육에 생기는 멍울이다. 압박을 받으면 통증을 느낀다.

후두하근은 머리를 뒤로 당겨 직립 자세를 취하는 움직임에 작용한다. 머리 위를 올려보는 자세가 TP를 유발한다. 통증 유발점이 후두골 바로 아래이고 시술 방법은 후두골 방향으로 압통이 있는 부분을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견갑거근은 통증 유발점이 측경부이고 측경부의 중앙 부근을 수직 방향으로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요방형근은 요추의 양쪽 외측에 존재하는 장방형 근육이다. 골반의 거상, 체간의 신전, 측굴 등에 작용한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면 TP가 발생하기 쉽다. 요추 가시돌기 외방 3~5cm주변을 수직으로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고관절 내전근은 장내전근, 단내전근, 대내전근, 박근으로 구성된 근육이다. 고관절이 아파서 돌아가신 분들이 교회에 많다. 고관절의 내전에 작용한다. 하지에 부하가 걸리는 동작으로 TP가 발생한다. 시술 방법은 서혜부 하방, 대퇴 내측 근위부를 수직으로 약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치골주위에서 시작하여 고관절을 통과 한후 대퇴골 하부에서 끝나는 내전근이다. 고관절의 내전 외 각각 굴곡이나 외선, 신전 등에 작용한다.

대흉근은 흉곽 외측면에 있는 근육 중 하나이다. 통증 유발점은 앞 흉부이고 앞 액와 주름을 손가락으로 집듯이 하면서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복직근은 3~4개의 건획으로 구분된 전복벽의 평평한 근육이다. 체간의 굴곡, 측굴, 골반의 후경, 호흡에 작용한다. 과도한 복근 운동, 심한 기침 등이 TP를 유발한다. 통증 유발점은 흉골 하방 부근 또는 치골 결합 부근이다. 검상돌기 측방 또는 치골결합 부근을 수직으로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소둔근은 3개의 둔근 중 중둔근의 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이다. 대퇴부, 고관절, 골반의 움직임에 작용한다. 둔근 중에서는 내선에서 가장 강력하게 작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통증 유발점은 대전자 상방이고 시술 방법은 대전자 상방을 수직으로 3초 정도 힘주어 누른다. 교회의 권사님들이나 목사님이 넘어져서 엉덩이에 금이 갔다, 허리에 금이 갔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뼈나 근육을 잘 관리해야 하는 것 같다. 책에서 알려주는대로 3초 정도만 누르면 된다고 하니까 그걸 못하는 사람이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