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체 밸런스 리셋 - 하버드 의대가 밝혀낸 젊은 몸으로 오래 사는 법
네고로 히데유키 지음, 이지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저자 네고로 히데유키는 하버드 대학 의학부와 소르본 대학 의학부 객원 교수를 겸임하는 의사이자 의학 박사,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전문 분야는 내과학, 순환기병학, 항노화의학, 유전자치료, 자율신경, 수면의학으로, 이를 바탕으로 최첨단 임상, 연구 및 의학 교육 분야 등 다방면에서 국제적으로 활약하고 있다.
저자는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현대인에게는 생활습관병이나 힘들게 하는 몸의 찌뿌둥함, 나른함, 두통, 지속되는 피로감, 원인 불명의 불쾌함 등을 포함한 각종 권태감은 사실 호흡이 얕아지거나 세포호흡 및 모세혈관이 약해지면서 발생한다.
어깨뼈는 양옆에 날개처럼 달린 큰 뼈이다.
어깨뼈와 호흡, 세포호흡, 모세혈관은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어깨뼈가 딱딱하고 뻣뻣해지면 호흡이 약해지고 모든 기능이 무너진다.
호흡은 횡격막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어깨뼈가 굳으면 횡격막의 가동 범위가 좁아진다.
호흡할 때 움직여야 하는 흉곽 또한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어깨뼈가 굳으면 자연스레 호흡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다.
세포 호흡이 잘 이루어지려면 충분한 산소 공급이 필요한데 어깨뼈가 굳으면 호흡이 약해지니 산소 공급량은 당연히 줄어든다.
어깨뼈가 뻣뻣해지면 세포호흡에도 지장이 생긴다.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는 모세혈관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항상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어야 하는데 어깨뼈가 곧으면 자율신경이 무너져 혈액 순환도 나빠진다.
어깨뼈가 딱딱해지면 모세혈관도 함께 망가진다.
어깨뼈가 굳으면 호흡, 세포호흡, 모세혈관 모두 문제가 생기면서 혈압이 올라가고 혈당치가 높아지고 권태감이 지속되고 허리나 어깨가 아프다.
아픈 사람의 90%는 어깨가 굳어 있다.
어깨가 뼈가 굳어 있으면 자꾸만 몸이 찌뿌둥하고 피로가 가시지 않고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혈압이 높아지고 어깨나 허리가 아프고 의욕이 저하된다.
등 뒤에서 양손으로 깍지를 끼고 팔을 60도 이상 들려야 정상이다.
등 위에서 양손을 맞댈 수 있어야 하고 양 손바닥과 팔꿈치를 붙인 채 팔꿈치를 코 높이까지 올릴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동작들이 어려우면 이미 어깨뼈가 굳고 호흡도 얕아졌을 것이다.
코로 숨을 내쉰 후 숨을 30초 동안 멈출 수 있어야 한다.
30초 이하로 숨을 멈춘 사람은 얕게 호흡하고 있어 호흡량이 부족하고 40초 이상 숨을 참은 사람은 깊게 호흡하고 있어 호흡량이 충분하다.
자신도 모르게 입을 벌리거나 아침에 일어나면 목이 건조하고 목이나 입이 잘 마르고 구취가 나고 잘 때 코를 골거나 이를 간다.
입술이 말라서 잘 트고 쩝쩝거리는 소리를 내며 식사하고 감기에 잘 걸린다.
이런 경우들이 3개이상 해당되면 호흡이 얕아지기 쉬운 구강 호흡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매일 자기 전 저자가 알려주는 스트레칭을 30초만 해도 몸이 달라진다.

어깨뼈스트레칭은 양손을 쭉 뻗어 어깨뼈를 연다.
어깨뼈 앞뒤로 돌린다.
손으로 어깨뼈 잡고 돌린가 수건으로 하고 양손으로 벽모퉁이를 민다.
또래보다 10년은 젊어지는 호흡법은 횡격막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호흡을 할 때 4초에 걸쳐서 숨을 들이쉬고 다시 4초간 멈춘 다음 8초 동안 천천히 숨을 내쉬는 448호흡법을 해야 한다.
어깨뼈는 몸 전체의 건강에 아주 큰 영향을 끼친다.
등 양옆에 날개처럼 달인 어깨뼈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움직이지 않으면 신체는 굳어버린다.
어깨뼈의 움직임이 둔해지면 상반신의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긴다.
혈액 순환이 나빠지는 이유는 어깨뼈의 움직임을 지탱하는 근육이 약해져서이다.
근육은 몸을 움직이는 일뿐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장을 지키는 쿠션 역할, 열을 만들어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 바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일이다.
온몸에 흐르는 심장에서 내보내는 힘만으로는 몸 구석구석까지 닿을 수 없기에 근육이 혈액 운반 작업의 일부를 맡아서 한다.
종아리가 제2의 심장으로 불리는 이유는 하반신으로 흐른 혈액을 상반신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종아리가 담당한다.
하반신에서 상반신으로 향하는 움직임은 중력을 거스르는 일이기에 하반신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가 종아리라면 상반신에서는 어깨뼈 주변 근육이 가장 중요하다.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드러나는 증상이 목과 어깨 결림이다.
나도 목, 어깨 결림이 가끔 있어서 그쪽으로 통증이 생긴다.
저자가 알려주는 스트레칭을 매일 하면 몸이 달라진다.
어깨뼈를 잡고 팔을 앞뒤로 돌린다.
수건을 어깨너비보다도 넓게 손에 쥐고 머리 위로 올린다.
수건이 목뒤에 닿도록 팔꿈치를 굽혔다가 다시 팔을 뻗어 팔을 뻗고 10회 반복한다.
다리를 어깨너비만큼 벌리고 양팔을 앞으로 쭉 뻗는다.
팔과 바닥이 수평을 이루도록 양 팔꿈치를 가능한 범위까지 천천히 당겨 그대로 5초간 유지한 후 다시 앞으로 총 5회 뻗고 반복한다.
벽 모퉁이를 보고 서서 팔꿈치를 굽힌 채 양손으로 벽을 짚는다.
어깨뼈가 잘 움직이도록 팔은 옆구리에 붙인다.
몸 앞쪽에 체중을 실어 가슴을 내민 자세로 10초간 유지한 후 손은 움직이지 않고 가슴을 앞으로 내밀 때 어깨뼈가 풀린다.
총 3회 반복한다.
팁은 벽의 평평한 부분보다 모서리를 이용하는 편이 어깨뼈를 푸는 데 더 효과적이다.
어깨가 가벼워지면 인생도 가벼워진다.
스트레칭을 하면 뭉친 어깨가 부드러워지고 찌뿌둥한 느낌이 사라지고 몸이 가벼워지고 피로감이 많이 나아진다.
그런 문제가 해결돼도 정말 질이 좋은 생활과 건강상태가 될 것 같다.
사람은 나이 때문이 아니라 혈관 때문에 늙는다.
건강하고 활기찬 몸은 나이가 아니라 어깨가 만든다.
발에 대한 책을 읽으면 발이 정말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고 이 책을 읽어보니까 또 어깨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