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분하게 색칠하는 보태니컬아트 - 색연필 식물 세밀화 컬러링북
이경진 지음 / 좋은땅 / 2023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 이경진 작가는 미술을 전공하였고 제주도에서 자연을 그리는 그림작가로 개인 작업과 보태니컬 화실 아트진을 운영 중이다.

저자의 그림은 차분히 색을 층층이 쌓아 올려 깔끔한 분위기의 식물과 꽃을 표현한다.

책과 같은 방법으로 색칠해도 각자의 그림은 모두 다양한 모습으로 완성된다.

색연필이 섞이는 색의 강도에 따라 다르고 개개인의 성격(급한 성격, 느린 성격)을 반영하기에 개성 있는 그림이 나온다.

다양한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다 보면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게 되는데 이 책을 통해 또 다른 그림 색칠 방법을 경험할 수 있다.

저자는 자연을 큰 주제로 그림 그린다.

이 책에는 천연기념물 제주한란이 들어있다.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는 희귀식물 한란을 저자는 알리고 싶었다고 한다.

보태니컬 아트란 식물학과 예술을 합친 것으로 꽃이나 식물을 사실적이면서 작가의 시선으로 아름답게 표현하는 그림을 말한다.

난 꽃과 식물을 너무 좋아하는 식물애호가, 꽃애호가, 자연풍경애호가라서 이런 그림이 너무 마음에 든다.

식물을 사실적으로 그린다는 점에서 식물 세밀화로 볼 수 있으며 세밀함을 표현하기 위해 그림 재료는 주로 수채화나 색연필을 사용한다.

난 A4용지 크기만한 알라딘굿즈 스케치북이 있다.

강아지를 한 번 그리고 싶어서 알라딘굿즈 스케치북을 싸게 샀고 색연필은 엄마가 경기도에 있는 대학에 강의를 나가실 때 그 대학에서 색연필을 대학홍보용으로 제작을 해서 엄마가 나한테 색깔별로 몇십개를 갖다 주셨다.

그래서 나한테는 스케치북도 있고 색연필도 있어서 저자의 보태니컬을 그냥 그릴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

자각의 보태니컬아트 그리는 순서는 식물/꽃을 정하고 자세히 관찰한다.

소재를 정할 때 길을 걷다 만난 꽃도 좋고 꽃집에서 만난 식물도 좋다.

우리 주변의 모든 식물과 꽃을 관찰해 본다.

어떤 구도/형태로 그릴지 고민한다.

관찰한 식물의 그리고 싶은 모습을 생각하고 러프하게 스케치 낙서하듯 구도를 잡는다.

사실적이면서 아름답게 그려준다.

식물의 색과 비슷한 색연필을 시간 들여 고른 후, 계속 식물을 관찰하며 그림을 그린다.

내가 식물, 꽃, 자연 풍경에 관심을 가지면서 알게 된 건 내주변에 아름다운 꽃, 식물, 멋진 풍경이 그냥 널려 있었다.

이 책에서 필요한 준비물은 색연필, 연필깎이, 연필, 지우개, 송곳(심 없는 샤프)이다.

연필깎이도 알라딘굿즈로 준비해두었다.

이 책에서 나오는 색연필은 파버카스텔 폴리크로모스72색이다.

난 엄마가 강의하고 받아 온 색연필을 다 쓰면 저자가 얘기해준 파버 카스텔 색연필을 사면 될 것 같다.

책에 나오는 번호는 색연필 밑에 적혀있는 번호이다.

같은 색연필이 아니어도 비슷한 색을 사용하면 된다.

이 책의 그림들은 액자에 인테리어하기 좋은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안 페이지는 칼로 깔끔하게 자르고 책의 설명을 보며 색칠한 후 A4크기 액자에 놓으면 인테리어 효과로 좋다.

칼로 자를 때 책의 다른 부분을 자르지 않게 유의한다.

저자는 책에 나온 그림을 보고 전사를 하라고 했는데 난 나의 스케치북에 직접 내가 그림을 그렸다.

이 책에서 원하는 보태니컬아트 색칠 방법은 차분하게 색을 쌓으며 칠한다.

이 책은 단순히 칸 안에 색을 채우는 컬러링북이 아니다.

한 송이의 식물을 천천히 관찰하고 색칠하며 완성도 높게 마무리한다.

천천히하라고 하는 이유는 급하게 칠하면 그림에 급함이 묻어난다.

차분하고 여유 있는 마음으로 층층이 색을 쌓으며 식물 그림을 완성한다.

보기에도 마음이 차분한 그림이 완성된다.

난 독해력에 대한 책도 많이 읽었는데 책을 천천히 읽어야지 책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낸다고 했다.

시험상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더 연구해봐야 한다.

저자는 한 번 색칠한 색과 다섯 번 칠한 색의 차이를 보여준다.

저자는 흰색도 자주 사용한다.

덧칠한데다가 흰색을 칠하고 또 덧칠하는 방법이었다.

고흐가 그런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고 책에서 읽었다.

저자가 색칠하게 만든 식물과 꽃들은 은행잎, 네잎클로버, 강아지풀, 칼라, 아네모네, 올리브나무, 꽃마리, 수선화, 튤립, 목화, 까치밥나무, 사계국화, 마트리카리아, 제주한란, 동배꽃이다.

나는 튤립을 좋아해서 저자가 하라는대로 튤립을 그리고 색칠했다.

저자는 활짝 핀 툴립보다 피기 전의 앙다문 튤립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뭔가 피기 직전의 싱그럽고 촉촉함이 느껴진다고 한다.

화실에 피기 전의 튤립을 두고 매일 출근하며 오늘은 튤립이 피었는지 혼자 설레곤 한다고 한다.

활짝 핀 튤립이 어떤지 궁금증을 가지는 것이 저자에게는 삶의 즐거움을 만든다고 한다.

저자가 알려준 방법은 101, 108, 118, 121, 219,170, 264,177번 색연필들을 계속 덧칠하면 된다는 것이다.

나의 색연필은 대학 이름만 크게 있어서 그냥 비슷한 색을 찾아서 계속 덧칠했다.

이 책에 있는 식물과 꽃을 시간날 때마다 하나씩 나의 스케치북에 그리고 색칠하면 좋을 것 같다.

지금은 봐야할 책도 많고 공부할 것도 많아서 빨리빨리 스케치북을 채우지는 못할 것 같다.

그래도 저자의 책은 나의 선호를 완전히 채워주는 책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