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딴체 손글씨 - 귀엽게! 반듯하게! 어른스럽게! 나만의 글씨체 만들기 또딴체 손글씨
또딴 지음 / 경향BP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초등학교때 경필대회에 1등을 하고 대학교때까지는 글씨를 잘 쓴다고 사람들이 놀랬다.

노트나 숙제, 레포트를 내면 글씨를 잘 쓴다고 애들이나 선생님, 교수님들이 항상 칭찬을 해줬다.

내가 글씨도 잘 쓰고 공부도 잘하니까 노트를 빌려 달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대학을 졸업하고 컴퓨터로 워드를 쓰면서부터 갑자기 악필이 되었다.

그래서 글씨 연습을 계속 하고 흘림체나 다른 글씨체로 바꿔봤는데나중에는 내가 쓴 글씨도 못 알아봤다.

원래는 정자체를 썼는데 흘림체로 바꿔보니까 흘림체는 나와 안 맞다는 걸 알았다.

정자체는 예쁘기는 하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빨리 쓰면서 예쁘게 쓰는 글자체가 뭔지 고민하게 되었다.

흘림체는 다시 버리고 또딴체로 돌아섰다.

자저 또딴 최정미는 구독자 11만 명을 보유하고 있는 글씨 유튜버이다.

글씨 잘 쓰는 노하우 영상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손글씨에 좀 더 접근할 수 있도록 손그림과 다양한 글씨를 영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저자의 유튜버를 찾아 보고 구독을 했다.

저자는 어떤 언니가 글씨를 너무 잘 쓰는 걸 보고 그때부터 글씨를 잘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손글씨를 잘 쓰고 싶다면 펜을 들고 따라 쓰기만 하면 된다.

이 책은 글씨를 바르게 쓰는 큰 틀을 알려 준다.

누구나 올바른 방법을 알고 차근차근 따라 쓰다 보면 반드시 손글씨 장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중간에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연습만 하면 된다고 한다.

키보드로 글씨를 쓰는 요즘 손글씨가 더 중요하다고 한다.

이 책은 또딴체와 어른체를 알려준다.

같은 글씨로 써도 어떤 펜을 쓰느냐에 따라 글씨가 달라진다.

유성펜은 볼펜이고 뚜껑 없는 기름 성질의 펜이다.

뚜껑이 없어 편리하고 부드럽게 써져서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잉크 찌꺼기가 생길 수 있고 선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중간중간 끊김이 생길 수 있다.

그 종류는 제크스트림, 모나미, 동아 미피 볼펜이 있다.

교과서 재질의 종이에 필기하기에 적합하고 필기, 메모 등 일상에서 사용하기 좋다.

수성펜은 만년필이다.

부드럽고 선명한 글씨를 쓸 수 있고 잉크 찌꺼기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잉크가 물의 성질이 있어 번짐 현상이 있다.

만년필, 모나미 플러스 펜이 있다.

중성펜은 유성펜과 수성펜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해서 만든 제품으로 많이 사용하는 펜이다.

젤펜, 겔펜이라고 한다.

부드럽게 써지고 선명한 글씨를 편하게 쓸 수 있다.

색상이 다양하여 노트 정리를 예쁘게 할 수 있다.

젤리롤, 동아 미피중성펜, 사라사클립, 시그노, 파인테크, 에너겔, 잉크조이젤펜이 있다.

또딴체와 어울리는 펜은 필기감은 좋으면서 펜촉이 종이와 닿았을 때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드는 펜이 좋다.

사라사 클립, 유니볼 시그노, 무지 젤 잉크, 스테들러 피그먼트 라이너가 있다.

난 이 책에 나오는 어른체보다는 또딴체를 이제 나의 글씨로 만들어야 할 것 같다.

또딴체는 글씨의 위 라인은 대략 맞춰 준다.

받침 있는 글자와 없는 글자의 키를 조금 다르게 써 준다.

받침 없는 글자의 경우, 위아래 라인을 모눈 종이에 꽉 채워서 써 준다.

받침 있는 글자의 경우, 위 라인은 모눈종이에 맞게 써 주고 아래 라인은 모눈종이 아래칸으로 1/4정도 넘어 간다.

자음과 모음의 세로 길이가 거의 비슷한다.

또딴체는 또박또박 쓰되 어느 정도의 틀에서만 벗어나지 않으면 된다.

글씨를 쓸 때 받침 있는 글자와 없는 글자의 크기는 조금 다르게 써야 보기 좋다.

오차 범위를 너무 크지 않게 쓰고 선을 맞춰 정돈된 느낌을 줘야 한다.

글자의 정렬에 신경 쓰면 글자들이 더욱 정돈되어 보인다.

받침 있는 옆 모음 글자의 경우 받침은 글자의 3/4크기로 쓰되 초성의 살짝 오른쪽에서 시작하여 모음 'ㅣ'가 끝나는 라인에 맞춘다.

받침 있는 아래 모음 글자의 경우 받침은 초성과 비슷한 크기로 같은 라인에 맞춰 써 준다.

모음과 모음 사이를 띄어 준다.

각각의 받침은 초성과 크기가 비슷하거나 조금 작게 써 준다.

2개의 받침은 서로 비슷한 크기로 써 준다.

글자의 테두리를 넘지 않게 써 준다.

한 글자씩 전부 연습을 하고 짧은 문장을 연습할 수 있다.

또딴체와 어른체 2가지 서체만 알고 본인 것으로 만들면 더 이상 다른 서체는 배우지 않아도 충분하다.

그 얘기는 듣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다양한 흘림체들을 배운다고 시간을 안 써도 된다는 게 너무 좋다.

이 두 서체를 기본으로 서체의 특징을 알고 응용을 하다 보면 나중에는 본인 서체도 만들 수 있다.

난 또딴체를 응용하고 발전시키고 싶다.

또빡또빡 반듯하게 쓰면 단정한 느낌의 또딴체가 된다.

자음을 크게 쓰면 상대적으로 귀여운 글씨가 완성된다.

자음을 적게 쓰고 자음과 모음의 간격을 넓게 쓰면 다른 느낌의 글씨가 완성된다.

글씨의 획을 긋듯이 쓰고 기울기를 주면 날카로운 느낌의 감성적인 글씨가 완성된다.

받침의 위치에 따라 아이가 쓴 듯한 글씨가 완성된다.

손글씨에 손그림을 더하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더 잘 살려 줄 수 있다.

손글씨를 사진으로 남길 때도 기술은 필요하다.

글귀에 어울리는 소품을 이용하거나 글귀에 알맞은 조명, 구도를 생각하고 촬영하면 더욱 돋보이는 나만의 손글씨를 기록할 수 있다.

또딴체는 귀엽고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글씨체이다.

응용을 하고 빨리 쓸 수 있는 방법도 연습하면서 알아내야겠다.

나의 글씨를 또딴체로 정해서 인생의 숙제중 하나를 해결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