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사 실무에 힘을 주는 한글 2022 - 2010, 2014, 2016(NEO), 2018, 2020 모든 버전 활용 가능 ㅣ 회사실무에 힘을 주는 오피스 시리즈
김로사 지음 / 정보문화사 / 2022년 11월
평점 :

저자 김로사는 직업전문학교, 디지털멀티캠퍼스, 초등학교 방화후 강사, 주민자치센터 등등 다양한 곳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강의를 하고 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전자제품, 기기류는 공부를 하려고 노력은 하고 있지만 잘 모른다.
이번에도 프린트를 뭘 잘못 눌렀는지 컴퓨터 사장님을 불러서 봐달라고 했더니 터치 하나만 누르니까 해결이 되었다.
사장님이 출장비를 받아가는 것도 미안하다고 마우스패드를 주고 가셨다.
한글에 번역하기가 있다고 하는데 나는 처음 들었다.
문서의 내용을 원하는 언어로 번역할 수 있다.
영어뿐만 아니라 독일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아랍어, 일본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도 번역할 수 있다.
번역 창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보기 탭, 작업창, 번역을 클릭한다.
한글 페이지를 펴서 해보니까 진짜 그런 페이지가 있었다.
번역할 부분을 범위로 저장한다.
문서 전체를 선택하려면 ctr+A를 누른다.
현재 언어를 먼저 선택한 후 번역할 언어를 선택하고 번역을 클릭한다.
번역 기능을 사용하려면 인터넷에 연결돼 있어야 한다.
내 컴퓨터는 업그레이를 시키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언어를 확인하는 창이 표시되면 번역을 클릭한다.
문단별로 번역돼 표시된다.
번역 창에서 번역된 내용을 입력할 문단을 클릭할 문단을 클릭하고 펼침 버튼을 클릭한다.
문단 아래에 삽입을 클릭한다.
번역 창 하단의 모두 덮어쓰기를 클릭하면 모든 문단이 번역된 문장으로 변경된다.
글자 앞에 삽입은 번역한 내용을 글자가 포함된 문단의 앞에 입력한다.
글자 뒤에 삽입은 번역한 내용을 글자가 포함된 문단의 끝에 입력한다.
문단 위에 삽입은 번역한 내용을 글자가 포함된 문단의 위에 입력한다.
복사하기는 번역한 내용을 복사한다.
원하는 위치를 클릭한 후 ctrl+V를 눌러 붙여넣기한다.
한자 입력하기도 있는데 솔직히 잘 모르는 것 같다.
음을 한글로 입력한 후 한자를 누르면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부수와 획수, 뜻과 음을 이용해 입력할 수도 있다.
한글을 입력한 후 한자를 누르거나 F9를 누른다.
하단의 사전이 보이지 않을 때는 더 보기를 클릭한 후 사전 보이기를 클릭한다.
입력할 한자와 입력 형식을 선택한 후 바꾸기를 클릭한다.
책에 나오는대로 전부 해봐야 겠다.
오른쪽 끝에 마우스커서를 올려놓고 한자를 누르면 다시 한글로 변환된다.
여러 단어를 한자로 변환할 때는 범위로 지정한 후 한자를 누르면 여러 번 한자를 누르지 않아도 된다.
한자로 바꾸고 싶지 않은 단어에서 한자로 바꾸기 창이 나타나면 지나가기를 클릭한다.
한자 복사하기는 한자 입력 창에서 복사하기를 클릭하면 사전의 내용이 모두 복사된다.
한자 입력 창을 닫고 ctrl+v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마우스 커서의 위치에 사전의 내용이 입력된다.
한 글자일 때는 다음과 같이 한자의 뜻과 음, 부수, 획수, 병음, 국어사전의 의미까지 모두 입력된다.
한자로 변경하고자 하는 단어에서 한자로 바꾸기 창이 나타나면 한자와 입력 형식을 선택하고 바꾸기를 클릭한다.
등록된 단어가 아니라 한 글자씩 한자를 선택해야 할 때는 한 글자씩 클릭한다.
키보드에 없는 특수 문자를 입력할 때는 문자표를 이용한다.
문자표의 특수 문자는 영역별로 구분돼 있고 자주 사용하는 특수 문자를 사용자 문자표에 등록할 수도 있다.
특수 문자를 입력할 위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단축 메뉴에서 문자표를 클릭한다.
단축키는 ctrl+F10이다.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므로 단축키를 기억해 두는 것이 좋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를 때는 정확하게 특수 문자를 입력할 위치에서 눌러야 한다.
특수 문자 넣기를 실행하면 마우스 커서의 위치와 무관하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위치에 입력된다.

사용자 문자표 탭을 클릭한 후 문자 영역을 선택하고 입력할 글자를 클릭한다.
여러 문자를 동시에 입력하려면 입력할 순서대로 더블클릭해야 한다.
넣기를 클릭한다.
윈도우에서 특수 문자를 입력하는 것처럼 한글 자음을 누른 후 한자를 눌러 입력할 수도 있다.
ㅁ을 누른 후 한자를 누르면 특수 문자 목록이 나타난다.
문자를 선택한 후 바꾸기를 클릭한다.
ㅈ은 로마자, ㄹ은 단위 문자이다.
글을 입력한 후 다시ctrl+f10을 누른다.
특수 문자를 선택하고 넣기를 클릭한다.
원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ctrl+f10을 누른다.
그런 다음 사용자 문자표탭, 원문자를 선택하고 1을 클릭한다.
space bar를 네 번 누르고 넣기를 클릭한다.
1과 2사이를 클릭한 후 내용을 입력한다.
enter를 누른 후 2와 3사이를 클릭하고 내용을 입력한다.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내용을 입력한다.
문서의 내용이 실수로 삭제됐을 때 복구할 수 있도록 백업 파일을 설정한다.
문서를 저장할 때 같은 이름의 .hwpx파일이 있으면 그 파일의 확장자를 bak로 변경하고 저장되는 문서를 .hwpx확장자로 저장한다.
문서를 작성한 후 저장을 클릭한다.
그런 다음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창에서 도구 옆의 펼침 버튼을 클릭하고 저장 설정을 클릭한다.
백업 파일 만듦을 클릭한 후 설정을 클릭한다.
백업 파일은 현재 파일이 저장된 폴더에서 저장된다.
저장을 클릭한다.
백업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문서 내용의 일부를 삭제한다.
문서의 일부를 드래그해 범위로 저정한 후 delete를 누른다.
내용이 삭제된 채로 저장하기를 클릭한다.
저장 설정하기는 새문서를 저장할 때 문서 암호 설정을 한다.
도구를 클릭하지 않아도 문서를 저장할 때 암호 설정 대화상자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임시 폴더에 저장할 때 안내문 띄우기는 인터넷에 업로드된 파일을 클릭해 열기하면 파일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이를 알리는 안내문을 보여 준다.
변경 내용 저장 시 최종본 함께 저장한다.
한글 이전 판에서 변경 내용 최종본을 확인하려면 변경 내용 추적 문서를 저장할 때 최종본을 함께 저장한다.
문서를 다른 기기에서 불러올 때 개체의 배치나 글자 서식 등의 변형 없이 원본 그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려면 pdf파일로 저장해야 한다.
나도 pdf가 뭔지 항상 궁금했다.
문서를 한글 파일로 저장한 후 저장 버튼의 펼침 버튼을 클릭한다.
pdf저장하기를 클릭한다.
저장을 클릭한다.
pdf저장 설정은 도구 탭, 저장 설정을 클릭하면 저장 범위와 그림 저장 품질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 범위는 문서 전체를 pdf파일로 저장한다.
현재 쪽은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쪽만을 pdf파일로 저장한다.
쪽을 분리하는 단축키 ctrl+enter이다.
문서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거나 배포할 때 쓰기 암호를 설정해 수정, 인쇄, 복사할 수 없도록 한다.
인쇄 제한을 해제하면 인쇄를 할 수 있고 복사 제한을 해제하면 복사를 할 수 있다.
최근에 작업한 문서는 일일이 폴더를 찾을 필요 없이 최근 문서 목록에서 찾는 것이 빠르다.
또한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문서는 핀으로 고정해 최근 문서 목록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글 2022는 최근 문서 목록에서 특정 파일만 제거할 수 없다.
만약 다른 목록은 유지한 채 특정 파일만 제거하고자 한다면 해당 파일의 이름이나 경로를 변경한 후 존재하지 않는 파일 지우기를 실행해야 한다.
한글을 평상시에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많은 기능들이 있다는 건 금시초문이다.
이 책을 활용해서 계속 보고 공부해야 할 것 같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