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편집 - 결국 생각의 차이가 인생의 차이를 만든다
안도 아키코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출판미디어그룹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의 편집에서 생각의 차이가 인생의 차이로 만드는다는 얘기가 맞는 것 같다.

편집의 영역은 신의 영역이라고 한다.

머릿속에서 잠자고 있는 엔진을 깨우라고 하는데 그런 찰나는 항상 있는 것 같은데 그걸 깨우는 게 어떤 계기가 있는 것 같다.

생각은 너무 많지만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되는 생각을 찾아내고 싶은데 정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생각은 누구나 하지만 탁월한 생각을 하는건 아무나 못하는 것 같다.

그런 발상력은 상상력과 관계가 있는 것 같다.

아인슈타인은 아무리 경험을 많이 해도 이론은 경험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상상력에서 나온다고 했다.

상상력을 이끌어내는 상상력과 발상은 생각의 습관과 말하기 태도에 달려 있다.

창의적 생각기술을 알면 다른 인생을 살 수 있다.

살면서 가장 큰 무기는 새로운 창의와 인내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을 편집하는 기술이 없으면 자신에게 맞게 사용할 수 없다.

책을 볼떄도 유추, 추리를 많이 해야하고 행간을 읽어내야 한다.

저자 안도 아키코는 현재 일본 최고 지성집단인 편집공학연구소에서 전무이사로 일하고 있다.

우리가 인지하는 것, 표현하는 것, 이해하는 것, 그리고 소통하는 것은 편집이라는 행위 없이는 성립하지 않는다.

편집공학이란 생명의 행동에서부터 인류의 역사까지, 인간의 인지에서부터 표현까지, 철학에서부터 시스템 공학까지, 문학에서 우주론까지 그 무엇이든 간에 편집이라는 공통된 방법으로 연결해서 담아내는 그릇과도 같다.

모든 정보에는 항상 어떤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분절화를  통해 그에 마땅한 의미가 표면으로 튀어나온다.

분절이 문맥을 만들고 문맥은 분절화 된다.

언어학습에서 한 문장이 아닌 최소한으로 필요한 단어를 묶음으로 기억하는 것을 청킹으로 기억한다고 표현한다.

이것은 의미를 덩어리화한다는 것이다.

청킹을 자유자재로 분절하는 것이 바로 편집력이 발동되는 첫걸음이다.

작업의 세분화는 일에 있어서의 덩어리들을 자기가 자유자재로 편집하는 것이다.

정보는 항상 바꿔 타고 바꿔 들고 갈아입으려고 한다.

이 말은 생각을 하나의 지점에서 멈추지 말고 다면적으로 바라보면서 다시 생각하라는 것이다.

텔레커뮤팅은 될 수 있는 한 많은 대체언어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논리란 생각이나 추론이 지녀야 하는 원리나 법칙을 말하는데 아날로지는 원리나 법칙의 틀을 훌쩍 벗어나 자유자재로 추리하는 것이다.

연상과 요약은 현대인의 필수 스킬이다.

요약력은 수없이 많은 정보의 바다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다른 사람이 듣고 싶은 핵심만 말하는 능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에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요즘은 육하원칙에 따라 요점만 간단히 전달하는 사람을 선호한다.

요약력은 고대 그리스의 윤리학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요즘에는 사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순서를 세워서 모순 없이 생각하는 사고법으로 발전하여 연상력과 함께 비즈니스맨들의 필수 스킬이 되었다.

우리의 뇌는 요약과 연상을 동시에 행하지 못한다.

무한대로 연상이 펼쳐지는 상황에서 그것을 일목요연하게 요약해서 설명하기는 어렵다.

연상이란 하나의 관점이 다른 관념을 불러일으키는 작용으로 달리 말하면 연속해서 생각한다는 뜻이다.

그것은 관련이 있는 것들을 차례차례 좋아서 생각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다.

관련성을 찾아 내는 것은 무엇과 무엇이 비슷하다,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연속적으로 따라가는 것이다.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연상은 끝없이 이어진다.

이것은 의미 단위의 네트워크를 진행한다고 말한다.

논리적 사고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문제가 주어지면 항상 같은 답을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이다.

짐작은 막힘을 돌파하는 힘이다.

연역은 보편적인 사실을 전제로 거기서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 방식이다.

연역은 어떤 가설이나 이론이 부여된 것으로 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전제 안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이상의 것을 결론으로 이끌어 낼 수 없다.

이것은 전제 자체가 움직이는 환경에서는 한 발짝만 틀어져도 길을 잃게 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뜻이다.

귀납은 여러 사실이나 사례로부터 끌어낸 것을 일반화해서 결론으로 이어 가는 추론이다.

어브덕션은 현재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다.

창조적 상상력에 의한 추측의 비약이다.

어브덕션을 가로막는 것들은 지나치게 자신감 넘치는 단언, 절대로 알 수 없는 것이 존재한다는 주장, 과학적 요소에 다른 설명은 쓸모없다는 태도, 법칙이나 진리는 바뀔 리 없다는 착각이다.

생각의 편집에서 생각의 차이가 인생의 차이로 만드는다는 얘기가 맞는 것 같다.

편집의 영역은 신의 영역이라고 한다.

머릿속에서 잠자고 있는 엔진을 깨우라고 하는데 그런 찰나는 항상 있는 것 같은데 그걸 깨우는 게 어떤 계기가 있는 것 같다.

생각은 너무 많지만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되는 생각을 찾아내고 싶은데 정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생각은 누구나 하지만 탁월한 생각을 하는건 아무나 못하는 것 같다.

그런 발상력은 상상력과 관계가 있는 것 같다.

아인슈타인은 아무리 경험을 많이 해도 이론은 경험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상상력에서 나온다고 했다.

상상력을 이끌어내는 상상력과 발상은 생각의 습관과 말하기 태도에 달려 있다.

창의적 생각기술을 알면 다른 인생을 살 수 있다.

살면서 가장 큰 무기는 새로운 창의와 인내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을 편집하는 기술이 없으면 자신에게 맞게 사용할 수 없다.

책을 볼떄도 유추, 추리를 많이 해야하고 행간을 읽어내야 한다.

저자 안도 아키코는 현재 일본 최고 지성집단인 편집공학연구소에서 전무이사로 일하고 있다.

우리가 인지하는 것, 표현하는 것, 이해하는 것, 그리고 소통하는 것은 편집이라는 행위 없이는 성립하지 않는다.

편집공학이란 생명의 행동에서부터 인류의 역사까지, 인간의 인지에서부터 표현까지, 철학에서부터 시스템 공학까지, 문학에서 우주론까지 그 무엇이든 간에 편집이라는 공통된 방법으로 연결해서 담아내는 그릇과도 같다.

모든 정보에는 항상 어떤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분절화를  통해 그에 마땅한 의미가 표면으로 튀어나온다.

분절이 문맥을 만들고 문맥은 분절화 된다.

언어학습에서 한 문장이 아닌 최소한으로 필요한 단어를 묶음으로 기억하는 것을 청킹으로 기억한다고 표현한다.

이것은 의미를 덩어리화한다는 것이다.

청킹을 자유자재로 분절하는 것이 바로 편집력이 발동되는 첫걸음이다.

작업의 세분화는 일에 있어서의 덩어리들을 자기가 자유자재로 편집하는 것이다.

정보는 항상 바꿔 타고 바꿔 들고 갈아입으려고 한다.

이 말은 생각을 하나의 지점에서 멈추지 말고 다면적으로 바라보면서 다시 생각하라는 것이다.

텔레커뮤팅은 될 수 있는 한 많은 대체언어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논리란 생각이나 추론이 지녀야 하는 원리나 법칙을 말하는데 아날로지는 원리나 법칙의 틀을 훌쩍 벗어나 자유자재로 추리하는 것이다.

연상과 요약은 현대인의 필수 스킬이다.

요약력은 수없이 많은 정보의 바다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다른 사람이 듣고 싶은 핵심만 말하는 능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에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요즘은 육하원칙에 따라 요점만 간단히 전달하는 사람을 선호한다.

요약력은 고대 그리스의 윤리학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요즘에는 사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순서를 세워서 모순 없이 생각하는 사고법으로 발전하여 연상력과 함께 비즈니스맨들의 필수 스킬이 되었다.

우리의 뇌는 요약과 연상을 동시에 행하지 못한다.

무한대로 연상이 펼쳐지는 상황에서 그것을 일목요연하게 요약해서 설명하기는 어렵다.

연상이란 하나의 관점이 다른 관념을 불러일으키는 작용으로 달리 말하면 연속해서 생각한다는 뜻이다.

그것은 관련이 있는 것들을 차례차례 좋아서 생각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다.

관련성을 찾아 내는 것은 무엇과 무엇이 비슷하다,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연속적으로 따라가는 것이다.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연상은 끝없이 이어진다.

이것은 의미 단위의 네트워크를 진행한다고 말한다.

논리적 사고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문제가 주어지면 항상 같은 답을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이다.

짐작은 막힘을 돌파하는 힘이다.

연역은 보편적인 사실을 전제로 거기서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 방식이다.

연역은 어떤 가설이나 이론이 부여된 것으로 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전제 안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이상의 것을 결론으로 이끌어 낼 수 없다.

이것은 전제 자체가 움직이는 환경에서는 한 발짝만 틀어져도 길을 잃게 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뜻이다.

귀납은 여러 사실이나 사례로부터 끌어낸 것을 일반화해서 결론으로 이어 가는 추론이다.

어브덕션은 현재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다.

창조적 상상력에 의한 추측의 비약이다.

어브덕션을 가로막는 것들은 지나치게 자신감 넘치는 단언, 절대로 알 수 없는 것이 존재한다는 주장, 과학적 요소에 다른 설명은 쓸모없다는 태도, 법칙이나 진리는 바뀔 리 없다는 착각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