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귀학 개론 - 세상 진지한 방귀 교과서
스테판 게이츠 지음, 이지연 옮김 / 해나무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ㅋㅋㅋㅋㅋㅋㅋ웃고 시작하고 싶은 책이다.

방귀는 왜 뀌고 방귀는 왜 냄새가 나고 방귀를 사람들앞에서 뀌면 왜 민망한건지 궁금해서 이 책을 읽었다.

방귀를 참으면 몸에 안 좋다고 들었는데 왜 우리는 사람들앞에서 뀌면 안되는 건지도 알고 싶었다.

연예인들을 가끔 보면 결혼해서 부부끼리 방귀를 안 텄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많이 하는데 모든 사람들이 모두 방귀를 트면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했다.

우리집에는 방귀여왕이 엄마인데 아주 가끔 폭탄같은 소리를 내서 놀랄때도 있고 힘들거나 어떤 사람과 부딪혀서 당황했을 때도 방귀가 뿡하고 나와서 웃을 때가 있다.

옛말에 날아가는 방귀에 시비를 걸지 말라는 얘기가 있던데 방귀를 당하는 사람은 냄새 때문에 곤혹을 치른다.

방귀의 그런 냄새나 가스가 나의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고 싶었다.

학교 다닐 때도 김영팔이라는 남자애가 있었는데 학교에서 방귀를 많이 껴서 걔가 앉은 의자는 의도적으로 피했던 생각이 난다.

남자여자에 따라서도 방귀가 틀리다고  한다.

저자는 방귀를  증오하지 말고 사랑하자고 하는데 자신의 방귀는 사랑할지 몰라도 남의 방귀는 불쾌하고 싫은 냄새가 나서 사랑을 못할 것 같다.

저자가 열렬한 방귀애호가라는 부분에서 또 빵 터진다.

방귀도 어떤 건 소리가 나고 어떤 건 소리가 안 나는데 저자가 그런 것도 전부 알려즌다.

그동안의 방귀는 가까이 있지만 미스터리했던 부분을 저자가 일부 해결해준다.

 





이 책을  읽는 목적은 방귀는 왜 끼는가,,,

방귀는 왜 소리와 냄새가 나는가,,,

방귀를 끼면 옆에서 가스나 냄새를 맡는 사람은 해롭지 않은가를 알고 싶어서 읽었다.

저자는 똥과 방귀부터 분류를 해준다.

똥은 신진대사로 만들어진 노폐물이다.

저자의 말로는 똥의 매혹적인 측면을 노폐물로만 다 표현할 수 없다고 한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하루에 누는 똥의 양은 100~125그램이고 75퍼센트가 수분, 25퍼센트가 고형물이다.

똥에는 식이섬유와 많은 양의 세균, 세균도 죽은 것, 산  것도 있다.

그리고 기타 많은 화합물이 들어 있다.

방귀는 거의 전체가 가스이다.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올, 냄새를 풍기는 미량의 휘발성 물질인 황화수소, 메탄사이올, 인돌, 스카톨, 디메틸 설파이드등이 들어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방귀를 통해서 세균을 들이마시는 것도 가능하다.

헉,,,,,,

방귀에는 고향물이 섞여있지는 않지만  가스는 방귀를 마시는 사람의 이마 뒤쪽에 있는 후각 신경구에서 냄새 화학수용채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방귀 입자 중에 몇 개는 냄새를 맡는 사람의 일부가 된다.

방귀는 극미량의 세균을 포함하고 있다.

옷이 그런 세균들을 막아줄 필터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옷을 입지 않은 사람이 뀌는 방귀로부터 5센티미터 거리에 있어야 한다.

그래도 평생 옷 벗은 사람을 볼 경우는 거의 없을 것 같다.

방귀 냄새는 열심히 일하는 세균들이 대장에 남아 있는 음식물을 소화시켜 휘발성의 가스를 만드는 과정으로 시작된다.

신진대사의 과정이다.

복잡한 분자는 더 간단한 분자로 쪼개지고 새로운 분자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가스가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방귀 가스는 냄새가 전혀 없다.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모두 냄새가 없다.

극소량 만들어지는 휘발성 가스가 냄새가 있다.

휘발성은 쉽게 증기로 증발한다는 것이다.

이 가스들은 공기 중에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다가 우리 코에까지 닿을 수 있는 것이다.

방귀마다 그 속에 들어 있는 화합물은 다르다.

이 화합물은 음식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긴 부산물인데 육류나 견과류, 씨앗류, 콩 등에서 많이 들어 있는 단백질을 분해한 결과물이다.

가장 독한 방귀는 식품 속 아미노산을 분해한 결과이다.

아미노산은 콩, 치즈, 육류에 많다.

이 식품들은 가장 많은 방귀를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냄새가 가장 독한 방귀를 만들어낸다.

방귀를 뀌고 나면 브라운 운동(우리 주변에는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수십억 개의 분자들이 있다. 분자들은 무작위로 움직이며 꿇임없이 돌아다니고 서로 부딪혀서 아주 먼 곳까지 퍼져 나간다)때문에 휘발성 가스들이 공기를 타고 우리 주변까지 오게 된다.

워낙 어마어마한 규모로 진행되는 일이기 때문에 엉덩이에서 나온 가스는 균등하게 공기 중으로 퍼져서 우리의 코를 지나 먼 곳까지 갈 수 있다.

숨을 쉬면 냄새를 풍기는 휘발성 물질들이 코안으로 빨려 들어오고 비강을 지나 후각 상피의 점액에 도달한다.

후각 상피는 후각 신경구와 연결되어 있다.

그 냄새 나는 분자 중에 일부가 점액에 녹고 점액은 끓임없이 흐르면서 거의 10분마다 교체된다.

점액에 녹은 냄새 분자는 후각 화학수용체(냄새가 나는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작은 조직)에 의해 감지된다.

그러면 수용체는 뉴런 영역을 통해 아주 작은 전기 신호를 후각 신경구로 그다음에는 축삭 돌기(엄청나게 작은 전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를 통해 뇌로 보낸다.







뇌는 그 신호를  해석해서 방귀 냄새가 난다고 알려준다.

손바닥을 컵 모양으로 모아서 그 안에다 방귀를 뀌면 냄새가 잘 안난다고 한다.

방귀 속에 들어 있는 수소는 폭발성이 매우 강하다.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면 강력한 수산기 폭발이 발생한다.

메탄 폭발은 약한 축에 속한다.

방귀 속의 수소와 산소가 낮은 편이고 비활성인 질소가 훨씬 많다.

그러니 방귀를 뀐다고 크게 위험하지는 않다.

방귀는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소화 과정의 일부이니 방귀를 뀌더라도 자신이 섬유질을 충분히 먹어서 건강하다고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한다.

이 책은 방귀를 환영하자는 내용이지만 방귀가 창피하고 무례한 행위라는 일반적인 인식을 무시할 수는 없다.

방귀에 관해서라면 사람들은 기괴할 정도로 비난조로 이야기하고 고상한 척한다.

대학교때 자격증시험준비를 한다고 고려대학교에 다니는 친구랑 같이 고려대에서 공부를 한 적이 있다.

도서관 한켠에서 항상 방귀는 끼는 남자애가 있었다.

난 절대로 그 남자애가 앉은 도서관 의자에는 앉지 않았고 식당에 걔가 옆에 오면 멀리 떨어졌다.

난 비위도 약하고 청결을 중시하는 집안 분위기때문에 그를 멀리했다.

걔가 믹스커피를 같이 마시자고 해서 말을 걸었는데 난 커피를  전혀 안 마신다고  외면했다.

걔가 어쩌면 방귀를 안 꼈다면 믹스커피를 같이 마셨을지도 모른다.

나중에 걔가 자기는 사법고시를 1학년때부터 공부를 한다고 나한테는 무슨 시험을 준비하냐고 물었는데 난 회계사를 할지 잘 모른다고 얘기하고 그냥 지나쳤다.

하지만 걔가 방귀를  끼지 않았다면 난 지적 자극에 약하니까 걔랑 얘기를 오랫동안 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을 그때 읽었다면 걔랑 친분이 생겼을지도 모를 일이다.

방귀를 구성하는 성분 하나하나가 양이 충분히 많기만 하다면 우리는 죽을 수도 있다.

헉,,,,,,

  







독성학의 기본 원칙은 모든 것은 양이 중요하다.

물도 너무 많은 양을 너무 빨리 마시면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

방귀에 들어 있는 모든 성분이 다른 것 없이 그것만 아주 오래 흡입한다면 죽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일이 생기기는 아주 힘들다.

대변은 방귀의 어머니이다.

소변은 형이고 땀은 자매, 콧물은 삼촌이다.

상처의 딱지나 귀지, 침, 토사물, 배꼽에 낀 때 등은 말하자면  결혼식이나 장례식 때만 보는 먼 친척이라고 할 수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똥은 신진대사의 노폐물이다.

소화를 거치고 남은 물질이다.

신체가 배출하려고 하는 다른 수많은 산물들도 마찬가지이다.

방귀를 뀌지 않으면 사람이 폭발한다.

방귀를 뀌지 않으면 속이 불편하고 더부룩한 느낌이 든다.

서서히 그게 나중에는 통증으로 변한다.

장의 통증은 소화계에 뭔가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이다.

계속 참으면 빠르게 소화불량과 속쓰림으로 넘어간다.

방귀가 장 속에 너무 오래 머물면 가스가 혈류로 재흡수되어 호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방귀를 끼지 않으면 트림에서 방귀냄새가 날 수 있다고 한다.

이걸 역류라고 한다.

위 속의 내용물이 아래쪽이 아니라 위로 올라올 때 생긴다.

토할 때처럼 된다.

트림까지 참아서 가스들이 아무 데도 갈 데가 없어지면 다시 장으로 들어간다.

방귀 냄새가 더 진한 산성의 트림을 하게 된다.

게실증이라는 질병의 원인 중에 방귀를 참는 것도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공기가 계속 모이면 장벽에 주머니 같은 것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염증이 생긴다면 게실 천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빠르게 진단을 받지 못해 패혈증이 생긴다면 패혈증으로 죽을 수도 있다.

차라리 방귀를 끼는게 낫겟다.

방귀를 낄 때 소리가 나는 이유는 압력과 마찰 때문이다.

조임근은 방귀를 내보내기 위해 실금처럼 가느다랗게 열린다.

가스가 움직이자마자 방귀가 미처 다 빠져나가기도 전에 항문조임근은 얼른 제자리로 돌아간다.

그것은 공기 흐름이 빨라지면서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기도 하고 가스가 조임근의 가장자리를 돌아나가는 탓도 있으며 구멍이 열리자마자 직장의 압력이 다소 감소하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순간적으로 구멍은 닫히고 구멍이 닫히자마자 안쪽의 압력이 약간 높아지면서 다시 구멍을 힘으로 밀어서 열게 된다.

그러면 다시 압력이 낮아져서 구멍이 닫히고 그런 식으로 빠르게 구멍이 열리고 닫히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렇게 열리고 닫히는 일이 초당 20번 이상 일어나게 된다.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범위에서 일련의 압력파가 생기고 방귀가 되는 것이다.

이때 작용하는 것이 유체역학이다.

방귀는 직장 내의 고기압과 항문으로 방귀가 빠져나가면서 만들어지는 저기압 사이의 싸움이다.

방귀가 빠져나갈 때 조임근을 조이거나 풀어주면 방귀 소리를 바꿀 수 있다.

조임근을 꽉 조일수록 방귀 소리의 음이 더 높아진다.

직장 내의 가스의 압력이 높아지고 꽉 조인 조임근과 작아진 구멍 때문에 진도이 더 빨라진다.

조임근을 너무 느슨하게 풀어 줄 경우에는 똥이 나오거나 아니면  방귀가 뚝 그쳐버릴 수도 있다.

방귀의 심리학은 방귀를 끼면 창피함을 느낀다.

방귀는 우리의 신체 기능상 반드시 필요한 자연스러운 기능인데 역겨움을 자극한다.

사회적으로 방귀는 용인되지 않는다.

창피함이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일로 인식될 경우 그 행동을 하면 자기가 사람들에게 투사하고 싶은 자기 이미지가 손상될 거라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옳고 그름을 인위적인 구조로 만든 사회를 탓할 수는 있어도 창피함은 가시지 않는다.

창피함이란 자신이 타인에게 투사하고 싶은 것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만들어낸 것이다.

창피함을 느끼는 것은 기본적으로 우리 자신을 탓해야 할 일이다.

창피함을 잘 느끼면 심신이 약해질 수 있지만 창피함을 잘 느끼지 않으면 반사회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 책을 읽고 방귀에 대한 이해가 커졌다.

하지만 저자처럼 아직도 방귀를 사랑하지는 못하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19-11-02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놬ㅋㅋㅋㅋ 방귀를뀌지 않으면 사람이 폭발한다니요 ㅠㅠㅠㅠㅠㅠ 너무 웃었네.. 조밀한 독후감 덕분에 방귀상식 많이 생겼어요ㅋ! 유용한 독서나눔 고맙습니닼ㅋㅋㅋ🤣🤣

ys로스쿨러 2019-12-29 15:02   좋아요 0 | URL
아네,,,전 댓글을 지금 보고 또 너무 웃었네요,,
유머러스하고 센스있는 댓글 재미있어요,,ㅋ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