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 - AI와 바이오 혁명이 바꾸는 노화의 미래
박상철.권순용.강시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4월
평점 :
도서 제공, 주관적 견해
노화에 관심 있어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라는 제목에 끌렸다. 인공지능, 생명공학, 재생의학, 뇌신경학 등 분야가 인간 노화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궁금했다.
노화 연구자, 정형외과의, 마케팅 및 트렌드 전문가 등 세 명이 함께 쓴 책이다. 의학적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지금 그리고 앞으로 관심 가질 만한 노화 트렌드를 모두 책에서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노화를 디자인하는 시대, 노화는 쇠퇴가 아닌 창조적 여정, 노화는 초월과 완성을 향한 여정 등 공저자가 새롭게 정의하는 노화가 흥미롭다.
총 열 개로 구분된 책이다. 인공지능과 바이오 혁신, 수명 연장, 재생의학, 뇌신경과학, 엑소스켈레톤, 노화와 장수의 경계, 나노 기술, 디지털 의식 시대, 디지털 공생 기술, 휴먼 플랫폼 혁명 순으로 각 장이 길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장마다 네 개에서 다섯 개 소제목과 함께 짧은 글이 수록되어 있어, 독자마다 관심 분야에 맞춰 독서하기 좋다.
그 중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던 장은 ‘양자 컴퓨팅으로 여는 신경 인터페이스의 세계’였다. 그간 양자 컴퓨팅과 노화 사이 관련성을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큐비트의 중첩과 얽힘 현상을 통해 인간 뇌의 복잡한 신경망을 정밀하게 모델링하여 인간 존재의 한계를 확장할 수 있다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신경 패턴 분석, 양자 기반 인공 신경망의 학습 속도 향상, 노화 매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 제공 등의 기대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어 대사 조절 기술이나 호르몬 요법 같은 생명 연장 기술에 관한 짧은 글을 통해 평소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다. 장 후반에 생명 연장 기술의 대중화 이전에 인간 삶과 인생에 대한 재정의와 윤리적 검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에 공감했다.
신기술과 노화 두 키워드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