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 보이는 25가지 트렌드 - 10년 후 세상을 읽는 기술
크리스토퍼 바넷 지음, 손진형 옮김 / 더난출판사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미래가 보이는 25가지 트렌드>는 우리에게 필요한 원초적인 자원부터 생활적 요건을 들어 과거에 걸친 현재의 소비상황과 고갈되는 '피크'시점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시작하고 있다.

이미 초반에 천연자원이 많이 고갈되고 있어 미래에는 결핍의 시대를 살아야 하겠지만 그에 맞서 신기술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견해를 인지하고서도 불안함을 금할 수 없다.

천연자원에 대한 고갈을 예상하며 대체 가능한 과학기술을 끊임없이 계발하고 있지만 새로운 기술에 따르는 새로운 자원에 대한 유한성 또한 염려스럽다.

 

미래를 대비하는 과정을 새로운 도약으로 생각하고 싶은 건 너무 대책 없는 낙관주의일지도 모르겠다.

본래 나는 뭐든 좋게 생각한다기 보다는 지금까지도 인류는 최악의 상황을 견뎌내며 그 고비를 넘길 때 마다 더욱 성숙한 문화를 발전시켜왔기에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딱히 없었다.

초등학생 때 필독도서로 지구와 환경에 관련한 도서를 접할 때면 늘 불안함에 잠을 못 이룰 정도이고 사명감에 불타 환경지킴이로 앞장 섰지만 그때뿐 당장의 안락함 속에 곧 잊곤 했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딱히 자원에 대한 부족을 느끼지 못 하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환경을 고려하여 생활하기는 해도 절박함이 없어 미래에 대한 전망이 그리 절망적 이진 않다.

오히려 상상이상으로 신기술에 대한 속도감이 확연히 느껴져 긍정적인 전망을 품고 있었을 정도.

 

다행인 것은 크리스토퍼 바넷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그저 상황을 옮겨 서로 연관관계를 맺어 우리가 판단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고 있다.

다각적으로 인류의 미래를 걱정하며 예견하고 있어 편파적인 시선이 고착화 될 우려를 벗을 수 있는 미래 전망 보고서다.

지금까지의 편리를 누리는데 아무 죄의식이 없었다면 미래의 인류에 대한 의무감으로라도 생활방식을 바꿀 필요도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확실히 과도기로서 미래를 위한 준비와 선택을 해야 할 시간이다.

어떤 방식을 택하는지도 중요한데 신기술을 도입하는 것 보다 현존하는 자원에 대한 무분별한 낭비벽은 이제 정말 끊어야 한다

또한 생활적 편차가 심한 국가간의 이해와 배려 속에서 도덕성이 빛 바래지 않고 경제보다 중요한 무엇에 대한 인식이 우선시 될 수 있는 문화로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국가와 기업이 숙지해야 할 현재와 전망에 대한 작가의 소견을 통해 개인적으로도 미래를 준비하는 태도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해당서평은 더난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