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내면을 검색하라
차드 멩 탄 지음, 권오열 옮김, 이시형 감수 / 알키 / 2012년 5월
평점 :
일시품절


구글에서 엔지니어링으로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저자는 명상에 눈을 뜬 이후 감성지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매진한다.

구글과 감성지능?

혁신적인 인상을 바탕으로 하는 구글은 IT업계에서도 변화에 적응하는 속도가 대단하기에 자칫 감성지능과는 동떨어지게 느낄 수 있다.

기계적일 것만 같은 저자의 업무에 비해 명상에 대한 그의 철학적 고찰과 수준은 상당하다.

구글의 오늘이 단순한 성실만을 바탕으로 이룬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를 푸는 과정 또한 건설적으로 마련하여 교육하고 있기에 가능한 것임이 여실히 드러난다.

 

교육수준이 높은 요즘은 일이 어려워서 못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어떤 일이든 힘들거나 스스로의 잣대와 부딪히는 부분에 부담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는 법인데 그를 피하기 보다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찍부터 알고 시행하는 게 중요하다.

구글이 지금의 위치에 설 수 있었던 것은 단기적인 성공을 바란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시각으로 보다 인도적인 경영을 통해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단순히 감성지능이 업무효율을 높여준다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창조를 위한 자세를 몸과 마음 모두에 부여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된다.

일을 행하는 데 있어 진심을 담아 추진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이라 구글의 자율적인 회사 분위기 속에서 창출되는 업무성과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경영자의 외적, 내적 건강을 두루 신경 써주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방침이 사원들로 하여금 만족과 성취도를 높이고 있다. 안팎으로 본받을 점이 구석구석 녹아있다.

 

내면에 대한 불안정함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품고 사는 고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직접 대면할 용기가 없어서, 혹은 일일이 그런 데 시간을 쓰기 벅차서 현상에만 집착하느라 내면에 대한 사색은 미뤄두는 편이다.

현상은 유지되겠지만 마음은 점점 공허하여 쓸쓸하고 심하면 우울증도 오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주로 인생의 많은 완성을 이루고 보람을 느낄 나이인 중 장년층들이 우울증을 겪는 일이 많다.

나이가 들어가는 당연한 현상이라고 생각할 일이 아니라 조금쯤 환경을 개선해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모색할 수 있겠지만 확실히 명상이 내면의 안정을 찾아주는 데 효과적이다.

 

가화만사성이라 하지 않는가?

심신의 안정이 곧 가족원들의 외부적인 활동에 뿌리가 되는 것처럼 개인의 외적인 능력개발만큼 내적인 안정이 필요하다.

혁신적이고 진취적인 인재상이 필요한 시대인 만큼 내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스스로를 바로 알고 깊은 뿌리를 기반으로 힘차게 나아가는 동력을 키워야 한다.

당장의 휴식을 위해서 시작한 명상이 평생의 추진능력의 힘이 될 것이다.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를 통해 조금씩 훈련을 거듭하여 명상을 일상화시킨다면 훨씬 개선 된 생활을 느낄 수 있다.

 

너무 바빠 스스로도 돌보지 못하는 지금이 안타깝다.

무조건 빠르게 나아가는 것 보다 제대로 걸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이 아깝더라도 잠깐 멈춰서 내면을 바라보자. 휴식도 주고 목표에 대한 시야도 환기시켜주자.

 

"해당서평은 알키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