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 - 1950년, 받지 못한 편지들
이흥환 엮음 / 삼인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쟁에

대한 목적을 떠나 전쟁 자체를 찬성할 없는 것은 본인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시류에 휩쓸리는 일반 사람들의 가슴 아픈 사연들을 이미 숱하게 보고 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에 상처 입은 것은 단순히 우리 역사가 아니라 시간을 살아간 사람들일 것인데 시간이 훌쩍 지난 지금 교과서로만 접하는 시대는 당시의 현실감을 고스란히 전해주기엔 우리의 교육시스템이 비인간적이라는 것이 안타깝다.

가끔 의식 있는 국사 선생님들은 교과서 후반을 시험범위에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하여 대충 넘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여유로움을 이용해 조별 조사와 토론으로 이끌어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하기도 한다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랄까...

내가 열린 교육 시행 세대라 가능했던 것이겠지만 여러모로 발전한 교육을 받는 지금의 아이들은 다양한 교육서적을 이용하여 공부할 있는 기회가 많아져서 그나마 다행이다.

 

물론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 역사를 공부하려는 목적보다 전쟁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눈에 이슬 맺히게 하고 가슴에 얼룩을 지우는지 각성케 한다.

저자의 목적이 어땠든 한국전쟁은 이미 역사가 되어버린 지금 일반 사람들에게 사건에 사람들이 있었음을 느끼게 하고 혹시라도 편지의 수취인이나 발신인 혹은 그들의 지인이나 자손들이 보고 당시 상황에 대한 추억을 줄기라도 잡을 있게 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서문에서 밝혔듯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각기 목소리를 내는 하다는 표현이 적절할 만큼 편지들이 서로 대화하는 듯도 하다.

 

현재 평소에 자주 쓰는 단어와 문체가 아니기에 처음엔 러시아문학의 주인공 이름을 읽듯 생경했으나 어느 정도 익숙해지니 문자를 읽는다는 기분이 아니라 음성을 듣는 하였다.

편지 자체를 스캔 하여 필체와 보관상태를 알아볼 있게 하여 사진에서 육성의 생동감을 전하고는 있으나 워낙 들쑥날쑥 하고 알아보기 힘든 한문도 섞인데다 틀린 글자도 있어서 편지만으로는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다.

대신  사진마다 저자가 독서를 돕기 위해 편지의 본문을 읽기 쉽도록 텍스트로 정리하고 편지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고 있어 한결 매끄럽게 읽을 있어 독자를 위한 편리를 고려한 씀씀이가 고맙다.

내가 받은 감동을 간직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 통해 미처 수신되지 못한 편지들이 수신자를 만날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요새 북한과의 흉흉한 분위기에 남의 나라 같은 적대감이 심해지는 상황이 어쩔 없지만 아직도 살아계신 이산가족들을 보면 이런 순간마다 분들이 얼마나 울먹울먹해질지 염려된다.

실제로 편지에서 보여지는 가족들은 지금 어떻게 지낼까?, 만나러 간다는 사람은 수신인을 만날 수는 있었을까?

전해지지 못한 편지라 이후의 일들이 궁금해 진다.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 통해 62년의 공백을 뛰어넘는 연이 닿기를 간절히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