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런시 워 - 아직 끝나지 않은 통화 전쟁
제임스 리카즈 지음, 신승미 옮김 / 더난출판사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얼었다가 녹았다가 반복하는 것이 경제의 섭리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최근의 계속되는 악재에 재테크를 하는데 있어 그 선택의 순간에 자꾸 주저하게 된다.

이제는 바닥인가 싶다가도 더 저점을 향해 떨어질 때의 아득함을 겪게 되면 회복기를 예상하면서도 섣불리 판단하는 듯한 기분에 적절한 타이밍을 놓치고 후회하기가 한두 번이 아니다.

이게 모두 재테크엔 관심이 있으되 성실히 공부하기 보다는 요행의 순간을 바라면서 투자심리를 떨치지 못하는 성격 탓이기에 최근 집에서 쉬는 동안 경제공부를 하겠다고 결심했다.

재테크를 떠나서 경제의 기본을 꼼꼼히 다지지 못했기 때문에 통화에 대한 개념과 세계경제의 구조나 관계를 포괄적으로 알아보고 싶었던 차에 <커런시워>는 아직도 경제부문에 걸음마도 못 뗀 나에게 어려울 듯 했지만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을 제외하고는 스토리 형식을 빌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인 내가 보더라도 편안하게 읽을 수 있었다.

하지만 완전 문외한이라면 용어들 자체가 생소해서 읽는데 속도감이 많이 떨어질 것이다.

원래의 저자가 주석을 안 달았더라도 한국의 출판사에서 주석을 달아주는 편이 더 나을 듯 싶다. 아무리 우리나라 독자들이 경제분야에 관심이 높아졌다지만 말 그대로 재테크에 집중되어 있을 뿐 경제 자체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사람은 전문분야의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하긴 그렇다면 어차피 <커런시워>도 전문가들을 위해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효율적이니 용어들에 대한 설명이 불필요하긴 하겠다.

 

통화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 미국의 정책적인 부분을 이해하려면 그 사회적 배경까지 이해해야 하는데 그 동안 경제를 위해 공부해온 것이 미국경제의 영향을 받는 우리사회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동시에 경제만큼 정치적 요소가 이기적일 정도로 무섭게 녹아있는 분야도 없다는 생각에 차라리 모르쇠로 눈감고 안일하게 살고 싶을 정도로 개인의 무력함을 뼈저리게 느꼈다.

하지만 위험에 노출 되어 있을수록 눈을 감고 자포자기 하기 보다는 눈을 뜨고 그 위험을 주시하라는 그 동안 수많은 독서의 가르침을 받들어 괴롭더라도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져본다.

 

세상에 그동안 정치는 행정적으로만 생각해왔던 그 순진함이 바보스럽게 느껴질 정도다.

정치는 과학이며 심리학이다.

당연한 얘길 뭘 또 하는가 싶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체험하는 정치적인 관계를 넘어 경제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정치적 관계는 온갖 방향에서 상호충돌하는 과정 중에 있다.

큰 조직에 휘둘릴 수 밖에 없는 무기력한 입장이라 그저 안타까운 마음으로 관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좌절하기도 하지만 아주 작은 틈으로 그 광활한 위험을 오히려 기회의 장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벤처기업만큼 적합한 경우도 없다고 생각한다.

자국의 협소한 경제시장에 부대껴 답답해하지 말고 다소의 위험부담을 안고 한번쯤은 도전하여 세계 경제의 틈을 찾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정부에서도 그런 케이스를 발굴하고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시작했으면 좋겠지만 이 보다 세금이 더 늘어난다면 도저히 허리가 휘어서 힘드니 그건 고민 좀 해보고.;;

 

권모, 술수가 팽배한 정치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는 항상 재미있다.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한 그 스토리도 당연 재미있지만 이제는 점점 경제를 무대로 한 스토리가 주는 생동감과 재미가 그 이상이 되어 버렸다.

생물보다 더 생명력 넘치는 경제의 흐름과 그 중심에 있는 조직과 연장선상에 있는 사람들을 보는 건 씁쓸한 현실을 배우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동시에 기회를 찾는 동기를 부여받는 순간이라 생각한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만 경제를 공부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캠페인의 성격을 벗고 생활이 되어버린 글로벌 시대에서 본인의 단순한 생활을 넘어 국가의 이익과 존엄성을 위해 세계경제를 살펴 그 상관관계에 눈을 떠야 한다.

꼭 부정적이고 불리한 입장으로서만 현시점을 받아들일 필요도 없다.

사실 지금과 같은 위기의 상황은 주체가 되어 움직일 수 없는 입장에겐 어쩌면 기회의 순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경제활동과 그 수익구조에 관심이 많아진 만큼 세계 속에서 한국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회의 순간을 포착하는 경우가 많아지길 기대 해 본다.

 

"해당서평은 더난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