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거짓말쟁이들 - 누가 왜 어떻게 거짓말을 하는가
이언 레슬리 지음, 김옥진 옮김 / 북로드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오늘 하루 한 번도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당신은 거짓말쟁이다!"

라는 저자의 외침을 듣고 고개를 저을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스스로도 내가 오늘 무슨 얘기들을 했는지 어떤 행동을 했는지 다 기억할 수 없지만 분명 위선되는 행동이나 말을 했음을 의심할 수가 없다. 

나도 모르는 무의식이 끼쳤을 나의 언행에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의적으로 스스로를 기만하기도 하지만 무의식 중에 이뤄진 자기기만이야말로 파악하기도, 의심하기도 어려운 법이기에 그렇다.

 

심리를 간파하고 의도대로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연구의 주제들 중에 동기나 뇌의 영역에 대한 단어선택이 주로 제목을 이뤘다면 <타고난 거짓말쟁이들>은 흥미유발부터 남다르다.
거짓말의 도덕적인 문제는 둘째치고 그와 연관되는 행동관계에 대한 연구가 흥미로우며 인류의 역사에 기인하는 그 역할을 살펴보는 재미가 있다.

 

사람이라서 사람이기 때문에 타고난 거짓말쟁이의 기질에 대해 그저 부정적인 인식으로만 바라보고 타파하려해선 안되고 그렇게 타파되어지지도 않는다.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을 수 있지만 절대로 없앨 수 없는 필요악의 순간도 있는만큼 거짓말에 대해서 진지하게 접근하여 계기나 행동관계에 대해 살펴야 하는 것이다.

꽤 재밌는 연구주제로 흥미로움을 느껴 읽었지만 읽으면 읽을 수록 흥미 이상으로 현대의 위선이 만연한 사회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태도를 가르치고 있다.

 

저자는 <타고난 거짓말쟁이들>을 통해 거짓말이 나쁘다거나 하는 그런 논리적인 문제를 뛰어넘어 사회와의 관계와 인간행동에 초첨을 맞춰 현실적으로 풀어냈다.

상대의 말이나 몸짓, 눈빛을 통해 위선을 간파하게 하고 자기기만에 빠진 사람들을 각성시킨다.

또한 우리가 가장 추구해야 할 정직하기 위한 태도를 갖추기 위해서도 본인의 착각이나 자기기만에 빠질 위험에 대한 경고를 담아 성숙하고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행동하기를 촉구한다.

 

절대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힘든 요소이지만 하얀거짓말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간의 행동요소에 있어서 필요되어지는 거짓말도 있다.

협상이나 속임수 등 상대에게 불리한 상황을 만드는 거짓말도 있지만 플라시보효과나 기대효과에 기인한 교육법 등 인류의 역사에 발전을 가져오게 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또 문화의 차이에 따라서 거짓말이 가지는 성격적 차이에 대한 내용도 꽤 흥미롭다.

아이들이 거짓말을 하게되는 순간과 그 성장과정 중 일부인 행동양상에 대한 저자의 안내로 부모님들은 아이들 교육에 좀 더 차원높은 관심과 사랑을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아이가 없는 나는 그저 재미있게 읽었을 뿐이지만 아이가 있다면 자녀교육에 있어 앞으로도 두고두고 관찰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좋을 책이다.

 

단지 거짓말에 대한 역사를 나열하고 그를 간파하기 위한 스킬을 전수하기 위한 책이 아니다.

원래 남을 간파하기 보다 본인도 무의식 중에 행하는 행동에 대해 인지하고 반성하기가 더 어려운 만큼 말미에서 저자는 스스로에 대한 확신에 대해 의심하고 되짚어 볼 필요에 대해 말한다.

저자는 <타고난 거짓말쟁이들>을 통해 떼려야 뗄 수 없는 그 관계를 인지하고 좀 더 소통가능하고 건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하여 개개인의 행동을 돌아볼 수 있게 하고 있다.

 

과연 얼마만큼의 정직함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확실히 당장 오전이 채 지나지 못한 지금한 거짓말을 헤아려보는 것도 참 어렵다.

좀 더 성숙한 사람이라면 상대의 어려움을 감추려는 거짓말을 간파하는 배려를 위한 거짓말을 할 수 있을텐데 아주 적지만 그런 사람들이 있기에 지금의 살풍경한 사회가 이나마 돌아가지 싶다.

정말 인간은 타고난 거짓말쟁이다. 라고 발뺌하기에 앞서 그럼에도 최대한의 말을 아껴 보자.

남을 관찰하며 비난하는 순간이야 재밌지만 스스로를 반추하기란 어렵고 괴로운 만큼 그 습관을 들이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계속된다면 본인 인성의 성숙과 사회의 윤택함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무리를 이루기에 그 생활 내에서 온갖 거짓말들이 난무한다.

함께하기에 거짓말을 하고 거짓말로 인해 그 관계가 깨지기도 한다.

인간이든 동물이든 그 어떤 생명체도 혼자서는 살 수 없는 만큼 사회 속에서 함께 살기 위해 거짓말을 파악하는 눈과 상대에 대한 배려의 마음을 잊지 말아야겠다.

 

"해당서평은 웅진지식하우스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