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예언, 천부경
한정 지음 / 호의사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천부경의 표지만 보고는 왠 종교책이 아닌가 싶을 정도의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예언서라는 사실에 흥미를 느껴 읽으려했던 생각을 잠시 멈칫하게 했던 표지와 띠지였기 때문;

토속신앙의 느낌이 강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학문적으로 다뤄지고 있어 읽을 수록 나도 진지하게 접하게 되긴했지만 지금까지와는 너무 다른 관점의 내용이기에 좀 거북한반면 새롭고 호기심이 인다.

 

나는 기본적으로 카톨릭신자이기에 사실 토테미즘이나 샤머니즘적 역사서적을 읽을 때면 민족주의적 성향에 자연히 관심을 갖게되는 토속신앙을 생각하면 죄책감이랄까 혼란스러움을 느끼곤 했다.

이번에도 그 마음을 지울수는 없었지만 역사적인 사료들을 보여주므로 혼란스럽기보다는 호기심이 일고 기존에 알던 인물들에 대한 얘기조차 새롭게 들렸다.

 

총 81개의 문자로 단촐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그 존재감은 긴 역사에 걸쳐 증명되고 있는데, 최초이자 최후를 담은 예언이기 때문인지 통일신라 말기의 학자로만 인식하고 있는 최치원은 심혈을 기울여 천부경을 해독하고 그 의미를 후대에 전하며 후에 재등장 할 것임을 예언했다.

그가 말한 천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과연 예언처럼 현현할 수 있을까?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해도 동시대에 그의 환생을 접할 수 있을까하는 기대까지 생겨버렸다.

 

국사시간에 숱하게 들었다고는 해도 한 위인의 생애에 대해 집중하기는 따로 위인전을 읽지않는 이상 힘든데 <최후의 예언, 천부경>에서는 처음부터 천부경의 저자인 최치원에 대해 이해시키는 것 부터 시작한다.

학자로서의 역량에 대해 훌륭하다는 것은 알지만 그 이상 알지 못했는데 그의 성품이나 성향에 대해 길지는 않지만 천부경이 탄생할 수 있었고 미래의 자세에 대한 그의 경향에 대해 알 수 있기 위한 필요한 구성이다.

 

그 예언이 이뤄졌을 긍정적효과는 당연한 개인적 국가적 소망이지만 그 문제해결의 열쇠가 되는 인물에 대한 호기심만으로도 충분히 기대가 생긴다. 인물평전을 보면 꼭 그 상대에 대한 지나친 호기심으로 직접대면에 대한 욕구가 심한 편인데 비현실적인 줄 알면서도 그의 예언이 정말 이뤄졌으면하는 마음이 강한건 어쩔 수 없나보다.

 

당연한 말이지만 문제해결을 위한 우리들의 노력으로는 사랑과 용서를 들고있다.

이 부분을 보니 기도를하고 헌금을 하는 우리들은 대체 얼마나 말씀을 행하고 있는 것인지 다시한번 자문하게 되었다.

더불어 마음수련하는 부분에선 관심가지던 명상에 대한 팁이랄까?

명상이라는 것이 그저 가만히 앉아 생각하는게 아닌 깊이 빠질 수 있기위한 기술적인 구체적 내용을 담고 있어 실용적이다.

명상으로 자아를 탐구하며 마음의 안정을 찾아 잘못만을 따지는 것이 아닌 용서와 화해를 배우고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현명함을 찾을 수 있다면 문제될게 없을텐데...

'명'이란 딱히 누군가를 지칭하는게 아닌 우리 모두라고 생각한다.

실질적인 명이 현현한다해도 결국은 우리들의 안에 '명'이 있는 것이 아닐까?

 

(이 서평은 호의사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