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지그래
교고쿠 나쓰히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일본인은 정말 추리물을 좋아하는구나 싶을정도로 다양한 방식의 추리물이 있지만 <죽지그래>는 단순한 추리물의 영역을 넘은 사회파 소설로 본심에 대한 철학을 담고있어 적은 부피의 짧은 독서시간에 비해해 긴긴 사색을 하게 된다.

차례로 등장하는 아사미의 주변인물들을 통하여 인간 내면에 충돌하고 있는 욕망에 미치지 못하는 삶에 대한 불만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모두 현재의 삶에 만족못하는 지옥같은 상황이 자기 탓이 아닌 남의 탓이다.

그렇게 힘들다힘들다 말은 하면서, 행복하지도 않으면서 죽고싶지는 않다.

단순하지만 결정적인 말 한마디에 삶에 대한 미련을 보여준다.

정말 삶에 대한 후회만 막급이라면, 이 보다 세상이 자신에게 잔인할 수 없다면 그대로 인생을 끝내면 만사오케이일텐데 겐야가 막상 죽으라고하면 어째서 그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을 정도로 본인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 본 적도 없기 때문에 결단을 내리긴 커녕 멍해진다.

그제서야 본인의 마음에 자리한 목소리를 듣기시작하는 것이다.

'뭐 이런 놈이 다 있어?'라는 마음과 '나의 진심'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는 그들과 우리들.

 

아사마의 주변을 훑어가며 그녀가 살아있을 때는 느끼지 못했던 호기심들이 더 새록새록 샘 솟아났다.

그녀는 사건의 중심에 있지만 주변인물들과의 대화에 필요한 요소라는 소설의 설정은 설정이상으로 그녀의 존재적 가치의 나약함을 보여줘 실제로 아사미가 행복해했다는 겐야의 말이 그녀의 죽음의 이유를 더 수긍할 수 없게 했다.

들으면 들을 수록 그녀에 대한 얘기가 듣고 싶은데 제대로 그녀를 들려주는 사람없이 지 얘기만 한다.

 

대화만으로 아사미를 탐색 해 가는 과정에서 차례로 보여지는 다른 입장, 관계의 인물들을 통해 나 자신이 얼마나 찌질한 사고방식으로 핑계거리들을 삼아왔는지 비춰져서 괴로웠다.

괴롭고 힘들지만 솔직한 겐야의 영향인지 솔직하게 인정하고 제대로 듣고 보려고 노력하는 마음을 먹게 된다.

 

스스로를 낮추는 것도 아니고 그저 '주제'애 대한 자각이 확실한 자칭 찌질한 겐야는 아사미에 대해 궁금해서 그 주변인물들을 돌아다녔다지만 그보다 아사미 주변인물들과의 관계에서 그녀에 대한 곡해를 풀어주고 싶었던 것 같다.

드라마틱한 인생행로를 겪은 아사미이기에 남들보다 염세적인 사고방식이 더 뿌리깊을 수도 있었을 그녀이지만 행복을 인지함에 있어서의 단순명료한 가치관을 보여줌으로서 기존에 없었던(있을 동기도 없었고) 연대의식이 생겼던 것은 아닐까?

그녀를 죽였다기 보다는 그 결정에 순순히 따를 정도로 현상만을 직시하는 스스로를 보았는지도 모른다.

 

나 역시 아사미와 겐야의 관계, 아사미와 주변인물들, 겐야 모두에게서 나를 보며 섬뜩함과 안도, 연민을 느낀다.

타인의 생각을 알 수야 없지만 이색적인 구성 안에서 공감을 주는 교코쿠 나츠히코는 확실히 사회적으로 영향력있는 작가일 수 밖에 없다. <죽지그래>가 단순한 추리소설로만 분류되기 아깝고 철학적으로서 영향력있는 까닭은 타인에게 작가의 생각을 주입시키는 것이 아닌 독자 본인의 생각을 내적으로 함께 토론하는 시간을 길게 갖게하기 때문일 것이다.

 

행복의 순간을 박제한다는 생각은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함을 느끼는 사람으로서 당연한 결정일지 모르지만 역시 죽는 것은 싫다. 난 동물이든 곤충이든 박제 자체가 싫어! 박제와 동시에 끝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행복이 여기서 끝일지는 모르지만 최소한 그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방식을 택하겠다.

일단은 늘 주어진 순간을 제대로 소비하는게 중요하니까 지금을 즐기도록 한다면 크게 노력할 일은 생기지 않을텐데.

이런말 할 것도 없이 난 나쁜일이 생겨도 다 그 상황의 필연적인 성격을 인지하기 때문에 슬픔도 크게 불행이라 생각지 않는다.

이미 즐기며 살고 있지만 <죽지그래>를 통해 좀 더 지금을 즐기는 차원을 넘어 나의 '관계자'들의 상황을 배려해야겠다는 마음이 이번 독서에서 내가 성장한 부분인 듯 싶다.

 

시간이 흐를 수록 <죽지그래>에서 가지는 겐야의 존재적 당위성에 대해 생각할 수 밖에 없으니 예상은 하며 읽어나가지만 막상 갈등의 구조도 없이 추리소설이 목표로하는 요소가 충족됐을 때는 김이 샐 정도였다. 

그래도 등장인물들과의 대화내용의 패턴에서 암시를 느끼며 예상한 결과로 충족되었으니 좀 위안을 삼아볼까...;

 

추리물 매니아들에겐 미약한 강도라 성에차지 않겠지만 추리소설에 비해 사회파소설에 더 관심많은 나이기에 추리물임에도 추리소설로서의 역할보다는 전반적으로 사회파, 혹은 철학적인 의도가 더 많이 반영되어있어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러운 독서였다.

 

그리고 역자후기에 딸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보여주는 모성애에 나도 엄마가 보여준 사랑들이 생각나 추리소설을 읽고도 포근한 마음이 든다. 권남희번역가가 번역한 책은 그래서 늘 역자후기가 어딨나 찾아보게 되는 것 같다.

만족도 정도가 번역가의 역량에 좌우되는 해외도서는 늘 번역가의 이름을 더 중요시 여기는데 실제로 그분의 책은 읽기에 편안하여 표지만보고도 완성도를 의심하지 않았지만 역시나 재밌게 잘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