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마지막 교과서 - 30대에 배우지 않으면 후회하는 세 가지 성공 법칙
후지하라 가즈히로 지음, 황선종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늘 미래를 대비한다고 하지만 당장 오늘 일도 귀찮아 내일로 미뤄버리는 하루하루를 살아가는데 익숙해져있다.

이제 20대도 끝나가고 30대로 가려하는 시점에서 뭔가 이대로는 안된다는 경고음이!

마침맞게 <인생의 마지막 교과서>를 보고 왠지 위안과 함께 의욕이 되살아났다면 과장일까?

 

30대를 바라보는 나이라면 대비해야할 성공을 위한 지침서라는 뉘앙스를 마구 풍기는 표지에 역시나 성취에 대한 도서인가 싶었으나 지금까지의 자기계발서에서 만연했던 '성공'과는 차이가 있어 다른 자기계발서보다 더 깊이를 주고 있다.

실제로 사회적으로 너무 '성공'을 부추긴 나머지 '자아'라던가 '사회의식'을 형식상 곁들였을 뿐이지 너무 소홀하게 여긴 것이 아닌가 싶어 일반적인 자기계발서를 읽으면 늘 강박적인 느낌에 불편했었기에, <인생의 마지막 교과서>역시 그런 내용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부루퉁한 표정으로 펼쳤으나 기대 이상으로 성숙한 사회에 대한 대비, 인품과 자아에 대한 바른 길을 찾기 위해 안내하고 있어 감동스러웠다.

 

<인생의 마지막 교과서>에선 30대의 사회인이 갖춰야 할 업무적 스킬이나 노후대비에 대한 재테크 수단을 일러주진 않는다.(당연한 것이겠지만;;) 사회적 지위와 편리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사람'에...바로 '나' 스스로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그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끊임없이 환기시켜준다.

성장을 해야하는 때 이기에 성숙을 위한 준비보다 성장에 목표를 맞추느라 제대로 목표를 잡지 못하고 흔들리는 지금의 우리에게 필요한 조언이 아닐까?

 

저자의 말처럼 이제 사회는 성숙기에 들어가고 있는데 늘 우리는 한템포 느리게 적응하여 대중매체의 선동으로 일괄적인 변화의 삶을 살고있다. 행복이라는 것도 결국 사회적 구도에서 결정되는 목표에 따라 설정되었었다는 생각을 하니 순간 섬뜩하고 스스로가 얼마나 무기력하게 느껴졌는지 모르겠다.

그만큼 사회가 정해주는 인생의 '사회적 성공과 행복 프로세스'에 생각하는 힘을 단념하고 살았다는 반증일 것이다.

하지만 일찍이 전공분야에서의 업무에 건강을 한번 잃고 정신을 차린 나에게는 사회적 성공만을 부추김에 따라가느라 바쁜 일반적 청년의 역할을 못하는 것 같아 늘 불안하고 시민의식이 부족한건 아닌지 자책하던 나에게 많은 위안을 줬다.

 

사실 교육에 있어서는 늘 앞선문화를 받아들이려 노력하고 실제로 시행하고 있지만 사회적으로는 큰 변화를 선뜻 받아들이지 못한다. 어른들이 운영하기에 시행에 비해 느리게 적용되는 교육문화는 그래도 유연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덕분에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빠르게 발전해나가지만 어른들의 사회에 새로운 숨을 불어넣기에는 경직된 문화이기에 어려운 탓이다.

 

'열린교육'을 받으며 자란 세대이지만 닫힌 사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하려니 여러가지로 맞지않아 부딪히는 경우가 많았다. 차라리 생각하는 힘이 없는 상황의 교육문화 속에서 성장했더라면 좋았을껄 스스로 늘 고민하고 답을 찾느라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수정해나가는 행보가 착실한 조직문화에 반하는 느낌에 낙오된 느낌이 들 때도 있었지만 그때마다 스스로 세운 '인생의 행복'에 대한 자긍심으로 '독서'를 지속하며, '사회적 역할' 이외의 '가족구성원'과 '인간적'인 역할에 충실하게 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스스로를 다독여왔다.

독서하는 와중에도 늘 '사회적 성취'를 강조하는 자기계발서들을 보면 사기가 꺾이는게 사실이었는데, '성공'과 '사회적 의무' 외에 진짜 사람의 '행복'이 중요하다 동조해주는 책을 만나 어찌나 기뻤는지 모른다.

 

물론 조직문화가 틀렸다는 것이 아니다. 조직문화에서 탈피해야한다는 것도 아니다.

인간은 조직문화를 이루며 조화를 이룰 줄도 알아야 하니까.

다만 저자는 조직문화 자체가 인간의 도덕적 의무와 누려야할 행복에 대한 권리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닌

사회성장의 발판으로 이뤄져 왜곡되게 고착된 작금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것이다.

 

우리가 이루고있는 조직문화의 단점들을 잘 추려서 개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성숙한 사회로 갈 수 있는 개인들의 행복을 위한 준비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성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성숙'한 한결 고차원적인 인간상에 대한 책이다.

막연히 사회적 지위의 성취를 위한 조언을 구하는 사람이라면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없겠지만, 높은 인품과 깊이있는 인생에 대한 고찰을 해왔던 사람이라면 정답을 구할 수는 없어도 위안과 함께 조언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이나 우리나 빠른 경제적, 사회적 성장을 거치면서 놀라운 성과는 거두었지만 그 사이에서 오는 괴리가 그만큼 크기에 많은 사회적 부작용을 낳아 해마다 이슈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이제 그 부작용들을 딛고 성숙사회로 발돋움하려는 일본의 움직임을 보니, 시기는 좀 늦더라도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가는 조직문화를 이루는 우리나라이기에 좋은 선례를 만들어줄 것을 기대하며 응원을 보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