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소설 쓰기 - 하루 1시간 원고지 3매로 제2의 인생을 꿈꿔라!
한만수 지음 / 한스앤리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아무리 책을 읽는 횟수가 점점 적어진다고해도 '그런 부류의 사람들'은 여전히 책을 손에서 놓지 않고 있다.

책에 파뭍혀 살고 싶은 그 사람들은 점점 짧아지는 근무일 수에 축복을 받듯이 남는 시간을 온전히 독서에 전념하고 있는데 본인이 다독을 하는 만큼 '써보고 싶은' 욕망이 점점 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래서인지 <마법의 소설 쓰기>와 같은 입문서들이 앞다퉈 출간되고 있는데 훌륭한 조언도 스스로 받아들이는 실행력이 부족하면 결국 도루묵이다.

 

<마법의 소설 쓰기>는 작가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전공의 유무를 떠나 쉽게 글을 쓰는데 접근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본 입문서적이다. 워낙에 작가를 지망하는 사람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는 요즘 입문서적들이 속속 출간되고 있던데 그런 종류의 서적들과 크게 차이는 없어보이지만 과연 어떤 마법을 부려주는 걸까?

 

많은 이들의 작품 집필에 대한 욕구가 상당한 만큼 작가를 지망하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등단하기는 어렵고 겁나기 때문에 작법에 대한 입문서들을 들춰 보지만 작정하고 글을 써보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본인도 어린 시절부터 소설과 에세이를 써보는데 대한 욕심이 있었지만 '보통의' 사춘기 소녀의 일반적 문학적 욕심이라 단정하고 쉽게 그 꿈을 접었었는데 이상하게 다른 전공으로 열정을 불태웠어도 여전히 '쓰기'에 대한 욕심은 사그라지질 않았던 탓에 많은 소설을 읽게 되었고 몇번 작문에 관련한 책을 읽었으나 그런 교과서적인 책들은 끝까지 읽게되진 않았다.

작법에 있어 옳고 도움이 되는 말들이 적혀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너무 빤한 내용이다보니 와닿지 않았던 때문이었다.

 

<마법의 소설 쓰기>는 그렇게 이론적으로 구구절절 지루하게 나열하는 방법은 버렸다.

작가는 일단 나같은 '보통의' 사람들에게 일단 '써보라'고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는데 이론적인 부분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론만 가득하고 써보지 않으면 결국 개념이 있으나 없으나 결과는 똑같을 뿐이다.

결과의 차이를 보려면 역시 써봐야겠지.

하지만 어떻게 쓰냐고 가슴이 아우성치는 와중에 <마법의 소설 쓰기>에서 사소한 에세이를 소설로 변모시키며 늘 시작만하고 끝을 보지 못했던 나에게 마무리를 위한 훈련과정을 보여준다.

 

나 뿐만이 아니라 많은 이들에게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나 다양한 아이디어와 독특한 소재들을 구상은 하지만 정작 스토리 진행이 한계를 넘지 못해 마무리되지 못하고 늘 미완성인 작품들이 수두룩 할 것이기 때문이다.

운동선수들이 훈련으로 늘 근력을 다져두듯이 작가를 지망한다면 이렇게 작문을 위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해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문득 들어 얇은 책인데다 많은 내용을 수록하고 있지는 않지만 '쓰기'위한 확실한 도구가 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종이에 쓰던 타이핑을 하던 상관없이 <마법의 소설 쓰기>를 읽어가면서 손가락 관절들이 근질거릴 것이다.

읽어가면서 쓰고 읽고 나면서도 '나도 쓸 수 있겠다'는 작은 실천력을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마법같이 대단한 표현력을 길러주길 바란다면 어쩔 수 없이 실망하겠지만 나처럼 의지가 빈약하여 늘 시작은 쉬운데 뒷심이 약하고 그 탓에 제대로 한편을 구성해 본 적이 없어 스토리를 짜 본적이 없는 '보통의'사람에게는 꼭 한번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