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숲이라는 의미는 안자이 미즈마루 씨의 숲으로 미즈마루의 밤의 세계를 말하고 있다. 미즈마루 씨의 화려한 밤의 세계를 하루키가 이렇게 에둘러 표현을 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에세이에는 미즈마루 씨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나는 이 에세이를 잃어버렸는데 곰곰이 생각을 해봐도 잃어버릴 리가 없는데 책이 사라진 것이다. 지금까지 그저 잃어버렸군, 다리도 없는데 도망을 가버리다니 하며 치부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매일 일상을 기록을 하기 때문에 책 제목을 검색을 했더니 몇 해 전에 후배에게 빌려 주었다.


책을 절대 빌려주지 않는데 하루키 에세이를 읽어보고 싶다는 후배에게 튕기다가 어쩔 수 없이 빌려줬는데 나에게 돌려주지 않고 그냥저냥 시간이 흘러가 버렸다. 연락을 해서 야 이 녀석아! 하며 책에 대해서 이야기를 라니 후배 놈이 잃어버렸다는 것이다. 맙소사. 그러게 빌려주지 않으려 했는데.

  

녀석은 며칠 전에 이 책을 구입해서 나에게 미안하다며 주었다. 어떻든 이 에세이도 이전의 하루키 에세이에서 소개되었던 이야기를 이것저것 다시 리메이크한 버전이다. 오늘 이전에는 하루키 에세이의 강점인 큭큭 웃으며 읽었지만 오늘 다시 보니 지금의 사회상과 맞물려 조금 생각을 하게 되는 이야기도 있었다.


요즘은 교권이 무너져 학교가 엉망진창이 된 곳이 많다. 학부모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갑질로 인해 자살을 선택하는 선생님들이 많아졌고, 신상이 알려졌음에도 변명과 억울하다는 생각 없는 가해자들의 입장에 연일 울화통이 터질 것만 같다.


그에 비해 에세이에 소개된 체벌에 대하여는 그 반대로 선생님에게 부당하게 맞은 하루키의 이야기다. 뭔가 잘못으로 인해 맞았다기보다는 그날그날 선생님의 기분에 따라 맞았다거나 매 맞는 분위기에 휩쓸려 중학생 시절에 하루키는 많이 맞았다고 했다. 선생님은 손바닥으로 뺨을 때리거나 뭔가를 머리를 때리거나 했다고 한다.


선생님한테 매를 맞는 건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고 한다. 내가 고등학교 때에도 아이들은 선생님들에게 시도 때도 없이 맞았다. 맞아도 아이처럼 시간이 지나면 헤헤하며 잊곤 했다. 사실 몽둥이로 열심히 맞는 건 아이들이 잘 참고 뭐 그럴 수 있지 같은 분위기였는데 신문지를 돌돌 말아서 뺨을 때린다거나, 우산이나 드럼채로 머리를 때리면 기분이 몹시 나빴다.


시간이 흘렀다. 요즘은 몇 대 때리고 맞고 하는 분위기는 사라졌다. 만약 내 아이가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느껴지면 형사고발이 들어간다. 생계가 위협받고 생존이 어렵게 되어 버렸다. 한쪽이 법정에서 이긴다고 하더라도 슬픈 현실이 되어 버렸다. 행복한 공간에 점점 불행한 장소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건 어떻게 봐도 슬프고 또 슬픈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