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러복을 입은 연필에 대한 이야기도 에세이에 나오지만 참으로 제목이 하루키답다. 세일러복은 세라복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와이 슌지 영화 ‘하나와 엘리스’에서도 오랜만에 만난 아빠와 밥을 먹는 장면에서 아빠가 아리스에게 교복은 세라복을 입는 거냐, 같은 대사를 한다. 그때 아리스가 야라시,라고 흥 하는 듯한 대사와 표정을 한다.


영화 ‘하나와 엘리스’는 성장영화인데 나는 그만 빠져버려서 한 서른 번은 봤을 것이다. 그때 사람들은 나를 보며 저 미친놈이 또 저 영화를 보고 앉아 있네.라고 했다. 그러나 나는 본격적인 하나와 엘리스 마니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때 이 영화에 빠져있던 마니아들이 하나와 엘리스 영화 촬영지를 돌며 블로그질을 했었다.


이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으려나? 이 영화는 원래 짤막한 티브이 광고 용으로 제작되었다. 이와이 슌지가 인터넷으로 독자들(이와이 슌지가 소설가이기도 하니까 – 립반 윙클의 신부 소설책도 재미있다, 물론 나는 영화 버전이 훨씬 좋았지만)에게 키켓(초콜릿) 광고의 시나리오 공모를 한 것이 시초였다.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하나 버전의 이야기가 먼저 공모가 되어서 광고로 만들어졌고, 이와이 슌지 감독이 여기서 끝내기에는 너무 아까운 이야기라 아리스(엘리스)가와 데츠코의 버전을 만든 것이 하나와 엘리스가 되었지 싶다.


영화 속에서도 이 키켓을 먹는 장면의 오디션이 나온다. 이 키켓이라는 초콜릿도 그 세계를 들여다보면 덕질의 세계다. 일본에는 일본에만 판매하는 수많은 종류의 키켓이 존재한다. 크렌베리 키켓, 산딸기 키켓 등. 아무튼 사람들은 덕질하기를 좋아하고 같은 마니아끼리 서로 피터 찌리릿 같은 것이 있다.


이와이 슌지는 아톰의 아부지 데츠카 오사무를 너무 좋아해서 ‘하나와 엘리스’ 곳곳에 데츠카 오사무의 향기를 숨겨 놓았다. 아톰이 영화 속에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와이 슌지를 좋아한 봉준호가 영화 ‘옥자’에서 ‘하나와 엘리스’의 그 장면을 오마주 했다. 옥자의 목소리를 배우 이정은이 했다는 건 다 알고 있는데 영화 옥자에서 내가 가장 압권으로 보는 장면은 서울의 지하도 장면이다. 옥자가 도망을 가는 장면인데, 그 짧은 장면 속에 지하도에서 생활하는, 또 오고 가는 우리 모습이 아주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어서 놀랐다. 거기서 이정은이 1초 정도 휠체어를 탄 모습이 보인다.

세일러복을 입은 연필에 대한 이야기도 에세이에 나오지만 참으로 제목이 하루키답다. 세일러복은 세라복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와이 슌지 영화 ‘하나와 엘리스’에서도 오랜만에 만난 아빠와 밥을 먹는 장면에서 아빠가 아리스에게 교복은 세라복을 입는 거냐, 같은 대사를 한다. 그때 아리스가 야라시,라고 흥 하는 듯한 대사와 표정을 한다.


영화 ‘하나와 엘리스’는 성장영화인데 나는 그만 빠져버려서 한 서른 번은 봤을 것이다. 그때 사람들은 나를 보며 저 미친놈이 또 저 영화를 보고 앉아 있네.라고 했다. 그러나 나는 본격적인 하나와 엘리스 마니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때 이 영화에 빠져있던 마니아들이 하나와 엘리스 영화 촬영지를 돌며 블로그질을 했었다.


이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으려나? 이 영화는 원래 짤막한 티브이 광고 용으로 제작되었다. 이와이 슌지가 인터넷으로 독자들(이와이 슌지가 소설가이기도 하니까 – 립반 윙클의 신부 소설책도 재미있다, 물론 나는 영화 버전이 훨씬 좋았지만)에게 키켓(초콜릿) 광고의 시나리오 공모를 한 것이 시초였다.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하나 버전의 이야기가 먼저 공모가 되어서 광고로 만들어졌고, 이와이 슌지 감독이 여기서 끝내기에는 너무 아까운 이야기라 아리스(엘리스)가와 데츠코의 버전을 만든 것이 하나와 엘리스가 되었지 싶다.


영화 속에서도 이 키켓을 먹는 장면의 오디션이 나온다. 이 키켓이라는 초콜릿도 그 세계를 들여다보면 덕질의 세계다. 일본에는 일본에만 판매하는 수많은 종류의 키켓이 존재한다. 크렌베리 키켓, 산딸기 키켓 등. 아무튼 사람들은 덕질하기를 좋아하고 같은 마니아끼리 서로 피터 찌리릿 같은 것이 있다.


이와이 슌지는 아톰의 아부지 데츠카 오사무를 너무 좋아해서 ‘하나와 엘리스’ 곳곳에 데츠카 오사무의 향기를 숨겨 놓았다. 아톰이 영화 속에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와이 슌지를 좋아한 봉준호가 영화 ‘옥자’에서 ‘하나와 엘리스’의 그 장면을 오마주 했다. 옥자의 목소리를 배우 이정은이 했다는 건 다 알고 있는데 영화 옥자에서 내가 가장 압권으로 보는 장면은 서울의 지하도 장면이다. 옥자가 도망을 가는 장면인데, 그 짧은 장면 속에 지하도에서 생활하는, 또 오고 가는 우리 모습이 아주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어서 놀랐다. 거기서 이정은이 1초 정도 휠체어를 탄 모습이 보인다.

영화 ‘하나와 엘리스’가 나오고 10년인가 흘러서 애니메이션으로 하나 버전인 ‘하나와 엘리스: 살인사건’이 나왔다. 그 이야기도 재미있다. 어쩌면 아리스 버전보다 더 재미있다. 왜냐하면 하나와 엘리스에서는 왜 이렇게 꽃으로 가득한 집에 하나가 사는지, 하나는 왜 저러는지 같은 궁금증이 있는데 그런 이야기가 풀어헤쳐진다.


이와이 슌지 영화는 대체로 몇 번씩 보게 되는데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서 마지막 콘서트 장면에서 수많은 인파가 콘서트 광장 앞에 서 있는데 전부, 모두, 몽땅 대사를 주었다고 한다. 엑스트라인데 전부 다른 대사를 주고 누가 카메라에 잡힐지 모르니까 열심히 해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렇게 촘촘하고 꼼꼼하게 연출을 한다.


여하튼 하루키는 에세이에서 세일러복을 입은 연필이라는 말을 들은 후에 머리에서 그 모습이 떠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보다 혈기가 왕성 할 때니까 사람들 모르게 안자이 미즈마루 씨에게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 이미지를 그려 달라고 하지 않았을까.


이 에세이에 ‘간사이 지방 사투리에 대하여’라는 챕터가 있다.


[나는 언어는 공기와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느 지역이나 그곳만의 공기가 있고 그 공기에 맞는 언어가 있어, 웬만해서는 그것을 거역할 수 없다. 먼저 악센트가 바뀌고, 그다음으로 어휘가 바뀐다. 이 순서가 반대가 되면 언어를 쉽사리 마스터할 수 없다. 어휘란 이성적인 것이고 악센트는 감성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 챕터에 나오는 말이다. 사투리는 일본도 그렇지만 우리나라도 그 지역에 맞는 공기가 있다. 서울에 갔다가 고향으로 오면 그런 공기를 확 느낀다. 그 안에는 어휘보다는 악센트가 더 도드라지기 때문에 일종의 사투리만의 공기를 느낄 수 있다. 이성적인 어휘는 감성적인 악센트 뒤에 따라오기 때문이다.


내가 사는 곳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바닷가 지역이라 당연하지만 사람들이 사투리를 쓴다. 예전에 도로에서 자동차에게 치일 뻔했던 아저씨가 운전자를 향해 “눈까리 주 뽑아 뿌까, 운전을 그 따구로 하노!" 살벌했다.


그 정도로 사투리가 충만한 도시인데 근래에는 사투리를 예전만큼 들을 수 없다. 사투리의 공기가 달라졌다. 사투리이긴 하지만 사투리 속의 악센트와 어휘 속으로 표준어에 가까운 언어가 많이 틈입했다.


날 때부터 스마트기기를 달고 태어난 세대들이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sns로 사람들과 소통을 하기 때문에 그 속에서 사투리보다는 표준어를 훨씬 많이 접한다. 그래서 어린이에서 갓 졸업한, 그렇다고 아직 청소년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한 중학교 1학년 정도의 여자애들이 하는 대화를 들어보면 억양이 뭔가 표준어에 닿으려 하지만 표준어에는 턱없이 부족하고, 그렇다고 사투리스럽지도 않은 기묘한 말투를 쓴다.  


이 지역 사투리만의 악센트와 어휘이긴 하나, 악센트가 약해졌고 어휘에서도 그 형태가 둥글둥글하게 되었다. 분명 학생들이 사투리를 쓴다. 하지만 단단한 사투리의 공기가 옅어졌다. 그것이 옳은 일인지 그렇지 못한 일인지 나는 알지 못한다. 사투리는 영상을 통해 재미 또는 무서움의 표현 방식으로 많이 비치기 때문에 사투리가 가지는 단단함은 사투리를 쓰는 사람끼리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제 20여 년 전 영화 친구에서처럼, 지방이라고 해서 학교에서 [샘요, 제가 그랬습니더. 지가 반장인데예. 알았심더] 같은 사투리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그런 것을 보면 사투리의 공기는 시간과 함께 달라지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