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하루키를 우국원과 호크니스럽게 그려보기.


삽입한 글자가 뭉개져서 삽화보다는 그림처럼 보이는 어이없는 마술.

두 번째 그림은 호크니의 초기작을 따라 그렸다. 말 그대로 그림 제목이 헬프다.


지금의 호크니로 자리 잡기까지는 엄청난 의식의 방해로부터 이기기 위해 무참히도 싸우고 깨지고 했을 것이다.


그건 우국원도 마찬가지지 않았을까. 우국원의 그림을 봤을 때 호크니가 떠올랐고 하루키를 그렇게 한 번 그려보고 싶었다.


하루키, 호크니, 우국원의 세계에 있으면 잔나비의 외딴섬 로맨틱에서처럼


캄캄한 밤이 오더군

이대로 이대로

더 길 잃어도 난 좋아


정말 길 따위 잃고 한 없이 헤매고 싶어 진다.

시디 왕국의 역습 편 하루키 그리기


태엽 감는 새 3권을 읽다가 책 사이에 꽂아둔 책갈피의 모서리가 햇빛을 받아 면도날처럼 반짝거렸다.


고개를 들어 보니 아 좋은 계절이구나. 생각이 들었다. 오카다 도루(주인공)는 끝내 크레타 섬에 가지 않았다. 가방도 구입하고 여권 사진도 찍었지만 오카다 도루는 결국 남기로 했다.


도망가지 않고 부딪히기로 했다고 생각한다. 주인공의 생활에 균열이 가게 한 것들에 대해서 마주하기로 했다.


계절이 흐른다. 나무가 또 한 겹의 옷을 갈아입는다. 나무는 아무도 모르게 옷을 갈아입는다.


한 겹 또 한 겹, 인간은 나무의 옷 갈아입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 나무는 그 자리에 서서 도망가지 않고 계절의 바람을 정면으로 맞으며 옷을 갈아입는다.


이렇게 또 한 계절이 흐른다. 흐르는 것이 어디 사람뿐이더냐,라고 하던 정태춘과 박은옥의 ‘92년 장마, 종로에서‘에서 흘러 흘러 지금까지 왔다.


태엽 감는 새의 오카다 도루도 정면으로 삶을 대하며 흐를 것이다. 어떤 식으로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