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하이스트리트 - 명동, 홍대, 강남, 성수, 한남, 도산 대한민국 6대 상권의 비밀
김성순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모든 브랜드가 온라인에 전략과 열을 올리는 이유는 오프라인을 위해서이다. 인간은 오프라인에 살기 때문이다. 본 책은 그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하이스트리트는 상권의 중심지라고 보면 된다. 또 다른 말로는 '제일의 번화가'라고 책에서 소개한다. 그리고 하이스트리트에서 더 나아가 메가 하이스트리트도 있는데 짐작 가는 거리가 여기에 해당한다.

상권은 사실 예측이 불가능하다. 팬데믹 이후에 달라진 리테일의 모습을 글쓴이는 책에 반영하여 소비의 방향과 트렌드를 보여준다. 자신만의 언어로 8장에 키워드로 나눠서 하이스트리트의 두 축을 보여주고 상업적 부동산과 브랜드, 유통채널의 특징으로 경쟁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생각하게 해준다.


책을 보니 사람처럼 상권도 태어나고 노쇠하고 저물어져 가는 과정을 거친다. 상권의 노쇠는 완전히 완성된 상태라 평당 임대료 최고치의 브랜드로 명품 브랜드가 입점하는 모습을 지닌다. 그러나 상권도 모두 노년을 맞이하지는 못하고, 완전히 성숙된 최종 단계를 가지 못하는 브랜드가 대다수다. 거리를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해서 이해가 쉽다. 상권은 매우 오래 걸리는 성장기가 있는데 그렇지 않은 동네를 또 예로 들어준다. 지금 폭발적 성과가 있으나 앞날은 아직 미지수다. 결과에 가봐야 과연 어떤 하이스트리트로 기억될지 알게 된다. 하이스트리트를 각각 분석하고 고객과 공간을 파악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거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예측하게 한다. 그리고 서울 상권의 개성이 의미하는 바와 한때 거대한 위치에 있었지만 갑자기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한 브랜드의 이면을 통해 상권 정체성의 주요 지점을 확인하며 '명동, 홍대, 강남, 성수, 한남, 도산 대한민국 6대 상권의 비밀'을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