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문제나 윤리적 문제는 실제로 집단 내지 공동체의 문제다. 기독교는 철저하고 정확하게 따라야 하는 원칙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시도다-그리고 분열되지 않고 서로 간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 P149

이방인과 유대인의 관계, 율법과 약속, 칭의와 진노에 관한 바울의 생각들은 이런 이유들로 초대 교회 전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적 인물이었다. 베드로후서는 이를 다음과 같이 부드럽게 표현했다: "우리 바울 형제님은 이해하기 좀 어려운 사람이다" (벧후 3:15이하). 바울은 존경을 받았지만 관심의 영역 밖으로 밀려난 인물이었다. 그는 사역자들 중에서 보편적이라기보다는 독특한 지적인 인물이었다. - P156

이 책에서 내가 주장한 바는 이러하다. 본문을 해석할 때, 후대의 해석들을 재해석하지 말고 원문 자체(the original)를 해석해야 한다는말이다. 실제 기독교 역사에서는 원문 자체를 가지고 씨름하는것이 아니라 유력한 해석에 대한 연쇄적 반응과 논쟁들만 있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바울 해석은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을 통해 성장하며 완성되었고, 중세신학자들은 특정 주제만을 파고들면서 다른 주제에 관심을 두지 않았으며, 이런 과정이 계속되면서 원문과는 거리가 먼 반박과 논박이 끊임없이 생겨났다. -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린도후서 4:10에서 바울은 우리(즉, 바울)가 항상 "그리스도의 죽음을 몸에 짊어지고 있다"라고 이야기한다. 이는 바울이 짊어지고 있는 죽음의 과정에 대한 표현일 뿐이다—그리고 이것은 바울과 고통당하는 그리스도를 하나 되게 한다. 나는 지금 이 구절을-겸손한 유비로서-우리에게 적용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 언어의 구체성과 실제성을 느끼기 원한다면 먼저 이를 바울에게 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 P1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랍비전통에서 하나님의 의로움은 일부 사람들을 구속하고 일부 사람들을 정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의 마음속을 구분 짓는선(line)으로 묘사된다. 한 인간 안에 충돌하는 두 개의 충동, 즉선한 충동(‘예쩨르 토브‘, yetser tob)과 악한 충동(‘예쩨르 하라‘, yetser ha-rá)이 있다. 개인 안에 두 가지 충돌하는 충동 혹은 경향이 있다는 사고는 상당히 복잡한 발전사를 가지고 있다. 모든 사람이 구원받을 것이라든지, 또는 일부는 구원받고 나머지는 구원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소 피상적 이해이다. 두 가지 충동을 구분 짓는 경계선은 각 개인의 마음 안에 있다고 보는 것이 성숙한 가르침이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을 최초로 전파하고 가르친 사람들은 그와 같은 높은 수준의 신학 교육을 받지 못했다. 쿰란의 에세세파와 마찬가지로 원시 기독교에서도 공동체와 공동체의 지도자에게 충성하는 이들이 바로 구원을 받을 사람이라는 인식을 볼 수 있다. - P94

그러므로 이신칭의 교리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그교리는 피조물을 위한 하나님의 총체적 계획의 일부인 "바울의 이방인 선교"라는 더 넓은 맥락 아래 위치해야 한다. 또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칭의에 관한 바울의 생각은 일차적으로 개인의 영혼과 양심의 내적 갈등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다원적이며 찢겨진 세상 속의 분열과 정체성 문제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바울의 시선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인류와 피조세계 전체의 다양성, 그리고 일치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 P1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양한 요인들이 분명이 추세에 영향을 주겠지만, 현재까지 다른 모든 요인 중에서 두드러지고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은 정치적 언동의 분열적인 속성이다. 바로 이 요인 때문에전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혐오는 거리와 온라인에서 번창하도록 허용되고 있으며, 상당수의 사람들은 유독 근래에 그런 언동에 무방비로 휘둘려왔다. - P88

범주화 그리고 내집단 선호라는 이 자동적인 과정은 우리가 세계를 누비는 데 도움을 준다. 누구를 피하고 누구와 어울릴지 알려주는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그래서 정체성의 어떤 측면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과 관련이 있을지 모르지만, 다른 측면들은 소속 집단에서 벗어나거나 심지어 상충하기도 한다. 심지어 외집단 구성원이 내집단의 특성을 공유할지도 모른다. 바로 이럴 때 뇌의 자동적 과정은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우리 모두에게 공통적인 이 심리학적 메커니즘들-범주화그리고 우리와 비슷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우리와 비슷한 사람들을 자동적으로 선호하기 -은 우리가 대처하지 않는다면 편견과 혐오의 전조가 될 수 있다. - P1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울 읽기를 엇나가게 만드는 주된 원인은 우리 서양인에게만연한 "자기반성적 사고" 경향이다. - P62

‘바울 이후 삼백 년 이상 지나고 난 뒤에야 아우구스티누스가 바울신학의 중핵을 "칭의"라고 보았고, 우리에게 익숙한 바울의 이미지를 부상시켰다. 이렇게 이상한 상황이 벌어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초기 교회는 바울이 실제 역설한 내용을 유대인과 이방인의 관계라고 본 것 같다. 초기 교회는 수세기 동안이러한 관점에 아무런 문제를 느끼지 않았다. - P65

바울의 이신칭의 교리가 등장하게 된 신학적 배경은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관계에 대한 고심에서 찾을 수 있다. - P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