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천문이란 바로 때(時)를 알기 위한 학문이다. 하늘의 별자리를 보면 하늘의 시간표를 알 수 있고, 하늘의 시간표를
알면 인간의 시간표를 알 수 있다는 게 천문연구의 목적이다. 시간표를 알면 언제 베팅할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즉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자기 인생이
지금 몇 시에 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한자문자권의 역대 천재들이 고안한 방법이 사주명리학이다. 사주명리학이란
천문(天文)을 인문(人文)으로 전환한 것이다. 하늘의 문학을 인간의 문학으로, 하늘의 비밀을 인간의 길흉화복으로 해석한 것이 이 분야다.
(34)
전해오는 바에 따르면 로마의 영웅 카이사르(시저)가 제왕절개를 해서 태어난 인물이라고 한다. 그는 제왕절개의 원조에
해당한다. ‘제왕(帝王)’이라는 단어가 붙은 이유도 제왕인 카이사르가 절개를 해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35)
왜 별이 인간의 운명을 결정짓는다는 말인가? 운명과 별은 도대체 어떤
관계가 있단 말인가 하는 것은 수천 년 동안 인류사의 대천재들이 도전했던 문제다. 성경을 보면 동방박사가
별들의 위치를 보고 예수 탄생을 짐작했다고 나와 있지 않은가!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다. 인간은 지구에서 태어났다. 당연히 지구의 영향을 받는다. 지구는 태양계에서 태어났다고 보자. 태양계의 움직임에 따라 그 영향을
받는다. 태양계 역시 은하계에서 왔다. 은하계의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인간은 전 우주의 영향을 받고 있는 셈이다.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고, 태양계도 역시 은하계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
은하계도 또한 어딘가 더 큰 은하계를 중심으로 해서 돌고 있다. 시시각각 별의 위치가 바뀐다.
(62)
사주를 보려면 생년월일시를 만세력에서 찾아 십간 십이지의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이지만, 관상은 상대방의 얼굴을 한눈에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주에 비해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필자는 관상을 돈오(頓悟, 한순간의 깨달음)에 비유하고 사주는 점수(漸修, 점진적으로 닦음)에 비유하곤 한다.
(87)
사주라는 하는 것은 생년월일시만 잘 타고나면 왕도 될 수 있고 장상도 될 수 있다는 신념체재다. 반대로 아무리 지체 높은 집안의 자식이라 해도 사주가 좋지 않으면 별 볼일 없다고 믿는다. 사주가 좋으면 신분이 비천해도 기회가 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혁명사상이 들어 있고, 그것이 타고나면서 결정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결정론이자 운명론이 내포되어 있다.
모순되어 보이는 양면이 미묘하게 배합되어 있는 셈이다. 한쪽에는 치열한 현실타파 노선이
마련되어 있는 한편, 다른 한쪽에는 운명에의 순응이 놓여 있다.
(217)
상응의 원리란 시간(天文), 공간(地理), 존재(人事)라는 각기 다른 세 차원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원리다. 그 좋은
예가 카오스(Chaos)이론이다. 현대물리학에서 말하는 카오스
이론이란 북경 상공에서의 나비 날갯짓으로 인한 파장이 캘리포니아 상공에 가서는 폭풍우로 변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카오스 이론은 혼돈 현상의 이면에 특정한 질소(cosmos)가 작동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345)
우선 <주역>은
음양에서 출발해 사상(四象), 사상에서 팔괘, 팔괘에서 육십사괘로 뻗어나가는 방식이다. 이를 수(數)로 표시하면 그 뻗어나가는 방식이 명료하게 드러난다. 즉 2(음양)-4(사상)-8(팔괘)-64(육십사괘)의
방식이다. 반면에 사주명리학은 숫자로 표현하기에는 부적합이다. 육십갑자
모두를 음양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오행으로 곱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첨가되는 부분이 생년월일시라는 네 기둥이다. 그래서 사주 보기가 훨씬 복잡하다. <주역>으로 어떤 사람의 점을 쳐볼 때는 ‘지금 당장(now and here)’만 필요하지만, 사주로 볼 때는 그 사람의 년, 월, 일, 시가 모두 필요하다.
(408)
역술가는 책으로 공부해서 팔자를 보는 사람이고, 무속인은 신내림으로
즉 접신(接神)이 돼 어느 날 팔자를 보는 능력이 갑자기 생긴 사람을 일컫는다. 역술에 관한 책도 다양하고 어렵다. <명리정종>, <적천수>, <궁통보감>, <서자평> 등등의 고전을 섭렵해야 한다.
(417)
공자도 오십에 천명을 제대로 알기는 어려웠다고 본다. 그만큼 자신의
운명을 알기는 어렵다. 운명이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면 미리 알아본들 어떤 효과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 희랍의 철학자 세네카가 한 말이 있다. “운명에 저항하면 끌려가고, 운명에 순응하면 업혀간다.” 어차피 가기는 가는 것인데 끌려가느냐, 아니면 등에 업혀서 가느냐의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이를 뒤집어보면 운명을 미리 알면 강제로 질질 끌려가느냐, 등에 업혀서 가느냐의 선택은 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끌려가는
것보다는 업혀가는 게 훨씬 낫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