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을 처음 듣는 당신에게
박종호 지음 / 풍월당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가 예전에 재미있게 읽은 풍월당 박종호 님의 클래식 관련된 책들이 있단다. 그래서 박종호 님의 책을 인터넷 서점에서 보게 되면 반갑고 그렇단다. 이 책도 그렇게 인터넷 서점에서 알게 된 책이란다. 책 제목은 <클래식을 처음 듣는 당신에게> 란 책이란다. 책 제목만 보면 예전에 쓰신 책과 살짝 중복되는 느낌도 있어 보였어. 그래도 오랜만에 박종호 님의 책이라는 생각이 펼쳐 들었단다. 아빠가 너무 기대를 해서 그런가? 예전의 박종호 님의 책을 읽을 때의 그런 재미는 없었단다. 책 분량도 적은데, 그 분량을 채우기 위해서인지 글이 약간 늘어지는 기분도 들었단다.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일반적인 지은이 생각과 경험을 이야기하셨어. 지은이 박종호 님의 남다른 클래식 사랑은 그 전에도 알았지만 이번 책에서는 절절함마저 느껴졌단다. 중학교 때부터 집에 오면 클래식 음반을 듣기 시작해서, 75장 전집을 다 듣고, 고등학교 때에는 용돈을 모아 LP를 직접 사 모으셨다고 하더구나. 아빠의 중딩, 고딩 때와는 전혀 다른 취미 생활을 하셨구나. 그런데, 책 내용이 그리 새로운 것은 많지 않아 조금 아쉬웠단다. 클래식을 좋아하거나 전공한 다른 사람들이 전해주는 책이나 블로그 등에서 접할 수 있는 내용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1.

클래식이라는 음악은 왠지 모를 장벽이 있는 것 같구나. 클래식 작곡가가 많고, 많은 곡들이 있지만, 클래식이라는 것은 1700년부터 1950년까지 약 250년 동안 집중되어 있다고 하는구나.

========================

(59)

그것은 클래식의 특성이기도 합니다. 앞에서 클래식 음악이라고 부르는 것은 1700년에서 1950년 사이의 250년에 집중되어 있다고 했지요. 1950년 이후의 음악은 일반적인 콘서트의 레퍼토리에서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물론 그 이후의 음악들만 연주하는 음악회도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연구나 학술활동 혹은 특정 예술가를 위한 기념이거나 특정 청중을 대상으로 한 활동인 경우가 더 많고 관객 일반을 위한 공연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 클래식의 범위를 너무 좁게 잡은 건 아닌가 싶었단다. 그런 기간뿐만 아니라, 영화나 드라마에 삽입된 클래식 음악도 더 이상 클래식이 아니고, 쇼 프로에서 나온 성악가가 부른 노래도 클래식이 아니라고 하더구나. 클래식을 어려워하지만 클래식을 접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귀에 익숙한 클래식부터 쉽게 접하면서 흥미를 생기면 좀더 깊고 넓게 영역을 넓혀가야 한다고 아빠의 생각과 좀 다르구나. 지은이가 그렇게 이야기하는 의도는 알겠지만 가뜩이나 클래식 진입 장벽이 있는데, 이것도 클래식이 아니다, 저것도 클래식이 아니다... 하는 것은 너무 클래식의 정의를 좁게 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

(68-67)

그러니 클래식 음악을 차용한 영화음악이나 TV 드라마의 배경음악으로 아무리 클래식이 나와도 그것을 클래식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것입니다. 축하 행사장이나 결혼식 피로연에서 샴페인을 터뜨리며 웃음꽃을 피우는 동안에 저만치 뒤에서 존재감 없이 울려 나오는 <사랑의 인사>는 더 이상 클래식이 아닌 것입니다. 쇼 프로에서 테너가 핏대를 세우며 <공주는 잠 못 이루고>의 고음을 성공시킨다 하더라도, 그것은 클래식의 정신과 하등의 상관이 없는 일입니다. 그 성악가에게 일말의 박수를 보낸다면, 그것은 공중제비 넘기에 성공한 곡예사에게 보내는 박수와 같은 등급의 의미입니다. 베토벤은 청중들로부터 그러한 박수를 받기를 거부했습니다. 그가 연주 대신 작곡에 더 집중하려고 했던 뜻이 여기 있습니다.

========================

이 책은 제목처럼 클래식을 처음 듣는 이에게 조언을 해주는 듯한 책이긴 한데, 너무 적극적인 방법으로 시작하도록 가이드를 주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시간을 투자하고, 다른 것 하지 말고 오롯이 클래식만 집중해서 들어야 하고, 적극적으로 들어야 한다고 하시니 말이다. , 오히려 클래식 진입 장벽이 높다는 것만 다시 새삼 깨닫게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 아빠는 지금까지 클래식을 들어왔던 것처럼 좋아하는 클래식 듣고, 어떨 때는 온전히 들을 때도 있지만, 가볍게 책을 읽으면서도 듣고 차를 마시면서도 듣고 그러려고 한다.

너희들도 엄마의 영향으로 클래식을 즐겨 듣곤 하는데, 너희들만의 방식으로 클래식을 듣고 보길 바란다. 아빠가 생각하기에 클래식을 듣는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는 것 같구나.


PS:

책의 첫 문장: 적지 않은 분들이 클래식 음악을 듣고 싶어 하고, 알고 싶어 합니다.

책의 끝 문장: 그들을 만나게 될 여러분에게 정말 축하를 보냅니다.


그런 클래스에서 ‘클래식’이라는 말이 나와서 쓰이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클래식은 어떠한 분야에서 최상위의 가치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클래식이란 말은 "가치가 불변하고 영구적이며,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고 품위가 있으며, 절제되고 모범적인"이라는 뜻을 내포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음악이나 문학이나 저술에서의 그런 것들을 일러 클래식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죠. 즉 클래식이라는 말에는 각 분야에서 가장 높은 자리의 것이며, 최상의 걸작이며, 영구불변의 가치를 가진 것이라는 뜻이 모두 들어 있습니다.
- P52

처음에는 귀족을 중심으로 성행했지만, 고전음악은 1800년을 전후하여, 음악 소비의 새로운 중심계층이 되었던 시민계층의 성원을 받게 되고, 점점 모든 계층을 아우르고 통합하는 기능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상징이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의 4악장 <환희의 송가>라고 할 것입니다. 교향곡 역사상 최초로 가사를 붙일 수밖에 없었을 만큼 베토벤과 실러가 전하려는 뜻은 위대했습니다. 그 가사를 유념해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요약하자면 "신 앞에서 만인은 평등하다. 그러니 차별 없이 모든 인류가 손잡고 환희의 노래를 부르자"라는 뜻입니다. 지금도 우리 사회에서 이르지 못한 고매한 이상입니다. - P64

음악은 다릅니다. 윤동주나 채만식은 활자를 통하여 나와 바로 연결되고, 비록 복사본으로 감상하여도 피카소나 이중섭의 그림은 나와 바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음악이라는 장르의 특징은 여기서 두드러지게 다릅니다. 즉 창작자와 감상자인 나 사이에는 재현이라는 과정, 즉 연주자가 있는 것입니다. 한 단계가 더 있는 것입니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