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국
엠마뉘엘 카레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가 아주 오래 전에 읽은 책 중에 <콧수염>이라는 책이 있어. 재미있게 읽었고, 아직도 줄거리가 생각이 난단다. 그런데 지은이는 누구인지 생각이 안 났어. 그랬다가 최근에 SNS에서 어떤 프랑스 작가의 이름을 봤는데, 번뜻 생각이 나더구나. 그래, 십여 년 전에 아빠가 재미있게 봤던 <콧수염>을 쓴 작가야신기하더구나. 지은이 이름을 새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텍스트로 써 있는 그 이름을 보니, 바로 이 사람이었어이렇게 생각나다니 말이야. 그래서 그 SNS에서 소개된 책을 주문했단다. 너무나 반가운 마음에 말이야무슨 내용인지도 보지도 않고, 별표가 4개 반이나 되고, 표지도 예쁘고, 열린책들 출판사이고두께도 굵진한 것이 마음에 들고

그리고 이번에 읽었단다. 그 지은이 이름이 뭐냐고? 엠마뉘엘 카레르라는 사람이야. 아빠도 그 사람의 이력을 이번에서야 좀 자세히 읽어보았단다. 상당히 재능이 있는 사람이더구나.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 시나리오도 쓰고, 비평도 쓴다고 하는구나. 글재주가 뛰어난 사람인가 보구나. 나중에 그의 다른 작품들도 읽어봐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

.

1.

이번에 읽은 <왕국>이라는 책은 기대를 잔뜩 하고 들었는데, 솔직히 말해서 읽기는 쉽지 않은 책이었단다. 초기 기독교에 관한 이야기인데, 기독교와 거리를 두고 살아 온 아빠로서는, 배경 지식이 적다 보니, 읽는 것이 쉽지 않았단다. 더욱이 이 책을 읽는 시기에 회사 일이 아주 복잡해서, 퇴근도 늦었고, 집중하기 쉽지 않은 시기였거든

르포 형식을 띤 독특한 소설이었어. 본격적인 이야기에 들어가기 전에 지은이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100페이지 넘게 하는데, 이게 소설 맞나 싶었단다. 르포 형식이라고 하니 그런가 보다 했단다. 자신이 우울증에 한동안 빠져 심리치료를 받는 이야기부터 보모를 잘못 고용해서 된통 고생했던 이야기까지 약간은 시시콜콜한 이야기까지 모두 담고 있었어. 지은이가 자신이 쓴 다른 책들에 대한 이야기들도 실었어. 우울증이 심해서 3년 동안 글을 전혀 쓰지 못한 시기도 있었고, 친구의 조언으로 전기를 쓰게 되었는데, 그가 어렸을 때부터 좋아한 필립 K 딕의 전기를 썼대. 필립 K 딕은 유명한 SF 작가로 우리집에도 그의 전집이 있어서 그런지 엠마뉘엘 카레르가 쓴 필립 K 딕의 전기를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 엠마누엘 카레르 스스로 그 책이 성공하지 못했다고 해서 조금 마음이 수그러들었고,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는 출간이 안 되었더구나.

지은이 엠마뉘엘 카레르는 이십여 년 전에 아주 믿음이 깊은 기독교 신자였었대. 그때 성경 공부도 열심히 하고, <요한 복음서>에 대하 평론을 매일 썼는데, 그때 노트가 무려 20여권이나 되었다고 하는구나. 이후 기독교를 떠나 있기도 했다는데, 기독교 탄생에 대한 글을 쓰리고 마음을 먹고, 20여 년 전에 썼던 글들도 다시 찾아보고 그랬대.

2.

지은이가 본격적인 이야기를 하려는 것어떻게 예수의 삶이 알려졌고, 기독교가 널리 퍼졌냐는 것그것을 알아가기 위해 그가 선택한 인물은 루카라는 사람이야. 기독교에서는 이 사람이 얼마나 유명한 사람인지 모르겠지만, 아빠는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단다. 루카는 예수의 생애를 정리한 <루카복음서>와 사울 바오로의 이야기를 적은 <사도행전>이라는 책을 썼어. 그리스인 의사였던 루카가 어떻게 예수의 삶과 바오로의 이야기를 썼을까. 지은이 카레르에게는 그것부터가 풀어야 할 숙제였어.

여러 추측이 있지만, 루카가 어떻게든 바오로를 만났고, 그를 통해서 예수에 관해서 들었을 것이라고 예상했어. 첫번째 가설. 우연히 회당에 갔다가 설교하는 바오로는 만났다. 두번째 가설. 루카가 의사였으니까 의사와 환자로 만났다가 바오로부터 예수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럼 어떤 이야기를 들었을까? 지은이는 또 추측을 하는 거야. 예수는 그리스도이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지만, 사흘 후에 부활했다그리고 열두 명의 벗을 비롯하여 사람들 앞에 나타났다는 이야기를 듣고, 루카가 관심을 갖게 되었을 거라고 했어. 그리고 바오로에 관한 이야기도 전해 듣는 거지.

바오로는 이스라엘 사람으로 원래 이교도였다는 거지. 심지어 예수의 신흥 종교를 박해하던 사람이었다는 것후에 눈이 멀게 되고, 그분의 목소리를 듣고 다시 눈을 되찾고.. 그 이후에는 그전과 전혀 다른 사람이 되어, 예수의 뜻을 따르는 사람이 되었다는 것이야.

이렇게 루카는 바오로를 만난 이후에는 바오로와 함께 하며, 예수를 알게 되고, 바오로를 알게 된 거야. 그리고 기독교도들이 어떤 박해를 되었고, 그럼에도 어떻게 퍼져 나갔는지 써 내려간단다. 이렇게 루카의 책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어. 하지만 아주 오래 전의 이야기라서, 구멍 난 이야기들이 많이 있는데, 그런 구멍들은 지은이의 상상력과 추측으로 채워졌단다. 아빠도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기독교에 대한 상식이 부족해서, 책을 읽기가 어려웠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많았어. 그래서 줄거리는 이 정도로 마치련다.

….

지은이가 오랜 기독교의 역사를 하나의 유기체로 비유한 내용이 있었어. 그러면서 이제 기독교는 노년에 들어섰다고 했어. 노년의 모습이 다양하겠지만, 극단적으로 2가지 모습으로 이야기해보자꾸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지혜로운 노년의 모습. 또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만이 맞다고 쓸데없는 고집쟁이 꼰대 노년의 모습지은이 임마뉘엘은 기독교의 노년이 어떤 모습이라고 단정짓지 않았어. 오늘날 우리나라 교회들이 너무 많아서 단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영향력이 있는 대형교회들의 행태를 보면….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고, 지혜로운 노년의 모습이 되도록 노력해야 않나 싶구나.

===================================

(676)

기독교는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이다. 이것은 성장하면서 전혀 예상치 못했던 어떤 것이 되었는데, 이는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어떤 아이가 아무리 아름답다 한들, 그 아이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기를 바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아이로 남아있는 아이는 죽은 아이, 기껏해야 지진아일 뿐이다. 예수는 이 유기체의 유년기였고, 바오로와 초기의 교회는 반항적이고 열정적인 청소년기였다. 콘스탄티누스의 개종과 더불어 서구기독교의 긴 역사가 시작된다. 다시 말해서, 무거운 책무들과 대단한 성공들과 엄청난 권한들과 타협들과 부끄러운 과오들로 채워지는 성인(成人)의 삶과 전문적 커리어가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계몽사상과 근대성은 은퇴의 시간이 왔음을 알렸다. 이제 교회는 실무에서 물러났고, 전성기가 지났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우리가 아주 무관심한 눈으로 지켜보고 있는 그것의 노년이 과연 고약한 치매증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우리가 자신의 노년에 이르고 싶어 하는적어도 나는 그렇다그 빛나는 지혜 쪽으로 향해 가고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우리는 우리들의 삶의 차원에서 이 모든 것을 경험하고 있다.

===================================

.

PS:

책의 첫 문장: 올해 여름, 난 한 텔레비전 시리즈의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했다.

책의 끝 문장: 나는 모르겠다.


우리는 한동안 말이 없는데, 그가 불쑥 입을 열더니 어린 시절에 자기를 무척 놀라게 한 일이 하나 있었다, 자기 할머니의 앵무새가 새장을 열어 주었는데도 도망가지 않아서 정말 놀랐다고 말한다. 앵무새는 날아가니 않고 바보처럼 그냥 거기 남아 있었단다. 할머니는 그 비결을 설명해 주었다. 새장 안쪽에다 조그만 거울을 하나 놓아두면 된다는 거였다. 앵무새는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는 게 너무 좋아 거기에 홀딱 빠져든 나머지, 활짝 열린 새장 문도, 날갯짓 한 번이면 도달할 수 있는 바깥과 자유도 보지 못한다는 거였다. - P152

예수라는 인물은 우리에게 계시의 빛을 비추거나, 아니면 눈을 멀게 하거니 둘 중 하나이다. 나는 그것을 정면으로 접근하고 싶지 않다. 나중에 근원을 향해 거슬러 올라가야 할 필요가 있을지라도, 우선은 이 조사를 하류에서부터 착수하여, 바오로의 서신들과 <사도행전>을 최대한 주의 깊게 읽어 나가는 것부터 시작하고 싶다. - P160

지금까지 나는 그에 대해서는 거의 얘기를 하지 않았다. 이제야 하려 하지만 좀 겁이 나는데, 왜냐하면 요한은 제1세대 기독교도 중에서 가장 신비스러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가장 파악하기 힘들고, 가장 다양한 얼굴을 지닌 인물이었다. 그는 곧 네 번째 복음서와 묵시록을 쓴 사람으로 여겨지게 된다. 그는 곧 네 번째 복음서와 묵시록을 쓴 사람으로 여겨지게 된다. 하지만 동일한 사람이 네 번째 복음서와 묵시록을 썼다고 생각하는 것은, 20세기 프랑스 문학에 대한 모든 참고 자료가 없어진 상황에서 동일 인물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밤의 끝으로의 여행>을 썼다고 생각하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 P5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