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주림은 사람을 비참하게 만든다. 허기와 함께 다가오는 비참함은 삶에서 최소한도로 지켜야 할 자존감을 여지없이 무너뜨려 버린다. 허기를 느껴 본 자, 단 한번이라도 먹이를 찾아 헤매본 자들을 알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도시로 나왔을 때를 떠올렸다. 누구 한 사람 등 기댈 곳 없는 도시의 구석에서 혼자 일어나 밥을 먹고 일을 하고 다시 그 혼자의 공간으로 돌아가는 일은 늘 외로웠다. 먹는 일은 힘겨웠으며, 때로는 허기가 질 때도 있었다. 대문앞을 나서면 누구나 아는 사람이 사는 동네에서 살았던 나는 문을 열어도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견디기가 힘들었던 것 같다. 철저한 타인이 되는 도시, 그 한 시절을 생각하며 함순의 <굶주림>을 읽는 시간은 더디게 흘러갔다.

 먹는 일과 삶의 자존감을 지키는 일은 관련이 깊다. <굶주림>에 나오는 '나'는 굷기를 먹는 일보다 더 자주 하면서도 마지막 지켜야 할 삶의 자존감 때문에 힘겨워한다. 대팻밥을 씹거나, 정육점에서 얻어온 뼈다귀를 먹으며 구역질을 하면서도 '나'는 돈이 생기면 남을 주는 일에 인색하지 않다. 그 행위는 자선의 행위가 아니라 자신의 자존심, 결코 먹이의 포획감이 되지 않으려 하는 처절한 싸움이다.

 초를 사러 갔다가 가게 노파가 잘못 거슬러 준 돈을 빵집 노파에게 주어 버리는 행위도 도둑질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양심에 대한 행위이기보다는 그러한 현실에 놓인 자신을 견뎌내기 위해서로 보인다. 며칠을 굶어 사물이 흐리게 보이면서도 그 돈으로 빵을 사먹지 않고 궁색해 보이는 노파에게 주어 버리는 행위, 굶주림으로 몸의 감각을 잃어 가면서도 어쩌다 돈이 생겼을 때 주위의 비참한 사람이 돈을 구걸하면 주어 버리는 행위는 우리를 이해 불가능하게 한다. 허위로도 보이는 이러한 삶을 사는 '나'는 먹는 일보다 사람답게 사는 일을 우위에 놓으면서 점점 더 비참해진다. 간혹 얻어 걸리는 원고료로 삶을 지탱하기에는 도시에서의 삶이 너무 벅차다. 결국 도시의 생활, 먹이를 구해야 하는 일을 견디지 못하고 '나'는 보조선원이 되기 위해 배에 오른다.

 함순의 자전적 소설이라고 말해지는 이 소설은 우리의 근대 문학, 40년대까지 우리의 문학 작품에서 곧잘 읽어내어지던 삶의 비참함과 자존감 사이의 갈등을 보여 준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라는 물음을 필연적으로 던질 수밖에 없는 이 소설을 통해 나는 나의 삶, 우리의 삶을 세밀히 읽어 내었다. 위선과 허위의 탈을 쓰고 살지만 그 속에 감추어진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삶을 모습을 가감없이 그려낸 이 소설로 함순은 세계적인 문학가의 대열에 올랐다. 

 함순이 왜 노년에 잘못된 판단으로 나치에 협력하게 되었는지는 그 스스로에게 물어 볼 수밖에 없는 일이지만 외부와의 소식을 끊고 소설쓰기에만 몰두한 한 소설가의 현실판단능력은 형편없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상을 읽어내는데는 실패한 함순이지만 개인의 삶, 인간의 내면을 통찰하는데는 뛰어난 안목을 보여준 대가의 시선이 소설 곳곳에 녹아 있어 오랫동안 여운이 남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