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기억의 예술관 - 도시의 풍경에 스며든 10가지 기념조형물
백종옥 지음 / 반비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깊은 반성이란 어떠해야 할까. 흔히들 진심이 담긴 사과를 하지 않는다고 분노하는 사람들이 있다. 진심이 담긴 사과는 깊은 반성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역사에서의 깊은 반성이란 어떠해야 할까. 바르샤바 게토추모비에서 무릎을 꿇었던 빌리브란트의 행동은 가장 많은 유대인이 희생된 폴란드인들로 하여금 치유의 마음을 가지게 해주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거 나치의 죄악을 속죄하기 위해서 독일에서는 총리의 사과도 있었지만 사회 여기저기에 디테일한 반성과 재발방지를 위한 장치들을 해놓고 있다.

잘못된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서 베를린 시 전체에 기념조형물들을 설치하여 추모하고 반성하는 이 조형물들에는 독일인의 깊은 반성이 담겨 있다. 물론 여전히 나치즘 부활을 꿈꾸는 독일 우익들이 있지만 이들이 사회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한다. 아베의 수출 규제에 연이은 한국의 화이트리스트 제외를 지켜보면서 일본은 과거를 인정하지도 않고, 그러다보니 반성할 줄도 사과할 줄도 모르는 뻔뻔한 국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논리에 맞지 않는 주장을 하면서 경제 전쟁을 시작한 일본을 보면서 일본이 전쟁을 할 수 있는 국가였으면 전쟁도 불사할 나라라는 생각까지도 들었다. 그동안 우리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감정이 희석되어 있었고, 일본의 유화정책에 너무 쉽게 동화된 건 아닌가 하는 반성이 생긴다.

물론 과거를 빌미로 현재가 정지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역사는 진보한다고 믿는 나로서는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가 구성되고 미래가 예측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인정할 줄 모르고 반성하지 않는 일본을 우리는 너무 쉽게 용서하고 받아들인 것이 아니었는가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백종옥이 쓴 『베를린, 기억의 예술관』을 읽으면서 나는 베를린 전체가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서 기념조형물들을 설치한 독일인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나 잘못된 과거는 잊고 싶어 하고 묻어버리고 싶어 하지만 역사적으로 유래가 없었던 유대인학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고 싶어 하는 독일인들의 힘은 어디에서 나올까.

‘도시의 풍경에 스며든 10가지 기념조형물’이란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책의 제1장이 전쟁과 폭정의 희생자들을 위한 중앙 추모소인 노이에바헤이다. 유명한 케테 콜비츠의 「죽은 아들을 안은 어머니」조각상이 설치되어서 전쟁과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와 숙고를 할 수 있는 묵상의 공간이다.
2장은 마르크스, 프로이트, 브레히트, 하이네, 고리키 등의 유대인 작가들과 학자들, 그리고 나치를 비판한 비유대인의 책까지 약 2만권이 불태워진 베벨 광장에 설치된 미하 울만의 「도서관」이다. 분서의 현장 지하에 설치된 텅 빈 도서관인 이 조형물은 역시 독일인들이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해 설치했는데 그 기하학적인 공허가 주는 충격이 크다 밤이면 텅 빈 지하도서관에서 불빛이 새어나오는데 분서의 날 타올랐던 불빛을 연상케 한다.

제3장은 2711개의 추모비들과 홀로코스트와 관련된 자료가 전시된 지하 정보관으로 구성된 「학살된 유럽 유대인을 위한 추모비」이다. 유대인의 묘지를 형상화한 이 추모비는 베를린 유대인박물관과 함께 매년 50만명 이상이 다녀간다고 한다.                           

그 외에도 유대인을 아우슈비츠 등 동유럽으로 실어 날랐던 그루네발트역의 17번 선로, 베를린 전역에 있는 희생자들이 살던 집 등에 설치된 길바닥 추모석, 버스정류장인 실슈트라세 정류장의 ‘아이히만의 유대인 담당부서’ 등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기억의 공간들이 설치되어 있다. 독일인들은 그 기억의 공간들을 통해 과거를 잊지 않고 그런 역사가 재발되지 않기를 기대하며, 희생된 유대인들에게 속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인들이 그들이 지배했던 나라들에 어떤 사과를 하고 역사가 재발되지 않기 위해서 조치를 취한 것은 거의 없다. 그들은 과거의 역사를 부정하고 합리화하며 묻으려고 한다. 지금 우리가 분노하는 바탕에는 제대로 사과 받지 못한 역사, 그들이 부정하는 역사에 대한 아픔이 깔려 있다. 개인에 대한 배상은 전후 보상을 받은 한국의 책임이라고 떠넘기거나, 일본 나고야 시장이 아이치트리엔날레에 전시된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 요청하겠다고 한 것은 아직도 그들이 과거의 역사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들이 진정으로 반성한다면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 요청할 것이 아니라 그 앞에서 사죄해야 하며, 개인에 대한 배상은 한·일 양국이 협의하여 사죄하고 배상하여야 한다.

지금도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대화를 거절하는 일본에게 계속 대화를 요청해야 하고, 타협을 찾아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다. 이것을 개인적인 문제로 본다면 가난한 사람은 부자가 어떤 횡포를 저질러도 돈 때문에 굴욕적인 태도로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는 이제 가난한 나라가 아니라 세계 10대 경제대국이며, 일본의 경제제재를 우리 힘으로 이겨나갈 수 있으리라 믿는다. 1960년대에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전후 보상을 받고 차관을 도입하던 시절과는 다른 시절이다. 물론 대화는 계속되어야 하고, 타협점도 찾아가야 한다, 그러나 그 방식이 굴욕적이어서는 절대 안 된다.

 

『베를린, 기억의 예술관』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얼마나 굴욕적인 역사를 감당해 왔으며, 죄의식이 없는 일본이 얼마나 뻔뻔하고 몰염치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여전히 일본의 일부 지식인이나 일부 정치인들은 일본 우익의 행태를 비난하고 있지만 문제는 전후 일본이 단 한 번도 우리에게 공식적인 사과를 한 적이 없다는 것과 역사를 부정한다는 것이다. 적반하장이라는 대통령의 역사인식에 공감하며, 다시는 일본에 지지 않을 것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말을 지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