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감정적으로 비판했을 때, 자신에게 비판하고 싶은마음이 들기 시작했을 때, 가능하다면 마음속으로 ‘세 가지 성찰‘을 시작하기를 권한다.

하나, 누군가를 감정적으로 비판했을 때 마음 깊이 스스로를 용서하지 않겠다는 생각이나 자기혐오의 감정이 생겨나고 있음을 깨닫는다.
둘, 상대를 감정적으로 비판한 자신을 정당화하고 싶어 하는 작은 자아의 움직임을 바라본다.
세 상대의 결점이나 잘못을 더 찾아내어 자신을 정당화하려는 작은 자아의 움직임을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마음에 자기혐오와 타자불안이라는 심리 과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서는 이미 두 번째 마음습관에서 말한 바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 앞에서 누군가에 대한 혐오의 말, 감정적인 비판과 비난, 험담과 뒷말 등을 하면 마음 깊숙이에 ‘자신에 대한 혐오감(자기혐오)‘와 ‘상대에 대한 불안감(타자불안)‘이 생겨난다.

다른 사람 앞에서 어떤 인물에 대해 감정적인 비판과 비난을 했을 때 표면적으로는 순간 체증이 내려가는 듯한 기분이 든다. 하지만 마음 깊숙한 곳에서는 항상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자신이나 당사자가 없는 곳에서 비판과 비난을 한 스스로에 대한 자기혐오의 감정이 생기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은 우리의 심층의식에 작용하여 마음의 상태를 바꾸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자기암시 효과‘ 이다. 하나의 말을 계속하여 마음 깊숙이 그 말이 가진 의미나 생각을 침투시키는 심리적 과정인데, 이를 의식적이고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로 자기암시 기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대를 싫어해서 혐오의 말을 하는 게 아니다. 혐오의 말을니까 상대가 싫어지는 것이다. 상대를 좋아해서 호감의 말을 하는 게 아니다. 호감의 말을 하니까 상대가 좋아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말이 필요하다. 말은 나의 생각도 전달하지만 나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이 말의 사용법을 제대로 익히지 않으면 인간관계의 큰 벽에 부딪히게된다. 또한 말은 사람의 마음을 조종하는 기능이 있어, 말 사용법이 잘못되면 싫은 사람은 점점 더 싫어하게 되고, 말의 힘을잘 살리면 싫은 사람이라도 점점 좋아지게 된다.

왜 그런 일이 일어날까? 말에는 신기한 힘이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