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아몬드
손원평
이 책 소개를 우연히 읽고 난 다음부터 굉장히 궁금해서 빨리 읽고 싶었다.
나는 아무래도 청소년 문학상을 탄 책에 대해서 굉장히 후한 편인 것 같은데 그것은 내가 접한 청소년 문학상은 항상 재미도 있었고 무엇보다 길지 않으면서 아주 잔인하지 않으면서 희망적이고 좀 예뻤다....
이 책도 얇다. ‘손원평’..처음 듣는 작가 이름.... 나랑 비슷한 연배의 사람이었다.
표지가 이쁘다. 표정 없는 아이의 얼굴이 크게 그려져있는데... 눈에 띄고 ... 제목이 아몬드인 것도 궁금하고..
이야기 시작 전 책 첫 페이지‘알렉시티미아, 즉 감정표현 불능증...아동기 트라우마를 겪거나 선천적으로 편도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발생하는데 특히 공포를 잘 느끼지 못 한다고 하나, 후천적인 훈련으로 성장 가능하다고 보고 됨’
나는 첫 장의 소개글이 참 마음에 들었다.
-----------------------------------------------------------------------
나에겐 아몬드가 있다.
당신에게도 있다.
당신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거나
가장 저주하는 누군가도 그것을 가졌다.
아무도 그것을 느낄 수는 없다.
그저 그것이 있음을 알고 있을 뿐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 이야기는, 괴물인 내가 또 다른 괴물을 만나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그 끝이 비극일지 희극일지를 여기서 말할 생각은 없다. 첫째, 결론을 말하는 순간 모든 이야기는 시시해지기 때문이다. 비슷한 의미에서 둘째, 그렇게 해야 당신을 이 이야기에 동행시킬 가능성이 조금은 커지기 때문이다. 셋째, 그러니까 마직막으로 변명을 하자면 사실 어떤 이야기가 비극인지 희극인지는 당신도 나도 누구도, 영원히 알 수 없는 일이다.
------------------------------------------------------------------
감정을 느끼지 못 하는 아이의 이야기라기에... 사이코패스인가.. 생각했다. 아마 조금은 약간 ‘종의 기원’(정유정)...의 그 아이를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
이야기의 시작은 어머니, 할머니의 그 사고부터 시작되고, 자신의 감정 불감증의 징후를 확실히 보여준 여섯 살의 기억이 나왔다.(길을 잃고 걷다 학교폭력으로 맞아 죽어가는 아이를 보고 감정을 느끼지 못 하고 주변 수퍼아저씨에게 말을 했지만 믿어주지 않던 아저씨가 늑장 신고를 하는 바람에 아이는 죽고 만다....그러나 그 아이는 수퍼아저씨의 아들이었다...)
공포를 느끼지 않는 아이로 소문이 나고 엄마가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보니, 날 때부터 편도체가 작아 ‘알렉시티미아’로 진단 받게 된다. 한편 여대생 시절 좌판에서 물건 팔던 아빠랑 사랑에 빠져 집을 나왔으나 갑작스런 사고로 남편을 잃고 혼자 애를 낳아 키우던 엄마는 여러 힘든 부분이 많아 결국 외할머니에게 연락을 취하게 되고, 그 이후부터 엄마, 할멈, 나의 동거가 시작된다. ‘괴물’이라 부르는 할멈이었지만, 남들의 의미와는 다르게 할멈의 ‘괴물’은 사랑스러움의 표현이었다. 그때부터 남들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엄마의 특단의 교육이 시작된다. 어떤행동을 할 때 어떤 표정, 대화 등.... 우스꽝스럽기도 했지만 엄마와 할머니의 사랑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부분들이었다.
아무튼, 감정을 느끼지 못 해서 ‘괴물’이라는 소리를 듣던 선우는 중3 생일이던 크리스마스 이브에 묻지마범죄로 인해 할머니와 어머니를 잃게 되고, 혼자 남겨지게 된다. 헌책방을 운영하던 집에 살면서 새로운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고, 헌책방도 운행한다. 그러다 괴물같은 아이 곤이를 만나게 되면서 친구가 되고 타인과의 관계, 감정의 교류를 경험하게 된다.
아무튼.... 선우에게 너무나 잔인한 인생 곡절이 마음이 아팠고, 남과 다른 사람을 다르게 대하는 주변 사람들 때문에 화가 났다.
또 다른 괴물이 되어버린 ‘곤’이는 어린시절 엄마랑 나갔다 길을 잃고 다른이에게 잡혀 가서 살면서 여기저기 시설을 전전하며 자신의 약한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포악하고 폭력적인 모습으로 위장하며 살고 있는 아이였다. 다시 부모를 찾게 되었으나 괴로워 하던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도 못 본 채, 곱게 살아왔던 아버지 윤교수와 살게 되었지만, 서로를 이해 못 한 채 학교에서나 주변에서 또 다른 괴물 대접을 받게 된다.
선우와 곤이는 물론 시작이 좋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형태로 우정을 나누고 서로를 받아들여가고 선우는 그 무렵 ‘도라’라는 밝음의 상징같은 친구와도 사귀게 되면서 점점 감정 변화를 느끼고 오해와 주변 친구들의 잔인함으로 결국 학교와 집을 뛰쳐나간 곤이를 선우가 찾아가는 이야기가 나온다.
아무튼 선우는 감정을 못 느끼지만, 항상 고민을 하고 사람들을 사랑하고 바르게 살려는 의지가 강하다. 그래서 그 아이는 괴물이 아니었다. 곤이도... 너무 안 되기도 하고...
작가의 말을 읽었다.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 할 것 같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그러나 이 아이들을 보면서... 상처받고 깨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아이들이기에 변화의 가능성이 있어 많이 감사하고 그들의 성장을 지켜보며 감동도 있고 그냥 따뜻했다.
특히, 선우와 엄마, 할멈의 관계를 지켜보면서 인간에 대한 사랑이 있다면 사이코패스로 불리는 사람들도 어릴 때 정서적 교감이 있었다면 좀 다른 인간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해보고..(안 되나? 내가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면 그냥 패스~!)
암튼,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재미있으면서도 의미있는 소설이다. 이 작가의 다음 작품도 기대하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