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7 - 2부 3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7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4권 이후 자취를 감췄던 기화가 등장한다. 전주에서 기생으로 이름을 날린 기화가 서희를 찾아간다. 절색인 미모와 기품으로 뭇 남성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기생이 되었지만 서희와 함께 일 때는 영락없는 하동 꼬마아가씨다. 각자의 시간 속에서 부딪히며 인내했던 세월들을 채 풀지도 못하고 기화는 다시 서울로 향한다.
 
김두수의 밀정도 본격적으로 그려진다. 금녀와 윤이병의 과거지사를 이용하고, 송애의 약점을 잡아 이용한다. 최치수를 살해할 음모를 꾸몄던 김평산의 아들 김두수다. 살인죄인의 씨가 그대로 대물림 된 걸까? 아비의 죄로 고개를 들지 못하게 했던 환경이 그를 비겁하게 만든 걸까? 돼지상이라는 면상, 여자를 겁탈하고 약점으로 이용하는 성품, 김두수의 행적을 보고 있으면 조준구가 착하게 보일 지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두수가 그런김두수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찾는 건 왜 일까.
 
서희의 복수도 암시된다. 간도에서 사업 확장과 연애에만 관심이 있는 듯 했던 서희다. 어느 정도 안정적 궤도에 오르자 그녀는 조준구를 추적한다. 공노인을 통해서다. 7권에서는 공노인의 입놀림에 뻐끔하고 넘어간 조준구의 모습으로 끝난다. 야비할수록 처세에 강한 법. 조준구가 조용히 당하기만 할지 다음 권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한편 길상은 서희와 혼인을 하지만 헛헛해한다. 평범한 지아비가 되지 못할 바에, 서희와의 관계를 끊고 싶다면, 차라리 원하는 바대로 절에 들어가든가,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면 안될까. 이용 그리고 김길상. 퍽퍽한 인물들이다.
 
 
<발췌>
의병이냐 동학이냐 갈라놓고 생각는 것도 지는 마땅찮아요. 수효를 가지고 따지시는 것도 그렇고, 또 화적당이면 어떻소? 핍박받는 백성이 일어서면은 으레껏 역적이다 화적이다 하기 매련이고 구데기 무서워 장 못 당구겄소? 실정이 십만 대군 거니리고 서울 가겄어라우? (p.18)
 
주재소에 불지르고 왜순사 등에 칼 꽂는 것 그거만 능사 아니란께. 우리는 그냥 의병이 아녀. 의병이기보담 동학교도란 말시. 칼을 휘두르는 한펜 사람 맘에다 하눌님 뜻도 전하여야 한단께로. 그래야만 우리가 칼을 휘둘러 왜놈을 치는 명분도 서는 거 아니겄어? (p.19)
 
무조건 승복이 아니라는 오기도 속셈으론 환이에 대한 관심의 표시오 신비스런 뭣으로 가려진 그의 정체를 벗겨보고 싶은 호기심이었던 것이다. (p.21)
 
왈가왈부, 더 이상 해보아야, 천년이 간들 지상에서는 천상의 법이 이루어질 수 없고 (p.21)
 
나는 동학이 아니어도 좋은 사람이라 소임이 없고 교전에도 장님이오. 다만 지금 형편을 구경한 사람의 처지에서 말하라 한다면 할 수 있겠소. (p.22)
 
치맛자락을 걷어 힝 하고 코를 푸는데 콧물은 눈물과 엇비슷한 것, 청승궂다. 외로움에 찌들고 세월에 찌든 모습이 낡고 때묻은 입성같이 처량하다. (p.32)
 
, 가리 늦기 이기이 무슨 고생일꼬. 아무튼지 간에 동네에 남아날라 카믄 우가 놈겉이 간악하든가, 마당쇠겉이 미련하든가 둘 중 하나라.” (p.45)
 
하얗게 바래어진 자갈밭은 백정네 인생처럼 살풍경하다. 마을을 흘러다니며 가락을 뽑는 광대들의 그 한 맺힌 가락 하나 없이, 햇볕에 타고 있는 쇠가죽처럼 핏빛에 얼룩직 백정네 인생이 거기, 자갈밭에 굴러 있다. (p.60)
 
아 시상에 아비 직인 샐인죄도 그 자식밖에는 칠 곤리(권리)가 없는 게라우! 최참판네 사돈 팔촌이나 된다고 이리들 헌답디여? 인심이 이래가지고, 괄시하는 사람끼리 이리 혀야 옳다 그 말이여라우? 이런께로 조선이 안 망허고 어쩔랍디여, ? 살이 살을 무는디 남이사 오죽이나 허겄소잉? 이보더라고! 구천이! 저 죽일 놈의 인사들헌티 맞기는 왜 맞는디야? (p.71~72)
 
여보, 당신은 지금 어디 있소. 어디 있느냐구! 맞아서 속이 조금은 후련하우, 죄 땜에 아니오! 나는 살아서 이 끝었는, , 이건 끝이 없는 쳇바퀴요, 나는 한 마리의 개미 아니겠소? 아무것도 없는, 가도 가도 꼭 같은 길이오, 다만 길이 있을 뿐이오. 여보, 이 세상 어디에 가도 진달래 꽃잎 따서 화전 부쳐주겠다던. (p.74)
 
사랑하면서, 살을 저미듯 짙은 애정이면서, 그 누구에게도 주고 싶지 않았던 애기씨, 최서희가 지금 길상에게는 쓸쓸한 아내다. 피차가 다 쓸쓸하고 공허한가. 역설이며 이율배반이다. 인간이란 습관을 뛰어넘기 어려운 조물인지 모른다. (p.140)
 
나는 갈보가 아니지만 윤이병은 밀정이오! - 난 김두수 그놈한테 몸 팔지 않았어! 하지만 윤이병은 양심을 팔았단 말이예요! (p.174)
 
좋은 일 나쁜 일 남의 일이라면 거리에 굴러 있는 개똥 보듯 오로지 꿀벌처럼 불개미처럼 제 일족의 성의 쌓고 먹이를 비축하고 그게 실상이란 말이냐? 크게는 한 국가 한 민족도 그래야만 오래 살아남는다. 지금은 허허한 곳을 많은 조선백성이 방황하는데 꿈을 위해서, 원수들 때문에, 한과 정 때문에. 살아남으면은 얼마나 더 살아남을 것이며. (p.181)
 
임이네의 상사병과도 같은 돈에 대한 집념은 고쳐지질 않았고 용이는 용이대로 용정서의 그 지긋지긋한 생활에서 놓여난 것만을 다행으로 여기듯 대개는 임이네 신경질에 무감각인 편이었다. (p.241)
 
사람이 사는 낙이란 한 가장 밑에서 자식 낳고, 고생이 되더라도 그렇기 살아야지. 좋고 궂고가 어디 있노? 우리도 어디 정분나서 만낸 부부가? 부모가 짝지어주니께 얼굴도 모리고 시집와서... 자식 낳고 살믄은 절로 제 가숙 소중한 거 알게 되고 사람 사는 기이 별거 아니네라. 잘산다고 밥 두 그릇 묵겄나?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