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폴 바비악의 저서 <직장으로 간 사이코패스>는 인류의 3% 이상이 사이코패스라고 말한다. 정유정 작가 역시 작가의 말에서 비슷한 맥락의 말을 이어간다. ‘인류의 2~3퍼센트 가량이 사이코패스라고 한다. 소설의 주인공 유진은 그중에도서 상위 1퍼센트에 속하는, 정신의학자들 사이에선 프레데터라 부른다는 순수 악인이다. (p.382)’ 소설 <종의 기원>은 정유정 작가에 의해 만들어진 악인의 탄생기.

 

한유진. 촉망받는 수영 유망주다. 현재 어머니, 해진과 살며 정신과 이모가 처방해주는 약을 먹곤 한다. 정신이 아득해지는 기분을 제법 자주 느낀다. 소설은 유진이 잠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비린내가 후각을 공격할 때 즈음, 집에서 벌어진 일을 목도한다. 무슨 일이지? 자문하는 사이 해진이 새로운 사실을 알리고 집을 나간다. ‘살인 사건 벌어졌데.’

 

이야기는 유진의 현실 자각으로 시작한다. 깜박거리는 전조등 불빛 같은 현실과 꿈. 유진은 어머니의 메모(혹은 일기)를 보며 과거를 더듬는다. 사실을 알게 되면서 결국 사건의 진실과 자신의 을 병치시키며 혼란스러워 한다.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진실이 곧 삶이 되면서 불편했던 삶 속에 온전히 자신을 내버려두는 그. ‘악인이 탄생하는 순간이다.

 

작가는 유진과 해진(혹은 형 유민’)을 대조적으로 그린다. 쾌활하고 애교 많고 사랑받는 첫째, 조용하고 독립적인 둘째, 유진. 그는 피해자로 그려진다. 형이 죽고 어머니는 늘 형을 그리워한다. 어머니는 형의 자리를 대신하려는 듯 해진을 입양한다. 반면 유진에게는 모든 것이 엄격하다. 자야할 시간, 약 먹을 시간, 귀가할 시간, 지키고 싶지 않은 규칙들이 유진을 옥죈다.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벌이 따른다. 성장기 내내 가져야 했던 열패감의 근원을 인지했을 때 내면의 선과 악은 어떻게 모습을 드러낼까. 저자는 한 인간이 느끼는 피해의식이 만들어내는 생존방식을 그리고 싶었던 게 아닐까. 가해자가 피해자로 둔갑하는 엔딩은 작가가 생각하는 이 분출됐을 때의 파국일 게다.

 

작가의 말에서 정유정은 진화심리학자 데이비드 버스의 주장을 인용하며 이렇게 적는다. “인간은 악하게 태어난 것도, 선하게 태어난 것도 아니다. 인간은 생존하도록 태어났다.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는 진화과정에 적응해야 했고, 선이나 악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었기에 선과 악이 공진화했으며, 그들에게 살인은 진화적 성공(유전자 번식의 성공), 즉 경쟁자를 제거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p.379)” 그리고 에 유독 관심을 갖는 이유 그녀는 여러 전작에서 줄기차게 을 묘사한다. - 에 대해 말한다. ‘평범한 비둘기라 믿는 우리 본성 안에도 매의 어두운 숲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똑바로 응시하고 이해해야 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지 못한다면 우리 내면의 악, 타인의 악, 나아가 삶을 위협하는 포식자의 악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 (p.383)’ 마지막 말이 심장에 꽂힌다.

 

그런 의미에서 의 분신 유진이 미미하나마 어떤 역할을 해주리라 믿고 싶다. (p.383)

 

작가는 유진을 그리기 위해 세 번을 다시 썼다고 했다. 얼마나 힘들었을까, 아팠을까, 끔찍했을까, 무서웠을까. <종의 기원>을 읽는 독자들도 같은 마음일지 모르겠다. 이야기는 정유정 작가 특유의 묘사력으로 심장이 터질 듯한 긴장감을 선사한다. 눈은 왼쪽 텍스트를 읽고 있는데 숨은 가빠오면서 설마 아니겠지라는 마음이 오른쪽 텍스트로 내달린다고나 할까. ‘은 분명 우리 안에 숨어있다. 이를 드러내느냐 통제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유진의 모습은 우리가 실행할 수 없어 꿈꿔보는 또 다른 자아일지 모른다. 심장이 튀어나올 듯, 오줌을 지릴 듯 안절부절 못하리라. 스릴러영화를 닮은 <종의 기원>, 폭염이 쏟아지는 여름과 어울리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